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감리에 있어서 UI/UX 분야의 감리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반적인 산업의 패러다임이 서비스 중심으로 진화하면서, 공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29064
2016
Korean
학술저널
423-429(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감리에 있어서 UI/UX 분야의 감리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반적인 산업의 패러다임이 서비스 중심으로 진화하면서, 공공...
본 연구는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감리에 있어서 UI/UX 분야의 감리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반적인 산업의 패러다임이 서비스 중심으로 진화하면서,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에 있어서 단순한 기능의 제공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의 감리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과 UI/UX 에 대한 감리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실제 감리 진행과정과 방법은 기능의 구현, 즉 기술성을 중심으로 하는 감리방향으로만 치중되어 있고, UI/UX 에 대한 개념과 전문적인 지식과 방법이 부재한 것인 현실이다.
이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한 결과, 먼저 대국민 정보시스템에서 UI/UX 분야에 대한 감리 법제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감리사 자격시험에 UI/UX 분야의 전문 지식을 검증하는 절차를 신설하고, UI/UX 전문인력이 감리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화된 감리절차 및 수행가이드 확립의 필요성 또한 제기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udit method in UI/UX filed for nationwide public information service. Evolving the paradigm of the overall industry into a service-oriented,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serves user-oriente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udit method in UI/UX filed for nationwide public information service. Evolving the paradigm of the overall industry into a service-oriented,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serves user-oriented services, not serving the simple function in the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public information system.
Now the audit methods of the public information system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about user-centric services and needs for UI/UX audit method. But the real audit process and methods is focused only technical direction – implementation of the function - and absented the concept about UI/UX professional knowledge and methods in real.
The result of research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was the proposed of need for UI/UX audit legislation in the public information system. Secondly made the new procedure for verifying the expertise of UI/UX field in audit qualification test and need for method in audit procedure participating in the UI/UX expertise. Finally suggested the need for expertize audit procedure and action guide.
목차 (Table of Contents)
시선추적 기술과 SVM 분류기를 이용한 개인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을 이용한 운전자 시선 영역 및 머리포즈 분류
즐겨찾기 리턴을 위한 스마트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