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Learning Outcome by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on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3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on their learning outcome.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s methods including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Among variables of the adult learners' personal backgrounds, even though their gender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didn't mak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learning outcome, their age made meaningful differences.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learning outcom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nd as the study analyzed how differences of human capital according to participating time, period, purpose and areas affected learning outcome of social and human capital, the results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The more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directly benefited learners' real life and work the higher their learning outcome became. In terms of subcategories, the participation affected private trust, recognition of norms and total social capital.
      S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had huge influence on forming social and human capital, showing especially high correlation with forming social capital.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on their learning outcome.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s methods including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on their learning outcome.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s methods including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Among variables of the adult learners' personal backgrounds, even though their gender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didn't mak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learning outcome, their age made meaningful differences.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learning outcom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nd as the study analyzed how differences of human capital according to participating time, period, purpose and areas affected learning outcome of social and human capital, the results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The more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directly benefited learners' real life and work the higher their learning outcome became. In terms of subcategories, the participation affected private trust, recognition of norms and total social capital.
      S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had huge influence on forming social and human capital, showing especially high correlation with forming social capit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원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생교육 참여 관련 요인을 추출하여 변수들을 참색하고, 대전지역 5개 대학 평생교육원에 등록한 성인학습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분산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학습자 개인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 학력은 학습성과 인식에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연령은 학습성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 변인들과 학습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대학평생교육원 학습성과를 참여 시간, 기간, 목적, 참여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이들 요인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유익성과 평생교육원 지원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생학습의 유익성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원의 학습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학습성과로는 사적신뢰, 규범인식 등의 사회적 자본과 학습력, 삶의 질 등 인적자본의 학습성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평생교육원의 행정지원 여부는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자본 형성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기관의 행정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원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생교육 참여 관련 요인을 ...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원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생교육 참여 관련 요인을 추출하여 변수들을 참색하고, 대전지역 5개 대학 평생교육원에 등록한 성인학습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분산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학습자 개인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 학력은 학습성과 인식에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연령은 학습성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 변인들과 학습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대학평생교육원 학습성과를 참여 시간, 기간, 목적, 참여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이들 요인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유익성과 평생교육원 지원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생학습의 유익성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원의 학습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학습성과로는 사적신뢰, 규범인식 등의 사회적 자본과 학습력, 삶의 질 등 인적자본의 학습성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평생교육원의 행정지원 여부는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자본 형성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기관의 행정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평생교육 참여 및 학습성과의 개념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평생교육 참여 및 학습성과의 개념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성의, "한국 성인의 사회교육 참여정도와 그 관련변인 분석"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대학원, 1996

      2 이숙원, "한국 대학부설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참여 지속 결정요인 분석" 2002

      3 "학부모의 학습참여 특성과 만족도 분석연구" 1996

      4 이경아, "평생교육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5 권두승,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성인교육참여율 제고방안" 1999

      6 최돈민, "평생교육 요구분석" 1999

      7 서혜전, "웹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성과 관련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8 임숙경, "여성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9 "여성사회교육기관의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1996

      10 최운실,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 - 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005

      1 배성의, "한국 성인의 사회교육 참여정도와 그 관련변인 분석"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대학원, 1996

      2 이숙원, "한국 대학부설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참여 지속 결정요인 분석" 2002

      3 "학부모의 학습참여 특성과 만족도 분석연구" 1996

      4 이경아, "평생교육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5 권두승,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성인교육참여율 제고방안" 1999

      6 최돈민, "평생교육 요구분석" 1999

      7 서혜전, "웹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성과 관련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8 임숙경, "여성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9 "여성사회교육기관의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1996

      10 최운실,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 - 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005

      11 "성인의 학습자 성장과정 연구" 2000

      12 전현중,정지선,차갑부, "성인교육 참여율과 성인교육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 1999

      13 "성인교육 유형별 교육참여 특성 분석" 1985

      14 김광하, "서울시내 성인의 사회교육기회 획득에 관련된 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1986

      15 한상일,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공동체 참여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2004년도 국제학술대회 및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 2004

      16 최필이,최필이, "사회교육에 있어서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1992

      17 김혜숙,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와 교육기관 관련요인과의 관계 분석"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2008

      18 김애련,김애련,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인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19 변주성(Byun zu-sung), "대학평생교육기관 도자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분석"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09

      20 이정의, "대학사회교육 참여동기에 관한 연구 : 참여자의 배경특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1997

      21 이혜영,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자 특성과 교육욕구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2

      22 최돈민, "대학 사회교육의 기원과 역할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1999

      23 Courtney, "Why Adult Learn" 1992

      24 Henry,K.C.Basie, "Understanding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formal adult education" 1994

      25 Houle, Cyril Orvin, "The Inquiring mind" Univ. of Wisconsin Press 1961

      26 Adler,S.Kwon, "Social Capital: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2000

      27 Morstain.B.R,Smart.J.C, "Reasons forparticipation inadult education courses: A multivariate analysis of groupdifferences" 1974

      28 Burgess, "Reasons for adult participation in group educational activities" 1971

      29 R.Boshier, "Motivational orientations of adult education participants: A factor analytic exploration of Houle's typology" 1971

      30 Schuller, "Learning,continuity and change in adultlife" 2002

      31 Merriam, C. B., "Learning in adulthood" 2009

      32 Mok,T.M.Kwong, "Discriminating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The case of teachers" 1999

      33 Putnam, Robert D., "Bowling alone :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 Schuster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