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을 통한 북한경제 개선 가능성 연구 = A Feasibility Study on the North Korea's Economic Improvement through the Inclusion into the Division of Labor in 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17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아시아 분업구조에 북한을 편입시키는 것이 현재의 국제정치경제 상황을 고려한 가장 합리적인 북한 경제발전 전략임을 주장하며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국제사회의 정치·경제 질서가 가장 정교하게 작동하는 분업체계 내로 북한을 편입시킴으로써 북한경제의 자생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제관계 측면에서는 북한과 국제사회 간의 상호 신뢰구조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월러스틴(I. Wallerstein)의 ‘유치에 의한 촉진’ 전략을 통한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이 가능하고, 타당하다는 것을 경제적, 정치적 해석을 통해 입증하고 구체적인 편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능성 확인을 위해 북한의 대외경제 의존 현황과 동아시아 GVC 현황을 검토한 결과, 현재 동아시아내 분업구조에서 발견되는 가장 큰 특징은 중국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생산기지가 필요한 상황이며, 저임금의 노동력, 원자재 공급을 위한 자원을 갖춘 북한은 새로운 생산기지로서 충분한 매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타당성 확인을 위해 북한을 중심으로 한 최근 국제정치경제 질서를 검토한 결과,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북한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는 시기에 있음을 확인하고 이의 구체적 실천 방안으로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이 타당함을 주장하였다. 즉, 현재의 국제정세는 미중 패권경쟁 하에서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시기이며 북한을 신뢰할 수 있는 협력 파트너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전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의 분업구조 편입은 남북한 모두에게 충분한 정치·경제적 편익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역내의 평화와 안정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현재의 대북제재가 북한에게는 큰 의미 없는 제재 수단이 되기보다는 제재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 의미, 나아가 최종적 목표에 다가서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에서도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전략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북한 역시 대외지향형 공업화, 생필품의 국산화, 자원개발 및 수출 그리고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한 일련의 구조조정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 북한은 노동력과 지하자원, 그리고 지정학적 관계라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이 세 가지 경쟁력은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로의 편입 가능성을 더욱 높여준다. 더불어 현재 북한의 정치체제는 최고 권력자이건, 그 하부에서 북한 정치체제를 구성하는 권력자이건 간에 ‘체제 유지’와 ‘지대 추구’만을 위해 정책을 결정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결국 생물학적·정치적 생존을 위해 분업구조 편입을 수용할 것임을 주장하며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수용이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월러스틴이 ‘유치에 의한 촉진’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한 3가지 세부전략 즉 자본축적, 주도산업 그리고 상승전략에서 북한은 지하자원 수출과 저임금 활용 위탁가공업 그리고 경제특구 전략을 통해 동아시아 분업구조에 편입할 수 있음도 도출하였다.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국제질서 체제로의 편입은 남한이 직면한 경제·사회적 위기를 타파하고 한반도의 안정과 미래 통일한국을 대비함에 기여할 것이며 또한 남한이 동북아에서 책임있는 리더의 역할을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분업구조라는 상호주의 체제내에서 북한에 대한 신뢰 범위가 확대됨으로써 국제정치학의 시작점인 불확실성과 불신 문제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오히려 북한이 동아시아 역내 분업구조에 편입하기를 바라기보다는 그렇게 만드는 것이 현재 국제사회의 현실적 과제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동아시아 분업구조에 북한을 편입시키는 것이 현재의 국제정치경제 상황을 고려한 가장 합리적인 북한 경제발전 전략임을 주장하며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국제사회의 정치·경�...

