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종교윤리의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기존 종교의 폐쇄적 독선주의적인 면을 살펴보고 화이트헤드의 미학과 원효의 화쟁을 통해 종교윤리의 시원이 무엇으로 구성되어야하는지를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27993
2006
Korean
종교윤리 ; 폐쇄적 독선주의 ; 화이트헤드 ; 원효 ; 미 ; 화쟁 ; Religious Ethics ; Exclusive Self-righteousness ; Whitehead ; Wonwheo ; aesthetics ; Hwajaeng
190.7
KCI등재
학술저널
179-206(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종교윤리의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기존 종교의 폐쇄적 독선주의적인 면을 살펴보고 화이트헤드의 미학과 원효의 화쟁을 통해 종교윤리의 시원이 무엇으로 구성되어야하는지를 제...
이글은 종교윤리의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기존 종교의 폐쇄적 독선주의적인 면을 살펴보고 화이트헤드의 미학과 원효의 화쟁을 통해 종교윤리의 시원이 무엇으로 구성되어야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21세기는 이념보다는 종교 블럭으로 형성된 세계이다. 종교 간의 문제는 매우 조심스러운 문제이기에 종교윤리교육을 통하여 종교 간의 대화 및 종교의 발전과 개별 종교의 성숙이 이루어진다면 윤리교육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 종교윤리교육은 새로운 시대를 예비하는 교육이 될 것이다. 이러한 종교윤리의 기본적 틀로서 화이트헤드의 미학에 있어서 과정적(process) 세계관과 아름다움, 그리고 관계성의 이해는 원효의 차이를 통한 공존, 절대와 상대의 회통, 성과 속의 조화로서 화쟁의 미학과 대화를 시도하여 본다면 첫째, 다종교 사회인 우리나라의 종교교육은 종교윤리적 측면이 기본적인 교육의 내용이 되어야 한다. 둘째, 일반윤리 교육과 그 신념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종교윤리교육은 그 필요성에 있어서 절실하나, 종교의 특성상 개별 종교교육에 맡겨져 왔다. 그러나 종교윤리교육이라는 간종교적인 학문적 위상을 정립, 새로운 윤리교육의 측면에서 종교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종교윤리교육은 종교 간의 대화의 차원을 넘어 각 종교 간의 실천적인 면에 중점을 두고, 구체적인 교과내용으로 실행되어져야 한다. 넷째, 화이트헤드의 미학에 있어서 과정적 세계관과 관계성에 대한 이해는 종교 이해의 기본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종교윤리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원효의 화쟁 사상 역시 종교윤리와 종교윤리교육의 기본 사유 틀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본적인 사유 틀을 중심으로 종교윤리교육의 교과과정이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미(美) 형태와 기능 : 대칭미로의 여행
COURSERA Tim WhiteKorean Aesthetics
K-MOOC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한나 김, 최 석, 메이린 친, 정혜린, 박소현, 고연희, 최도빈, 이주연, 박소정Korean Aesthetics
K-MOOC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한나 김, 최 석, 메이린 친, 정혜린, 박소현, 고연희, 최도빈, 이주연, 박소정[놀라운 아이디어] 언약과 미의 결정, 웨딩 링
YTN SCIENCE(MOOC) 위대한 수업3(GREAT MINDS) : 미.중 패권 전쟁
K-MOOC EBS 비노드 아가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