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보육교사의 역량 중 교수창의성에 주목하였으며 나아가 교수창의성을 예측하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 D, F, C도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과 국공립어린이집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05302
2025
-
373
KCI등재
학술저널
513-525(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보육교사의 역량 중 교수창의성에 주목하였으며 나아가 교수창의성을 예측하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 D, F, C도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과 국공립어린이집의 ...
목적 보육교사의 역량 중 교수창의성에 주목하였으며 나아가 교수창의성을 예측하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 D, F, C도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과 국공립어린이집의 교사 179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사의 창의적 인성, 그리고 교사의 놀이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의 놀이성은 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인성과 놀이성의 하위요인들도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놀이성이 교수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놀이성을 발견하고 이를 개발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teaching creativity among the competencies of child-care teachers and aimed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ir teaching creativity. Methods To this end, 179 teachers from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teaching creativity among the competencies of child-care teachers and aimed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ir teaching creativity.
Methods To this end, 179 teachers from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 D, F, and C provinc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creative personality, and playfulness.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playfulness of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teaching creativity, and the sub-factors of both creative personality and playfulnes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factors of teaching creativity.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playfulness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ly influence teaching creativity.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that helps discover and develop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playfulness of child-care teac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중장년 재직자가 인식한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메타분석적 경로분석: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