      본 논문은 동아시아 분업구조에 북한을 편입시키는 것이 현재의 국제정치경제 상황을 고려한 가장 합리적인 북한 경제발전 전략임을 주장하며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국제사회의 정치·경제 질서가 가장 정교하게 작동하는 분업체계 내로 북한을 편입시킴으로써 북한경제의 자생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제관계 측면에서는 북한과 국제사회 간의 상호 신뢰구조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월러스틴(I. Wallerstein)의 ‘유치에 의한 촉진’ 전략을 통한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이 가능하고, 타당하다는 것을 경제적, 정치적 해석을 통해 입증하고 구체적인 편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능성 확인을 위해 북한의 대외경제 의존 현황과 동아시아 GVC 현황을 검토한 결과, 현재 동아시아내 분업구조에서 발견되는 가장 큰 특징은 중국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생산기지가 필요한 상황이며, 저임금의 노동력, 원자재 공급을 위한 자원을 갖춘 북한은 새로운 생산기지로서 충분한 매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타당성 확인을 위해 북한을 중심으로 한 최근 국제정치경제 질서를 검토한 결과,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북한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는 시기에 있음을 확인하고 이의 구체적 실천 방안으로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이 타당함을 주장하였다. 즉, 현재의 국제정세는 미중 패권경쟁 하에서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시기이며 북한을 신뢰할 수 있는 협력 파트너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전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의 분업구조 편입은 남북한 모두에게 충분한 정치·경제적 편익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역내의 평화와 안정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현재의 대북제재가 북한에게는 큰 의미 없는 제재 수단이 되기보다는 제재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 의미, 나아가 최종적 목표에 다가서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에서도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전략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북한 역시 대외지향형 공업화, 생필품의 국산화, 자원개발 및 수출 그리고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한 일련의 구조조정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 북한은 노동력과 지하자원, 그리고 지정학적 관계라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이 세 가지 경쟁력은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로의 편입 가능성을 더욱 높여준다. 더불어 현재 북한의 정치체제는 최고 권력자이건, 그 하부에서 북한 정치체제를 구성하는 권력자이건 간에 ‘체제 유지’와 ‘지대 추구’만을 위해 정책을 결정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결국 생물학적·정치적 생존을 위해 분업구조 편입을 수용할 것임을 주장하며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수용이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월러스틴이 ‘유치에 의한 촉진’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한 3가지 세부전략 즉 자본축적, 주도산업 그리고 상승전략에서 북한은 지하자원 수출과 저임금 활용 위탁가공업 그리고 경제특구 전략을 통해 동아시아 분업구조에 편입할 수 있음도 도출하였다.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국제질서 체제로의 편입은 남한이 직면한 경제·사회적 위기를 타파하고 한반도의 안정과 미래 통일한국을 대비함에 기여할 것이며 또한 남한이 동북아에서 책임있는 리더의 역할을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분업구조라는 상호주의 체제내에서 북한에 대한 신뢰 범위가 확대됨으로써 국제정치학의 시작점인 불확실성과 불신 문제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오히려 북한이 동아시아 역내 분업구조에 편입하기를 바라기보다는 그렇게 만드는 것이 현재 국제사회의 현실적 과제가 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5
      • 1. 선행연구1 : 북한 경제발전 및 남북협력 방안 관련 5
      • 2. 선행연구2 : 역내 분업구조와 북한 경제발전 전략 관련 11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5
      • 1. 선행연구1 : 북한 경제발전 및 남북협력 방안 관련 5
      • 2. 선행연구2 : 역내 분업구조와 북한 경제발전 전략 관련 11
      • 3. 연구의 차별성 13
      • 제3절 연구 방법과 논문 구성 15
      • 제2장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18
      • 제1절 분업의 이론적 발전 18
      • 1. 자유주의에서의 분업 이론 및 분업구조 편입 방안 18
      • 2. 사회주의에서의 분업 이론 및 분업구조 편입 방안 22
      • 3. 마르크스주의 계열에서의 분업 이론 및 분업구조 편입 방안 28
      • 제2절 현대 국제 분업구조와 이론 39
      • 1. 동아시아의 분업구조 변화와 기존 분업이론의 붕괴 39
      • 2. 상품사슬 이론의 부활과 확산 : 글로벌가치사슬(GVC) 43
      • 제3절 본 연구의 분석틀 : 분업구조 편입이론의 정치적 재구성 51
      • 제3장 동아시아 지역의 분업구조 현황 56
      • 제1절 동아시아의 달라진 경제적 위상 56
      • 제2절 동아시아 교역구조의 특징 60
      • 제3절 동아시아의 GVC 현황 65
      • 제4절 소결 : 중국을 대신할 새로운 생산기지 물색 72
      • 제4장 북한의 대외경제 의존 현황 74
      • 제1절 북한의 대외무역 현황 74
      • 1. 대외무역 개황 74
      • 2. 대외무역의 부문별 특성 : 지역국가별 동향 78
      • 제2절 북한의 산업구조와 경제개발 전략의 변화 83
      • 1. 북한 산업구조의 변화 83
      • 2. 경제개발 전략의 변화 86
      • 제3절 북한의 특구 개발 전략의 변화 92
      • 1. 북한의 경제특구 추진배경 및 목적 92
      • 2. 김정은 시대의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 정책 94
      • 3.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 현황 96
      • 4. 경제특구 개발의 시사점 100
      • 제4절 소결 : 대외협력 강화를 위한 내부 구조조정 103
      • 제5장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로의 편입 : 국제정치경제학적 해석 105
      • 제1절 유치에 의한 촉진 전략의 실효성 107
      • 1. 중국 108
      • 2. 베트남 112
      • 3. 중국과 베트남 사례가 주는 함의 116
      • 제2절 국제정세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 전환 118
      • 1. 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 변화 118
      • 2. 북한을 신뢰할 수 있는 협력 파트너로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 필요 122
      • 3. 남한과 북한 모두에게 충분한 정치경제적 편익 제공 126
      • 4. 북핵 게임의 변화와 대북제재의 한계 131
      • 제3절 동아시아 분업구조의 변화 139
      • 제4절 북한의 변화와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전략 146
      • 1. 북한 대외경제 부문의 변화 146
      • 2.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전략 155
      • 3. 북한 정치체제에서의 수용 가능성 158
      • 제5절 소결 : 북한 경제발전 전략으로서 북한의 동아시아 분업구조 편입 169
      • 제6장 결 론 173
      • 참고문헌 179
      • ABSTRACT 19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조반니 아리기, "장기 20세기", 서울: 그린비, 2009

