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출현은 사회운동을 빠르게 변모시키고 있다. 인터넷이 사회운동의 새로운 도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은 사회운동의 새로운 활동무대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터넷...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36102
2008
Korean
인터넷 ; 온라인 사회운동 ; 조직운동 ; 네트워크운동 ; Internet ; online social movements ; organization ; network
KCI등재
학술저널
5-42(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의 출현은 사회운동을 빠르게 변모시키고 있다. 인터넷이 사회운동의 새로운 도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은 사회운동의 새로운 활동무대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터넷...
인터넷의 출현은 사회운동을 빠르게 변모시키고 있다. 인터넷이 사회운동의 새로운 도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은 사회운동의 새로운 활동무대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터넷의 등장이 사회운동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결과 사회운동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운동주체와 운동형태라는 두 측면에서 온라인 사회운동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그리고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사회운동의 사례들을 검토하고 이들의 특성을 살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최근 사회운동들은 조직운동과 네트워크운동으로 분화되고 있으며, 이들은 온라인을 부분적으로 혹은 전면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온라인의 활용은 운동역량을 확대하고, 운동응집력을 강화하며, 새로운 운동전략 및 전술을 창출시키며, 초국가적 연대운동의 등장 을 촉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방흥h이 사회운동의 활성화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운동의 활성화는 근본적으로 공동체에 대한 시민들의 ‘책임 있는’ 태도와 행동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vent of the Internet has rapidly changed social movements. The Internet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by social activists, while the cyberspace being regarded as a stage of social movements.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s of ...
The advent of the Internet has rapidly changed social movements. The Internet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by social activists, while the cyberspace being regarded as a stage of social movements.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s of the Internet on social movement environments, as well as the changes the Internet has brought about in social movements. For these purposes, a typology of online social movements is constructed in terms of 'movement actor' and 'movement form,' and various cases belonging to the typology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social movements are differentiating themselves between 'organization movements' and 'network movements,' while they are using the Internet on a partial or full scale.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e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movements' capability, strengthening the movements' internal cohesion, creating new campaign strategies, and facilitating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However, the Internet use does not mean a revitalization of social movements, because the revitalization depends on the Netizens' responsible attitude and a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 정보화 행정 및 정책 연구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
MMO(Sassively Multiplayer Online)게임의 네트워크 외부효과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