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지역에 와요가 전래된 삼국시대는 국가에서 관리하고, 축조하였을 것이다. 이는 기와의 사용이 왕궁이나 사찰 등에서 사용되어 신분적 위계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23746
2010
-
영남지역(嶺南地域) ; 와요(瓦窯) ; 종형(鐘形) ; 선형(線形) ; 세장방형(細長方形) ; 화구(火口) ; 연소실(燃燒室) ; 소성실(燒成室) ; 연도부(煙途部) ; Youngnam area ; roofing-tile kilns ; longitudinal ; linear ; thin -quadrangle ; fire hole ; burning chamber ; baking chamber ; smoke channel ; Youngnam area ; roofing-tile kilns ; longitudinal ; linear ; thin -quadrangle ; fire hole ; burning chamber ; baking chamber ; smoke channel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9-128(4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영남지역에 와요가 전래된 삼국시대는 국가에서 관리하고, 축조하였을 것이다. 이는 기와의 사용이 왕궁이나 사찰 등에서 사용되어 신분적 위계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
영남지역에 와요가 전래된 삼국시대는 국가에서 관리하고, 축조하였을 것이다. 이는 기와의 사용이 왕궁이나 사찰 등에서 사용되어 신분적 위계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기와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재료와 노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에는 민간에서 와요를 조성하고 기와를 대량 생산하게 되면서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와요에 관한 연구는 한 지역이나 특정 시기를 중심으로 형식을 분류하거나 한반도에서 확인된 와요의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구제발굴조사의 증가로 지역 단위의 연구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영남지역의 와요는 발굴조사를 통해서 자료의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방사선탄소(C14)나 고고지자기연대측정 등을 이용한 자연과학적 분석을 근거로 구조적 특징이 확인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남지역의 와요를 중심으로 구조적 변천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대와 고고학적 유물자료를 비교하여 유구의 조업연대를 설정하였다.
먼저 와요는 평면형태에 따라 종형, 선형, 세장방형으로 구분하고, 세부속성으로 화구, 연소실, 소성실, 연도부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기와의 고판문 가운데 시기적으로 변화양상을 보이는 선문계통, 어골문계통, 격자문계통, 화문계통, 중호문계통, 삼각집선문계통, 청해파문계통을 주요 속성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영남지역 와요의 자연과학적 분석자료를 근거로 시기적 변화양상을 7단계로 설정하였는데, ⅰ단계는 삼국시대로 종형과 선형의 와요가 공존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ⅱ단계는 통일신라말~고려시대 전기로 종형의 와요가 소멸하는 양상을 보인다. ⅲ·ⅳ단계는 고려시대로 선형의 와요만 구축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ⅴ단계인 고려시대 말~조선전기에 세장방형의 와요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이 후 ⅵ·ⅶ단계인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선형의 와요가 소멸하고 세장방형의 와요가 지속적으로 구축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과 같이 영남지역의 와요는 시기가 내려갈수록 대형화되고, 종형에서 선형으로, 선형에서 세장방형으로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재, "지리학" 법문사 1996
2 朴憲敏, "영남지방 고려~조선시대 瓦窯의 구조 분류" 21 : 2008
3 이상준, "생활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 -삼국시대 가마를 중심으로- 고고학의 새로운 지향"
4 김창억, "삼국시대 토기가마 조사방법론" (창간) : 2004
5 부여박물관, "동남리와요지 부여군지"
6 釜山博物館, "기장체육관부지 동부리유적"
7 朴鎭淑, "기와가마에 關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敎 1989
8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61
9 최태선, "고려시대 기와연구의 성과와 과제-평기와 연구를 중심으로-" 국기와학회 2004
10 최정혜, "高麗時代평기와의 編年硏究-문양형태를 중심으로-" 釜山廣域市立博物館 5 : 1996
1 권혁재, "지리학" 법문사 1996
2 朴憲敏, "영남지방 고려~조선시대 瓦窯의 구조 분류" 21 : 2008
3 이상준, "생활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 -삼국시대 가마를 중심으로- 고고학의 새로운 지향"
4 김창억, "삼국시대 토기가마 조사방법론" (창간) : 2004
5 부여박물관, "동남리와요지 부여군지"
6 釜山博物館, "기장체육관부지 동부리유적"
7 朴鎭淑, "기와가마에 關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敎 1989
8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61
9 최태선, "고려시대 기와연구의 성과와 과제-평기와 연구를 중심으로-" 국기와학회 2004
10 최정혜, "高麗時代평기와의 編年硏究-문양형태를 중심으로-" 釜山廣域市立博物館 5 : 1996
11 崔晶惠, "高麗時代평기와의 編年硏究-문양형태를 중심으로-" 慶星大學校 1996
12 崔英嬉, "高麗時代평기와의 屬性에 관한 檢討-江原地方出土遺物을 對象으로-" 3 : 2004
13 金永喆, "韓國의 鬼面紋樣硏究-기와에 나타난 귀면문양을 중심으로-" 全南大學校 1991
14 金鎬詳, "韓國의 木炭窯硏究" 大邱카톨릭大學校 2003
15 최몽룡, "百濟時代의 窯址硏究"
16 李勳, "瓦窯의 構造形式變遷" 公州大學校 1996
17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浦項院洞第3地區學術調査報告" 2004
18 홍보식, "新羅後期古墳文化硏究" 춘추각 2003
19 김성구, "扶餘의 百濟窯址와 出土遺物에 대하여" 21 : 1990
20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州芳內里生活遺蹟 in: 嶺南文化財硏究院學術調査報告書第134冊" 2007
21 東國大學校慶州캠퍼스博物館, "慶州孫谷洞·勿川里遺蹟(Ⅱ)-墳墓群-"
22 趙成允, "慶州出土新羅평기와의 編年試案" 慶州大學校 2000
23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 "彌勒寺遺蹟發掘調査報告書Ⅱ"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1996
24 崔兌先, "平瓦製作法의 變遷에 관한 硏究" 慶北大學校 1993
25 경남문화재연구원, "居昌上洞遺蹟Ⅰ"
26 金誠龜, "夫餘의 百濟窯址와 出土遺物에 대하여" 21 : 1990
27 李惠京, "三國時代白炭가마 硏究" 嶺南大學校 2004
28 "三國史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