      2 엘리슨, "결정의 엣센스", 서울: 모음북스, 2005

      3 안소니, "브루어. 염홍철 역", 제국주의와 신제국주의 서울: 도서출판 사계절, 2001

      4 군더, 안드레, "프랑크. 이희재 역", 리오리엔트 서울: 이산, 2008

      5 염홍철, "다시읽는 종속이론", 한울,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8

      6 칼 카우츠키, "사회민주주의 기초", 백의, 서울: 백의, 1991

      7 유재건, "마르크스와 월러스틴", 한국 서양사학회 편. 근대 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브 로델과 월러스틴을 중심으로 서울: 까치, 1996

      8 이석기, 최신림, "남북한 경제협력 방안", 을유문화사, 서울: 산업연구원, 2000

      9 Andray Abrahamian, "북한 경제개발구의 ABC",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7권 2호, 2015

      10 김진영, "“조절이론의 재검토.”",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28집 2호, 1995

      1 조반니 아리기, "장기 20세기", 서울: 그린비, 2009

      2 엘리슨, "결정의 엣센스", 서울: 모음북스, 2005

      3 안소니, "브루어. 염홍철 역", 제국주의와 신제국주의 서울: 도서출판 사계절, 2001

      4 군더, 안드레, "프랑크. 이희재 역", 리오리엔트 서울: 이산, 2008

      5 염홍철, "다시읽는 종속이론", 한울,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8

      6 칼 카우츠키, "사회민주주의 기초", 백의, 서울: 백의, 1991

      7 유재건, "마르크스와 월러스틴", 한국 서양사학회 편. 근대 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브 로델과 월러스틴을 중심으로 서울: 까치, 1996

      8 이석기, 최신림, "남북한 경제협력 방안", 을유문화사, 서울: 산업연구원, 2000

      9 Andray Abrahamian, "북한 경제개발구의 ABC",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7권 2호, 2015

      10 김진영, "“조절이론의 재검토.”",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28집 2호, 1995

      11 조동호, "북한경제 발전전략의 모색",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2

      12 장형수, "“대북경제제재: 현황과 전망.”", KDI북한경제리뷰 제15집 3호, 2013

      13 마우로, "까사디오 외. 황성원․윤영광 역", 제국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서울: 도서출판 갈무리, 2010

      14 리경숙, "대외상품시장정보의 체계적 수집", 경제연구 2호, 1999

      15 조성재,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노동.”", 한국노동연구원, 국제노동브리프 제11집 4호, 2013

