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직장 유암종에 대한 내시경적 절제술 시행 후 12일째 발생한 대량 지연 출혈 1예 = A Case of Delayed Massive Hemorrhage after Endoscopic Resecting a Rectal Carcinoid Tum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doscopic resection is currently accepted as a standard therapy for colon polyp because of its safety and efficiency. The indications for endoscopic resection have been expanded to treat mucosal colon cancer and submucosal tumor. The major complicati...

      Endoscopic resection is currently accepted as a standard therapy for colon polyp because of its safety and efficiency. The indications for endoscopic resection have been expanded to treat mucosal colon cancer and submucosal tumor. The major complications of endoscopic resection are hemorrhage, perforation and post- polypectomy coagulation syndrome. Hemorrhage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nd this can occur immediately following colonoscopic polypectomy or it can be delayed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dure. Delayed hemorrhage usually occurs within 7 days and this can stop by itself or the hemorrhage can be controlled endoscopically i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only the unusual and serious cases requiring transfusion, angiography and surgery. We experienced a case of delayed massive hemorrhage with hypotension that required transfusion 12 days after performing endoscopic resection for rectal carcinoid tumor. We report here on this case to provide a good example and to place emphasis on delayed massive hemorrhage after endoscopic res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은 대장 용종의 표준 치료로 인정받고 있으며, 내시경 술기 및 기기의 발달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을 이용하여 점막에 국한된 조기 대장암 ...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은 대장 용종의 표준 치료로 인정받고 있으며, 내시경 술기 및 기기의 발달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을 이용하여 점막에 국한된 조기 대장암 및 일부 점막하 종양의 치료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시경적 절제술은 비교적 안전하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 수술적 치료를 대체하고 있으나 출혈, 천공 및 용종 절제술 후 응고 증후군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과 관련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로서 약 0.3∼6.1%에서 발생하며 시술 중에 발생하는 즉시 출혈과 시술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 출혈로 나눌 수 있다. 지연 출혈의 경우 대부분 일주일 내에 소출혈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저자들은 1.2 cm 크기의 직장 유암종을 내시경적 절제술로 제거한 후 조기 출혈 없이 퇴원하였으나, 시술 12일째 불안정한 활력 징후를 보이며 수혈 치료가 필요했던 대량 지연 출혈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준, "외래환자에서 대장내시경적 용종제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5 (25): 125-131, 2002

      2 Macrae FA, "Towards safer colonoscopy: a report on the complications of 5,000 diagnostic or therapeutic colonoscopies" 24 : 376-383, 1983

      3 Larghi A, "State of the art 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17 : 441-469, 2007

      4 Hui AJ, "Risk of colonoscopic polypectomy bleeding with anticoagulants and antiplatelet agents: analysis of 1,657 cases" 59 : 44-48, 2004

      5 Shiffman ML, "Risk of bleeding after endoscopic biopsy or polypectomy in patients taking aspirin or other NSAIDS" 40 : 458-462, 1994

      6 Watabe H, "Risk assessment for delayed hemorrhagic complication of colonic polypectomy: polyp-related factors and patient-related factors" 64 : 73-78, 2006

      7 Naunheim KS, "Rectal carcinoid tumors-treatment and prognosis" 94 : 670-676, 1983

      8 Sorbi D, "Postpolypectomy lower GI bleeding: descriptive analysis" 51 : 690-696, 2000

      9 Gibbs DH, "Postpolypectomy colonic hemorrhage" 39 : 806-810, 1996

      10 Ma L, "Platelets modulate gastric ulcer healing: role of endostat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lease" 6470-6475, 2001

      1 김봉준, "외래환자에서 대장내시경적 용종제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5 (25): 125-131, 2002

      2 Macrae FA, "Towards safer colonoscopy: a report on the complications of 5,000 diagnostic or therapeutic colonoscopies" 24 : 376-383, 1983

      3 Larghi A, "State of the art 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17 : 441-469, 2007

      4 Hui AJ, "Risk of colonoscopic polypectomy bleeding with anticoagulants and antiplatelet agents: analysis of 1,657 cases" 59 : 44-48, 2004

      5 Shiffman ML, "Risk of bleeding after endoscopic biopsy or polypectomy in patients taking aspirin or other NSAIDS" 40 : 458-462, 1994

      6 Watabe H, "Risk assessment for delayed hemorrhagic complication of colonic polypectomy: polyp-related factors and patient-related factors" 64 : 73-78, 2006

      7 Naunheim KS, "Rectal carcinoid tumors-treatment and prognosis" 94 : 670-676, 1983

      8 Sorbi D, "Postpolypectomy lower GI bleeding: descriptive analysis" 51 : 690-696, 2000

      9 Gibbs DH, "Postpolypectomy colonic hemorrhage" 39 : 806-810, 1996

      10 Ma L, "Platelets modulate gastric ulcer healing: role of endostat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lease" 6470-6475, 2001

      11 Soga J, "Pathologic analysis of carcinoids. Histologic reevaluation of 62 cases" 28 : 990-998, 1971

      12 Egashira K, "Impaired coronary blood flow response to acetylcholine in patients with coronary risk factors and proximal atherosclerotic lesions" 91 : 29-37, 1993

      13 Rosen L, "Hemorrhage following colonoscopic polypectomy" 36 : 1126-1131, 1993

      14 Singaram C, "Delayed postpolypectomy bleeding" 90 : 146-147, 1995

      15 Kim HS, "Delayed bleeding in a colonoscopic polypectomy: an experience with 5,236 polypectomies" 16 : 462-468, 2000

      16 Kim YS, "Complication of colonoscopic polypectomy" 21 : 917-923, 2000

      17 Waye JD, "Colonoscopy: a prospective report of complications" 15 : 347-351, 1992

      18 Rex DK, "Colonoscopy and endoscopic therapy for delayed post-polypectomy hemorrhage" 38 : 127-129, 1992

      19 Van Gossum A, "Colonoscopic snare polypectomy: analysis of 1,485 resections comparing two types of current" 38 : 472-475, 1992

      20 Suissa S, "Antihypertensive drugs and the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105 : 230-235,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