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 장애에 대한 올란자핀의 효과와 안전성 = Efficacy and Safety of Olanzapi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 Open Multicenter Clinical Tri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24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항정신병약물인 올라자핀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0년 3월까지 국내 ...

      연구목적 :
      본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항정신병약물인 올라자핀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0년 3월까지 국내 10개 병원에 방문한 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 장애 105명을 대상으로 비대조 개방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정신병 증상을 지니거나, 부작용으로 약물교체가 필요한 경우 또는 기분장애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7일간의 약물 배설기간 후에 1일 10mg의 올란자핀을 투여하였고, 이후로 3∼7일 간격으로 용량을 조절하여 총 8주간 투여하였다. 치료 효과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MADRS(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HAM-A(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로 판정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활력징후와 혈액 검사 및 SAS(Simpson-Angus Scale), BARS(Barnes Akathisia Rating Scale), AIMS(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척도를 이용하였다.
      결 과 :
      105명중에서 85.7%인 90명이 8주간의 치료를 완료하였다. 평균 최빈 용량은 일일 16.1(±4.7)mg이었고, 종료시점에서의 BPRS전체 점수가 기저 상태에 비해 40%이상 감소된 반응군은 69.5%이었다. PANSS의 양성 증후군과 일반정신병리 뿐만 아니라 음성 증후군 소척도에서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 감소들은 치료 초기부터 나타나서 8주간 지속되었다. 43.8%의 피험자가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상을 같이 지니고 있었으며, 올란자핀에 의해 MADRS와 HAM-A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치료 기간 동안에 활력징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체중은 8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SAS와 AIMS는 감소하였으며, 정좌불능증을 제외한 나머지 추체외로 증상의 발생비율도 낮았다. 임상적인 증상이나 징후를 동반하지 않는 ALT/SGPT의 상승을 보였지만 프로락틴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혈액 검사상 뚜렷한 이상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비록 본 임상연구가 비대조 개방 임상연구로서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올란자핀이 기존 약물에 내약성을 보이거나 기분증상을 동반하는 정신병에 치료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 치료시에 문제가 되었던 추체외로 증상과 고프르로락틴 혈증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부작용면에서 안전성을 보여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he safety of olanzpine for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Mothod : 105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visited at 10 mental or ...

      Objective : 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he safety of olanzpine for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Mothod : 105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visited at 10 mental or university hospitals, had received an open and non-comparative treatment with olanzapine for 8 weeks. Patients had psychotic or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severity above moderate degree or intolerable side effects to previous antipsychotics. After a wash-out period of 2-7 days, 10mg olanzapine was prescribed initially to all the patients, and then the dosage could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mg/day of olanzapine by 3-7 days.
      Results : 90(85.7%) of 105 patients completed the 8-weeks trial and the mean modal dose of olanzapine was 16.1(±4.7%)mg/day. At the end of the trial, 73 patients(69.5%) were classified as responder, which was defined as 40% or more improvement in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score comparing to baseline.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scores of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and subscales including negative symptom scores and CGI. Also weekly analysis showed that the reductions in scores were kept on for the whole period of the trial. 43.8% of all the patients had depressive symptoms at the baseline and total scores of MADRS(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and HAM-A(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were also reduced after the trials. Vital signs revealed no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s but continuous weight gain was observed during the treatment with olanzapine. The scores of SAS(Simpson-Angus Scale) and AIMS(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for assessing the EPS(extrapyramidal symptoms)and tardive dyskinesia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only a few patients reported EPS as adverse events. Although mild and clinically non-significant of ALT/SGPT was observed, most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plasma prolactin level showed t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Although this trial had many limitations because it was a non-comparative and open study, olanzapine showed high efficacy on the positive, negative and depress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In addition to that, olanzapine showed a substantially favorable safety profile, such as low incidence of EPS and hyperprolactinem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방 법
      • 1.연구대상
      • 2.약물 투여
      • 3.효과 및 안정성 평가
      • 서 론
      • 방 법
      • 1.연구대상
      • 2.약물 투여
      • 3.효과 및 안정성 평가
      • 5. 통계분석
      • 결 과
      • 1.피험자 특성 및 완료군과 탈락군간의 비교
      • 2.약물의 사용
      • 3.임상적인 효과
      • 4.안전성의 검사
      • 고 찰
      • 1.올란자핀 약물 사용력
      • 2.치료 효과 평가
      • 3.안정성 평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