      16 노진철, "『불확실성 시대의 신뢰와 불신』", 한울아카데미, 경기: 한울 아카데미, 2014

      17 윤철기, 전현준, 박영자, 박형중, "『북한 부패 실태와 반부패 전략』",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12

      18 이주형, "“중국의 대일 인식과 중일 관계.”",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회보 17집 3호, 2010

      19 이진원, "“전후 한일 관계의 쟁점 및 양상.”", 일본사학회 , 日本歷史硏究18권 1호, 2003

      20 김상훈, "“미국의 추가 대북제재 주요내용.”",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2권 9호, 2010

      21 방호경, 정형곤,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 효과 분석", KIEP,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22 최인철, "“국제봉사무역제도의 본질과 특징.”", 사회과학원학보 2호, 2011

      23 이상우, "북한정치-신정체제의 진화와 작동원리", 나남, 서울: 도서출판 나남, 2008

      24 안철주, "“국제봉사무역에 대한 일반적 리해.”", 김일성종합대학학보 2호, 2008

      25 박영준, "“한국외교와 한일안보 관계의 변용.”", 일본비평 제7집 1호, 2015

      26 김태효, "“한일 관계 민주동맹으로 거듭나기.”",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략연구 제37호, 2006

      27 김석진, "『통일 이후 북한 산업개발전략 연구』", 산업연구원, 서울: 산업연구원, 2011

      28 조봉현,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경협”",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5집 12호, 2013

      29 김병조, "“한국의 자본축적 단계와 노동 이동.”",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8권 제1호, 2011

      30 조동호, "남북경협 추진전략 및 부문별 주요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1

      31 이종규, "“2014년 상반기 북한의 대외무역 평가.”",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6집 7호, 2014

      32 유희문, "“계획경제시기의 정책특징과 문제점.”", 유희문 외, 현대중국경제 서울: 교보문고, 2000

      33 이재호, "동북아 분업구조하에서의 북중 경제협력",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0

      34 최수영, "“김정은식 경제개혁의 가능성과 한계.”", 北韓505호, 2013

      35 한석희, "“미․중 전략대화와 미중관계의 전개.”", 정세와 정책 194호, 2012

      36 리기성, "사회주의경제강국건설목표와 전략적원칙", 경제연구 2호, 2005

      37 임현진, "지구시대 세계의 변화와 한국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8 박용석, "“북한 경제특구의 개발 동향 및 시사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CERIK 건설이슈포커스, 2014

      39 이원덕, "“신시대 한일관계의 구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일본연구 제15집 1호, 2011

      40 홍익표, "북한의 경제특구 확대 가능성 및 발전방향",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41 이석기, "북한의 산업 발전 잠재력과 남북협력 과제", 서울: 산업연구원, 2013

      42 리신효, "새로운 무역체계의 본질적특징과 그 우월성", 경제연구 4호, 1992

      43 이재호, "“5.24 조치 이후의 남북경협: 현황과 전망.”", KDI북한경제리뷰 제15집 3호, 2013

      44 김상훈, 윤용석, "“국제관계에서의 신뢰의 세 가지 이미지.”", 국제문제연구 제15권 3호, 2015

      45 박형중, "“김정은 권력승계와 대내외 정책의 추이.”", KDI북한경제리뷰 제16집 10호, 2014

      46 미무라 미쯔히로, "일본의 대북한 경제제재의 경제적 효과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서울: 대외경제정 책연구원, 2005

      47 김석우, "국제정치경제의 이해-역사, 이념 그리고 이슈", 한울,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1

      48 김준형, "“G2 관계 변화와 미국의 대중정책의 딜레마.”", 세종연구소, 국가전략 제18권 1호, 2012

      49 최영옥, "“대외무역에서 실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도.”", 경제연구 2호, 2003

      50 정성진, "“세계화인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인가?”",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10호, 1997

      51 김영희, "“집권 2년차, 김정은 정권의 경제개혁 평가.”",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6집 3 호, 2014

      52 김상기, "「대북경제제재의 유효성 분석: 실태와 효과」",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7

      53 조동호,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 전망과 남북경협의 역할",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3

