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텍스트 평가 기준에 대한 독자의 인식 연구 = Aspects on Awareness of Readers on Evaluation Factors of Digital 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5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spects on reader`s awareness in digital text assessment. The thirty pre-teachers joined this research. They wrote a posting and determined the ranking. Study participants paid attention to communication possibility of the digital text. So they considered interesting, sympathy, design of text. these factors is concerned with readability. Current digital technology needs a certain level of digital literacy, especially digital text reading and writing competence. For both this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this digital literacy evaluation research is nee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spects on reader`s awareness in digital text assessment. The thirty pre-teachers joined this research. They wrote a posting and determined the ranking. Study participants paid attention to communication po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spects on reader`s awareness in digital text assessment. The thirty pre-teachers joined this research. They wrote a posting and determined the ranking. Study participants paid attention to communication possibility of the digital text. So they considered interesting, sympathy, design of text. these factors is concerned with readability. Current digital technology needs a certain level of digital literacy, especially digital text reading and writing competence. For both this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this digital literacy evaluation research is nee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CE,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교육평가 개선 방안 탐색 세미나 연구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 권순희, "하이퍼미디어 시대의 의사소통 양상과 표현교육"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5 : 75-108, 2003

      3 Rosenbaum, S., "큐레이션: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명진출판사 2011

      4 옥현진, "컴퓨터 글쓰기의 쓰기 교육과정 반영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1) : 209-239, 2010

      5 임천택, "컴퓨터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75) : 311-336, 2007

      6 김승종, "전통적 글쓰기와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39) : 5-28, 2004

      7 Buckingham, D.,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0

      8 박현정, "전자매체 시대의 글쓰기 지도 방안—이미지 단락을 이용한 이야기 만들기를중심으로" 배달말교육학회 (30) : 145-177, 2009

      9 Evans, J., "읽기 쓰기의 진화" 사회평론 29-40, 2004

      10 김성희,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문화적 소통에 대한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9) : 55-78, 2008

      1 KICE,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교육평가 개선 방안 탐색 세미나 연구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 권순희, "하이퍼미디어 시대의 의사소통 양상과 표현교육"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5 : 75-108, 2003

      3 Rosenbaum, S., "큐레이션: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명진출판사 2011

      4 옥현진, "컴퓨터 글쓰기의 쓰기 교육과정 반영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1) : 209-239, 2010

      5 임천택, "컴퓨터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75) : 311-336, 2007

      6 김승종, "전통적 글쓰기와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39) : 5-28, 2004

      7 Buckingham, D.,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0

      8 박현정, "전자매체 시대의 글쓰기 지도 방안—이미지 단락을 이용한 이야기 만들기를중심으로" 배달말교육학회 (30) : 145-177, 2009

      9 Evans, J., "읽기 쓰기의 진화" 사회평론 29-40, 2004

      10 김성희,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문화적 소통에 대한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9) : 55-78, 2008

      11 서수현,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2 주창윤, "영상 이미지의 구조" 나남출판 2003

      13 서수현, "쓰기 평가 협의 과정에 나타난 쓰기 평가자의 인식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335-367, 2012

      14 김성희, "생태학의 관점에 따른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43) : 99-123, 2012

      15 김대행, "매체 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28) : 5-36, 2007

      16 박승희, "디지털 텍스트와 새로운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글쓰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1) : 343-363, 2005

      17 정현선,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 도구’와 ‘매체 특성’ 이해의 필요성 -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진과 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06) : 99-130, 2009

      18 Bolter, J. D., "글쓰기의 공간:컴퓨터와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인쇄의 재매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9 Palfrey, J., "그들이위험하다" 갤리온 2008

      20 박인기,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국어교육학회 (37) : 137-158, 2010

      21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22 Porter, J., "Why technology matters to writing : A cyberwriter’s tale" 20 : 375-394, 2002

      23 Sternberg, R. J., "The nature of creativity" 1 : 87-98, 2006

      24 Kress, G. R.,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Falmer 2003

      25 Prensky, M., "Digitalnatives, digitalimmigrants" 9 (9): 1-6, 2001

      26 Wilson, M.,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Springer 67-141, 2012

      27 Lai, E. R., "Assessing 21st Century Skills: Integrating Research Findings,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Pearson 2012

      28 KISA, "2013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방송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