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17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특수성을 근거로 문화 자본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의에 대해, 한국 사회의 보다 심층적인 구조와 재생산 메커니즘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문화 자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반론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미국 문화사회학에서의 부르디외 문화 자본론 관련 연구들을 한국사회 연구에 있어서의 함의점이라는 측면에서 문화 자본론의 적용성, 문화자본과 계급의 상응성, 그리고 문화 자본의 생성과 제도화라는 세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이 세 가지 주제는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확장 발전시켜 문화사회학의 주요 분야로 자리잡은 대표적인 예들이다. 다음으로 그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어온 문화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이 세 주제의 맥락에서 개괄하고 보다 활발하고 풍부한 문화 자본 논의와 경험적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 문화 자본을 좀 더 광범위하고 적응성 있는 개념으로 재개념화하고 좀 더 폭넓은 시각에서 문화 자본론을 해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작용하고 있는 문화 자본의 형태와 그 작동 방식을 밝혀내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 자본의 실증적 연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문화 활동 및 취향 전반에 관한 광범위한 실태 파악과 지속적인 조사 자료의 집적이 중요하다. 셋째, 서구의 고급문화, 대중문화, 그리고 생활양식들이 어떻게 한국 사회에 스며들어 제도화되어왔는가에 대한 사회사적인 시각을 가진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특수성을 근거로 문화 자본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의에 대해, 한국 사회의 보다 심층적인 구조와 재생산 메커니즘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국 사...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특수성을 근거로 문화 자본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의에 대해, 한국 사회의 보다 심층적인 구조와 재생산 메커니즘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문화 자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반론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미국 문화사회학에서의 부르디외 문화 자본론 관련 연구들을 한국사회 연구에 있어서의 함의점이라는 측면에서 문화 자본론의 적용성, 문화자본과 계급의 상응성, 그리고 문화 자본의 생성과 제도화라는 세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이 세 가지 주제는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확장 발전시켜 문화사회학의 주요 분야로 자리잡은 대표적인 예들이다. 다음으로 그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어온 문화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이 세 주제의 맥락에서 개괄하고 보다 활발하고 풍부한 문화 자본 논의와 경험적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 문화 자본을 좀 더 광범위하고 적응성 있는 개념으로 재개념화하고 좀 더 폭넓은 시각에서 문화 자본론을 해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작용하고 있는 문화 자본의 형태와 그 작동 방식을 밝혀내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 자본의 실증적 연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문화 활동 및 취향 전반에 관한 광범위한 실태 파악과 지속적인 조사 자료의 집적이 중요하다. 셋째, 서구의 고급문화, 대중문화, 그리고 생활양식들이 어떻게 한국 사회에 스며들어 제도화되어왔는가에 대한 사회사적인 시각을 가진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sociologists argue cultural capital does not exist in Korea because of historical and social uniqueness of the society. I raise a counterargument by contending that in-depth study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is essent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structure and the reproduction mechanism of Korean society. In an attempt to find implications on Korean society, I address American studies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ree subjects: applicability of his theory; correspondency between class and cultural capital; and gene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ese three subjects, Bourdieu’s theory has critically expanded and become a major part of sociology of culture in America. Then, I summarize Korean studies on cultural capital in the light of the three subjects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the pertinence of researches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For more active discussions on cultural capital and more appropriate empirical studies, I make three suggestions. First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forms of cultural capital and their operating mechanism in Korea. In order to do that,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to make it more extensive and more adaptive. Also, we should interpret the theory of cultural capital in broader context. Secondly, for active empirical studies on cultural capital, we should collect and accumulate data on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tastes. Thirdly, with socio-historical perspective, we should perform systematic studies to reveal how western high culture, popular culture, and life style have permeated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become institutionalized.
      번역하기

      Some sociologists argue cultural capital does not exist in Korea because of historical and social uniqueness of the society. I raise a counterargument by contending that in-depth study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is essential in order to understand t...

      Some sociologists argue cultural capital does not exist in Korea because of historical and social uniqueness of the society. I raise a counterargument by contending that in-depth study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is essent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structure and the reproduction mechanism of Korean society. In an attempt to find implications on Korean society, I address American studies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ree subjects: applicability of his theory; correspondency between class and cultural capital; and gene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ese three subjects, Bourdieu’s theory has critically expanded and become a major part of sociology of culture in America. Then, I summarize Korean studies on cultural capital in the light of the three subjects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the pertinence of researches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For more active discussions on cultural capital and more appropriate empirical studies, I make three suggestions. First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forms of cultural capital and their operating mechanism in Korea. In order to do that,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to make it more extensive and more adaptive. Also, we should interpret the theory of cultural capital in broader context. Secondly, for active empirical studies on cultural capital, we should collect and accumulate data on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tastes. Thirdly, with socio-historical perspective, we should perform systematic studies to reveal how western high culture, popular culture, and life style have permeated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become institutionaliz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
      • Ⅱ. 미국 문화사회학에서의 문화 자본론
      • Ⅲ.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 자본 연구를 위한 제언
      • Ⅳ. 맺으며
      • 참고 문헌
      • Ⅰ.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
      • Ⅱ. 미국 문화사회학에서의 문화 자본론
      • Ⅲ.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 자본 연구를 위한 제언
      • Ⅳ. 맺으며
      • 참고 문헌
      • 영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