      54 김석진, "체제전환국 사례를 통해 본 북한 산업개발전략", 산업연구원, 서울: 산업연구원, 2008

      55 김중호, "“대북 경제제재의 효과와 대북 정책 시사점.”", 수은북한경제 제9권 2호, 2012

      56 김진영, "동북아 국제분업체계재편과 노동시장에의 함의", 서울: 대통령자문 고령화및미래 사회위원회, 2005

      57 고일동, "북한의 무역구조 분석과 남북경협에 대한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8

      58 이석, "5․24 조치 이후 북중무역과 남북교역의 변화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3

      59 리원경, "화폐, 화폐유통은 계획적 경제관리의 보조적 수단", 경제연구 3호, 2009

      60 김규판, "G2 시대 일본의 대중(對中)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61 최영일, "“합영투자대상에 대한 효과성평가의 중요내용.”", 김일성종합대학학보 3호, 2010

      62 김계환, "“글로벌가치사슬로 본 선진국의 제조업 경쟁력.”", KIET 산업경제 189호, 2014

      63 김상기, "“미국의 대북경제제재의 주요 목표와 적용법규.”",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0권 6호 (2008), 2008

      64 권율, "“베트남 개혁․개방모델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수은북한경제 제2권 2호, 2005

      65 김성주, "“동북아 지역정체성과 지역공동체: 관념과 제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1집 1호, 2009

      66 리명희, "현 시기 국제상품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요 변화", 경제연구 3호, 2002

      67 이석기, "“김정은 체제 이후 북한 경제정책과 변화 가능성.”",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 15집 10호, 2013

      68 안성호, "김정은시대 북중경협에 대응한 한국의 남북협력방안",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31집 2호, 2014

      69 임호열, "“북한, 20개 경제개발구 신설 점, 선, 면 개방 확대.”", 통일한국 377호, 2015

      70 조봉현,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 동향과 남북협력 연계방안”",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 16집 9호, 2014

      71 김진철,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실체와 사회주의권의 해체.”", 세계정치경제 2호, 1995

      72 이상만, "중국사회주의 소유제개혁과 신자본축적메카니즘연구", 세계정치경제 4호, 1997

      73 김상기, 이재호, "UN 대북경제제재의 효과 분석: 결의안 1874호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1

      74 우영자, "“중국의 무역체제 개혁 경험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KDI북한경제리뷰 제10집 10호, 2008

      75 임강택, "대북경제제재에 대한 북한의 반응과 대북정책에의 함의",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 원, 2013

      76 이찬도, "국제통상패턴을 통해서 본 북한의 대외개방 효율성 문제",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26호, 1996

      77 문병기, 조성대, "“동아시아 무역, 중간재 위주, 낮은 내향성 극복 필요.”", Trade Focus 제12 집 69호, 2013

      78 조명철, 홍익표, "중국․베트남의 초기 개혁․개방정책과 북한의 개혁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서울: 대외경 제정책연구원, 2000

      79 김석진, "“베트남 사례를 통해 본 북한의 대외무역 정상화 전 망,”",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산업연구원, 2007

      80 나수엽, "“제3차 미․중 전략 및 경제대화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지역경제 포커스 제5집 25호, 2011

      81 김현희, "“국제투자관계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업소득세회피수법.”", 경제연구 1호, 2009

      82 양문수, "“미국의 대북 경제제재 해제과정과 해제의 경제적 효과.”",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2권 2호, 2008

      83 손기섭, "“일중 정치경제관계에서의 ‘72년 체제’의 발전과 전환.”", 일본연구논총 19권, 2012

      84 김정일, "주체의 사회주의경제관리 리론으로 튼튼히 무장하자(1991.7.1)", 김정일선 집 11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85 김성철, "“국제금융시장에 적극 진출하는데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경제연구 3호, 2010

      86 문춘광, "“자주의 원칙에서 대외경제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도.”", 김일성종합대학 학보 1호, 2010

      87 제임스 페트라스, "발전주의 비판에서 신자유주의 비판으로: 세계체계론의 시각", 공감, 서울: 공감, 1998

      88 탁용달, "“북한의 대외무역에서 비교우위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 춘계학술 발표논문집, 2015

