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방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12207
2022
Korean
공감 ; 상담 ; 심리치료 ; 연구동향 ; Empathy ; Counseling ; Psychotherapy ; Research Trend
331
KCI등재
학술저널
511-536(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식, "현대인의 정신건강" 불광출판사 2021
2 김소영, "한국판 아동용 인지적·정서적·신체적 공감척도(K-CASES) 타당화 연구" 카톨릭대학교 2018
3 정명선, "한국판 균형정서공감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3 (13): 1781-1797, 2012
4 Rogers, C. R., "칼 로저스의 사람 중심 상담" 학지사 2007
5 김광웅 ; 최명선 ; 한현주, "치료자의 전문적 경험과 공감능력이 내담아동이 지각한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503-522, 2005
6 송재영 ; 이윤주,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의 공감유형의 차이 분석" 한국상담학회 15 (15): 125-144, 2014
7 이장희 ; 최지은, "초등학생용 공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8 (18): 259-277, 2019
8 우미혜 ; 유형근 ; 정연홍,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7 (17): 151-167, 2016
9 정세희 ; 한경아,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3) : 323-353, 2020
10 명소연 ; 이동훈, "청소년상담자의 대리외상 및 대처과정에 관한 질적연구-학대피해 상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515-540, 2020
1 이동식, "현대인의 정신건강" 불광출판사 2021
2 김소영, "한국판 아동용 인지적·정서적·신체적 공감척도(K-CASES) 타당화 연구" 카톨릭대학교 2018
3 정명선, "한국판 균형정서공감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3 (13): 1781-1797, 2012
4 Rogers, C. R., "칼 로저스의 사람 중심 상담" 학지사 2007
5 김광웅 ; 최명선 ; 한현주, "치료자의 전문적 경험과 공감능력이 내담아동이 지각한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503-522, 2005
6 송재영 ; 이윤주,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의 공감유형의 차이 분석" 한국상담학회 15 (15): 125-144, 2014
7 이장희 ; 최지은, "초등학생용 공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8 (18): 259-277, 2019
8 우미혜 ; 유형근 ; 정연홍,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7 (17): 151-167, 2016
9 정세희 ; 한경아,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3) : 323-353, 2020
10 명소연 ; 이동훈, "청소년상담자의 대리외상 및 대처과정에 관한 질적연구-학대피해 상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515-540, 2020
11 오지현 ; 김진, "집단치료놀이에 참여한 특수교사의 상호작용행동 및 공감반응 변화과정과 의미" 한국놀이치료학회 22 (22): 489-515, 2019
12 조고은, "집단예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17
13 최신현 ; 김갑숙, "집단미술치료가 성폭력가해자의 강간통념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813-837, 2016
14 선우현 ; 최광현, "집단놀이치료 기반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203-210, 2014
15 김경선 ; 오오현,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실천신학회 (74) : 639-664, 2021
16 김정애, "주변인물 ‘되기’를 통한 서사의 공감 방안 연구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주체’ 개념을 활용하여-" 한국문학치료학회 56 : 9-46, 2020
17 임려원, "조현병 환자의 정서표현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과정 분석" 7 (7): 21-39, 2015
18 박민, "장애인의 공감 능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8 (28): 70-89, 2020
19 Peter, A. Lessem, "자기심리학 개론"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9
20 김정선, "임상심리학적 공감 개념과 공감의 신학적 의미" 한국실천신학회 (59) : 507-536, 2018
21 정수지 ; 오승진,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1 (11): 159-178, 2015
22 Keysers, "인간을 어떻게 서로를 공감하는가" 바다 2018
23 장대익, "인간에 대하여 과학이 말해준 것들" 바다출판사 2013
24 김경숙 ; 정현주, "음악과 심상 내 자기-공감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 (20): 25-44, 2020
25 박준휘 ; 최성진 ; 홍창희, "영화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정서인식과 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479-497, 2013
26 김명신,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17 (17): 39-54, 2020
27 정새롬 ; 김윤희, "아동용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공감 척도(K-CASES)의 국내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22 (22): 253-273, 2021
28 하소영, "상담학에서 공감연구에 대한 고찰: 상담학 분야 주요학술지 중심으로"
29 김은하,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 고찰: 국내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2851-2867, 2013
30 나현미 ; 정남운, "상담자의 성인애착, 상담자 발달수준 및 공감과 상담 초기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339-369, 2016
31 오예현 ; 장재홍, "상담자의 공감을 지각하는 청소년 내담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299-319, 2015
32 고문정, "상담자의 공감나누기 체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1-23, 2016
33 조화진 ; 김민정, "상담자 애착과 작업동맹의 관계: 역전이 관리능력과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9 (19): 41-64, 2018
34 김요완, "상담 챗봇의 알고리즘 구축을 위한, 공감적 경청, 공감, 라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8 (8): 487-499, 2019
35 주은선, "상담 종사자들의 인간중심 집단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22 (22): 47-68, 2016
36 황미애, "사회지배성향, 미디어 노출과 공감이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37 권신정 ; 김강민, "사회복지학문 분야에서 공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44-553, 2020
38 유찬기 ; 남기범, "사회과학의 공감연구 동향과 특성"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3) : 75-100, 2018
39 성미경 ; 박성희, "사이버상담자의 심리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 소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12 (12): 231-242, 2021
40 박상희,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7 (7): 1-18, 2014
