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시행한 골수강내 금속성 고정술 = Intramedullary Nailing in Distal Tibial Meta-Diaphyseal Fra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62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폐쇄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18예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이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1...

      목 적: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폐쇄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18예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이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1년 6월까지 경골 원위 골간단-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형태는 Robinson 등의 분류에 따라 제1형이 7에, 제2A형이 7예, 제2B형이 1예, 제2C형이 3예이었으며, 가장 원위부의 골절선과 족관절 사이의 길이는 평균 2.6±1.1㎝ (0~5)이었다. 전 환자에서 족관절의 기능, 골유합 시기,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원위 비골 골절이 동반된 10예 중 7예에서 금속판 및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4예에서 골수정 삽입 후 부정정열을 보여 수술 중에 각각 1개의 Poller 나사를 사용하여 변형을 고정하였다. 전 예에서 골유합을 이루었고, 골유합 시기는 평균 20주 (12~40주)였다. Blaird의 방법에 의한 족관절의 평균 기능적 점수는 92.5점이었다. 1예에서 9도의 전굴 변형(antecurvatum)을 보였으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았다.
      결 론: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수술에 의한 연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조기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높은 골유합률과 함께 합병증도 적어 좋은 치료 방법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closed intramedullary nailing 18 cases of distal tibi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9 to June 2001, eighteen patients were treated by closed intramedullar...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closed intramedullary nailing 18 cases of distal tibi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9 to June 2001, eighteen patients were treated by closed intramedullary nailing for distal tibial meta-diaphyseal fracture. According to Robinson classification, there were 7 type 1 fractures, 7 type 2A fractures, 1 type 2B fractures, and 2C type fractures. The mean distance between distal end of fracture and tibial plafond was 2.6±1.1㎝ (0~5㎝). We evaluated both clinical and radiographic parameters.
      Results: Plate fixation of distal fibular fracture was performed in 7 cases. Poller screw was used in 4 cases which showed malalignment after insertion of nail. The mean score was 92.5 point by Blaird ankle scoring system. All patient got the bone union average of 20 weeks (12~40 weeks). In patient had a antecurvatum deformity of 9 degrees.
      Conclusion: Intramedullary nailing for distal tibial fracture is one of the safe and reliable method for managing these inju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