      89 이준구, "“휴대전화 글로벌가치사슬에서의 경제적․사회적 고도화.”", 국제노동브리프 제11 집 4호, 2013

      90 김근식, "7·1경제관리개선조치 현황 평가와 과제: 북한 경제개혁의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서울: 대외경 제정책연구원, 2003

      91 김영귀, 최낙균, "동아시아의 가치사슬구조와 역내국가간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92 황한욱, "“대외경제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경제강국건설의 중요요구.”", 사회과학원 학보 1호, 2011

      93 이석, "대북 경제제재와 북한무역-2000년대 일본 대북제재의 영향력 추정",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 발연구 제32권 2호, 2010

      94 김환석, "기술혁신과 노사관계에 대한 한국, 일본, 스웨덴의 국제비교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서울: 한국 과학기술연구원, 1992

      95 신동천, "북한 산업구조와 대북 투자의 효과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서울: 산업연 구원, 2014

      96 백승욱, "세계체계 분석으로 본 자본주의의 기원과 미래-자본주의 역사강의", 그린비, 서울: 도서출 판 그린비, 2009

      97 사미르, "아민. “세계적 규모의 축적: 저발전이론의 비판.” 김우상 외 편역", 국제관계론강의 2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1

      98 박형중, "“북한의 ‘새로운 경제관리체계’(6.28방침)의 내용과 실행 실태.”", KDI북한경 제리뷰 15집 10호, 2013

      99 김광남, "“인민생활을 높이는 것은 경제강국건설에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경제연 구 4호, 2009

      100 정승혁, "“동북아시아 나라들과 무역을 확대 발전시키는데서 나서는 중요 요구.”", 경 제연구 2호, 2004

      101 김홍일, "“현시기 유럽시장에 적극 진출하는 것은 대외무역발전의 중요한 요구.”", 김일성종합대학학보 2010년 4호, 2010

      102 안철주, "“대외경제관계를 발전시키는데서 사회주의원칙을 견지하기 위한 방도.”", 김 일성종합대학학보 2호, 2010

      103 김석관, "“경제의 세계화와 국제분업에 관한 이론적 쟁점: 통합적 분석 틀의 모색.”", 한국지역학회, 지역연 구 제28권 2호, 2012

      104 김정은,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기치를 높이 들고 농업생산에서 혁신을 일으키자.”", 2014

      105 마인섭, "“경제발전과 정치발전의 상관관계: 남미와 동아시아의 통계학적 비교연구”", 세종연구소, 국가 전략 제8권 1호, 2002

      106 정국헌, "“조절이론에서의 국가 이해: Joachim Hirsch의 조절이론적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28집 2호, 1995

      107 박명철, "“독점지표를 가지고 무역거래를 하는 것은 현시기 수출무역발전의 중요요 구.”", 경제연구 2호, 2009

      108 박형중, "“정치체제와 부패의 세 가지 모델: 북한 부패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델의 모색.”",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국 방연구, 2013

      109 정명기, "“포드주의에서 포스트포드주의로: 조절이론의 현대자본주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 향과 전망 17호, 1992

      110 S.Hadley, "“The Evolution of Treasury's National Security Role-Leveraging Financial Tools to Advance National Security”", (CSIS 주최 세미나 발표문(audio), (http://csis.org/event/tfi10-evolution-treasurys-national-security-role, 검색일: 2015.2.3), 2014

      111 박지연, 조동호, "“경제제재와 경제지원의 효과 분석 및 대북정책에 대한 시사점: 전 망이론적 논의.”",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 제35권 1호, 2013

      112 김철준, "“우리 식으로 대외무역을 확대발전시킬데 대한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 의 경제사상.”", 경제연구 1호, 2008

      113 한기범,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 (2000∼09).”", 경남대학교 박사논문, 2010

      114 김응천, "“인민소비품생산을 대대적으로 늘이는 것은 인민생활향상에서 결정적 전환 을 일으키기 위한 중요한 과업.”", 경제연구 4호, 2009

      115 한정숙, "“급격한 사회주의적 산업화 과정 속의 노동계급 - 스탈린 시대 노동사에 관한 80년 대 서방학계의 몇몇 연구성과들.”",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국제지역연구 제6권 34호,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