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유산균 생존율 향상을 위한 식품첨가물 등급의 동결보호제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7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치제조가 미생물첨가에 따른 발효조절로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김치에서 분리한 유용 미생물의 분말형 제제 기술을 위한 식품첨가등급의 우수한 보호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모든 실험균주에서 보호제를 사용할 경우 무처리구보다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10% 콩가루를 동결보호제로 사용하였을 때 90% 수준의 높은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콩가루의 농도를 증가시킨 경우 동결건조 후 실험균주의 생존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두 가지 보호제를 1:1의 비율로 조합하여 적용할 경우 생존율 향상에 관한 상승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번역하기

      김치제조가 미생물첨가에 따른 발효조절로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김치에서 분리한 유용 미생물의 분말형 제제 기술을 위한 식품첨가등급의 우수한 보호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모든 ...

      김치제조가 미생물첨가에 따른 발효조절로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김치에서 분리한 유용 미생물의 분말형 제제 기술을 위한 식품첨가등급의 우수한 보호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모든 실험균주에서 보호제를 사용할 경우 무처리구보다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10% 콩가루를 동결보호제로 사용하였을 때 90% 수준의 높은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콩가루의 농도를 증가시킨 경우 동결건조 후 실험균주의 생존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두 가지 보호제를 1:1의 비율로 조합하여 적용할 경우 생존율 향상에 관한 상승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od-grade protective agents, namely, skim milk, yeast extract, soy powder, and trehalose, were studied for their ability to improve the viability of freeze-dried lactic acid bacteria (LAB), including Weissella cibaria SW1-1, Lactobacillus plantarum A-1, Lactobacillus sakei 2-12 24, and Leuconostoc citreum 3526.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10% soy powder; approximately 90% cell viability was observed during the freeze-drying process.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soy powder did not cause a proportional increase in the survival rate of LAB. Furth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two agents were combined in a 1:1 ratio (p<0.05).
      번역하기

      Food-grade protective agents, namely, skim milk, yeast extract, soy powder, and trehalose, were studied for their ability to improve the viability of freeze-dried lactic acid bacteria (LAB), including Weissella cibaria SW1-1, Lactobacillus plantarum A...

      Food-grade protective agents, namely, skim milk, yeast extract, soy powder, and trehalose, were studied for their ability to improve the viability of freeze-dried lactic acid bacteria (LAB), including Weissella cibaria SW1-1, Lactobacillus plantarum A-1, Lactobacillus sakei 2-12 24, and Leuconostoc citreum 3526.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10% soy powder; approximately 90% cell viability was observed during the freeze-drying process.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soy powder did not cause a proportional increase in the survival rate of LAB. Furth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two agents were combined in a 1:1 ratio (p<0.05).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주, "혼합 스타터를 이용한 묵은지의 제조 및 발효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467-1474, 2013

      2 문신혜, "폐배추 추출물을 이용한 Leuconostoc citreum GR1 종균배양용 최적 배지 및 배양 조건 개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125-1132, 2013

      3 정용진, "콩분말의 단백질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 모니터링"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71-76, 2006

      4 임정호, "전복과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발효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450-456, 2013

      5 배효주, "스테비오사이드 함유 감미료 첨가 김치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99-106, 2013

      6 김용석, "김치의 위생학적 우수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3 (23): 91-97, 2008

      7 김수영, "김치에서 항균활성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46-452, 2011

      8 이강욱, "김치발효에서 Weissella 속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341-348, 2010

      9 양은주,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6 (36): 276-284, 2008

      10 진효상, "김치 미생물 조성을 바탕으로 한 김치 스타터의 선정 및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71-675, 2008

      1 김효주, "혼합 스타터를 이용한 묵은지의 제조 및 발효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467-1474, 2013

      2 문신혜, "폐배추 추출물을 이용한 Leuconostoc citreum GR1 종균배양용 최적 배지 및 배양 조건 개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125-1132, 2013

      3 정용진, "콩분말의 단백질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 모니터링"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71-76, 2006

      4 임정호, "전복과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발효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450-456, 2013

      5 배효주, "스테비오사이드 함유 감미료 첨가 김치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99-106, 2013

      6 김용석, "김치의 위생학적 우수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3 (23): 91-97, 2008

      7 김수영, "김치에서 항균활성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46-452, 2011

      8 이강욱, "김치발효에서 Weissella 속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341-348, 2010

      9 양은주,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6 (36): 276-284, 2008

      10 진효상, "김치 미생물 조성을 바탕으로 한 김치 스타터의 선정 및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71-675, 2008

      11 Bedu-Addo FK, "Understanding lyophilization formulation devel-opment" 28 : 10-18, 2004

      12 Lee JS, "Survival of freeze-dried Lactobacillus bulgaricus KFRI 673 in chitosan-coated calcium alginate micro-particles" 52 : 7300-7305, 2004

      13 Miyamoto-Shinohara Y, "Survival of freeze dried bacteria" 54 : 9-24, 2008

      14 Dianawati D, "Survival of Bifidobacterium lon-gum 1941 microencapsulated with proteins and sugars after freez-ing and freeze drying" 51 : 503-509, 2013

      15 Lim YB,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and the effect of cryoprotectant agents" 14 : 441-445, 2001

      16 Lim YB,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and the effect of cryoprotectant agents" 14 : 441-445, 2001

      17 Hubalek Z, "Protectants used in the cryopreservation of microor-ganisms" 46 : 205-229, 2003

      18 이호,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681-687, 2007

      19 Shi P, "Parametric analysis of shape changes of alginate beads" 210 : 60-66, 2011

      20 Otero MC, "Optimization of the freeze-drying media and survival throughout storage of freeze-dried Lactobacillus gasseri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for veterinarian probiotic applications" 42 : 1406-1411, 2007

      21 Santagapita PR, "Invertase stability in alginate beads: Effect of trehalose and chitosan inclusion and of drying methods" 47 : 321-330, 2012

      22 Zayed G, "Influence of trehalose and moisture content on survival of Lactobacillus salivarius subjected to freeze-drying and storage" 39 : 1081-1086, 2004

      23 Zhou ZD, "Immobiliz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lcohol dehydrogenase on hybrid alginate-chitosan beads" 47 : 21-26, 2010

      24 Joung SE,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cessing method on the quality of soybean da-sik" 13 : 356-363,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