41 조정미, "부모 공감에 대한 동향연구" 3 (3): 58-75, 2020
42 신민주 ; 주용국,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8 (28): 413-440, 2018
43 정성옥, "문학치료적 글쓰기와 관계적 자아정체성의 내러티브 연구" 경북대학교 2016
44 김정애, "문학치료 활동을 통해 본 서사능력과 공감능력의 상관관계" 한국문학치료학회 48 : 9-39, 2018
45 조희주, "문학치료 임상에서 공감나누기의 치료적 기능과 의미 - 개방병동의 조현병 환자를 사례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37 : 351-378, 2015
46 이용순 ; 박성희,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공감능력향상, 또래지지 및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30, 2017
47 진현경 ; 손주희, "다문화부모의 공감능력이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초등교육과정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3 (13): 164-184, 2019
48 이미선 ; 이경하, "놀이를 활용한 집단예술치료가 초기 성인 조현병 환자의 정서표현과 질병침습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4 (24): 39-55, 2020
49 이호선, "노인 상담가들의 공감유형" 한국노년교육학회 4 (4): 1-19, 2018
50 이정미 ; 이윤주, "내담자가 지각한 공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2027-2048, 2013
51 김혜미, "구비설화를 활용한 청소년 대상 세대 공감 문학치료 사례 연구-청소년의 ‘청년성 회복’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55) : 119-162, 2019
52 정지희, "교도소 수형자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지지, 공감능력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9 (9): 49-63, 2016
53 김미옥, "공감훈련프로그램이 정신분열환자의 공감능력,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7 (7): 1-13, 2013
54 김윤희 ; 김진숙,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1-21, 2015
55 박성희, "공감학" 학지사 2004
56 Krznaric, R., "공감하는 능력" 더 퀘스트 2018
57 Rizzolatti, "공감하는 뇌" 울산대학교 출판사 2016
58 송용섭, "공감적 인공지능상담가 활용에 대한 미래 전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99 : 163-194, 2020
59 Howe, D., "공감의 힘" 지식의 숲 2013
60 조성호, "공감의 이해" 22 : 5-31, 2004
61 Rifkin, J.,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62 김용희, "공감능력과 관련된 성격특성 및 성차"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573-585, 2007
63 허순향, "공감능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대전대학교 2017
64 백민아, "공감교육을 위한 독일 전환기 문학의 가치" 서울대학교 2019
65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문음사 1997
66 이광자, "건강 상담 심리" 아세아문화사 2012
67 황태연, "감정과 공감의 해석학" 청계 2014
68 홍시명, "간호대학생의 공감 연구에 대한 국내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11 (11): 369-384, 2020
69 정진옥 ; 김수,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공감능력, 대인관계 능력 및 돌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44-356, 2019
70 정진옥,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대인관계능력 및 돌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2016
71 Bacal, H. A., "Theories of Object Relations: Bridges to Self Psych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0
72 Finn, S. E., "The many faces of empathy in experiential person-centered, collaborative assessment" 91 (91): 20-23, 2009
73 Barrett-Lennard, G. T., "The empathy cycle" 1981
74 Wispé, L, "The distinction between sympathy and empathy: To call forth a concept, a word is needed" 50 (50): 314-321, 1986
75 Stolorow, R. D., "The Intersubjective Perspective" 1994
76 Lessem, P. A., "Self Psychology" Jason Aronson Inc 2005
77 김영란, "Rogers 및 Kohut가 정의하는 공감의 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553-569, 2004
78 Feshbach, N. D., "Progress in Experimental Personality Research" Academic Press 1978
79 Charkabarti, B., "Progerss in brain reserch" Elsevier 402-417, 2006
80 Rankin, K. P., "Pattern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18 (18): 28-36, 2005
81 Haase, R. F., "Nonverbal components of empathiccommuniction" 1972
82 Carr, L., "Neural mechanisms of empathy in humans: A relay from neural systems for imitation to limbic areas" 100 (100): 5497-5502, 2003
83 Mead, G. H., "Mind, self and socie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84 Elliott, R., "Measuring response empathy: The Development of a multicomponent rating scale" 29 (29): 379-387, 1982
85 Kohut, H., "Introspection, empathy, and psychoanalysi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 of observation and theory" 1959
86 MacIsaac, S., "Empathy: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9-67, 2011
87 Baston, D., "Empathy: From Bench to Bedside" MIT Press 3-15, 2009
88 Decety, J., "Empathy: From Bench to Bedside" MIT Press 7-9, 2012
89 Bohart A. C., "Empathy reconsidered: New directions in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7
90 Bozarth, "Empathy from the Framework of Client-centered Theory and the Rogerian"
91 Eisenberg,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92 Strayer, "Empathy and its development" New york 1987
93 Jeffrey, L. T., "Empathy Reconsidered: New Directions in Psychotherapy" 279-291, 1997
94 Coplan, A., "Empathy :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95 Rogers, C. R., "Empathic: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1975
96 Staemmler, M. F., "Das Geheimnis des Anderen-Empathie in der Psychotherapie" Klett-Cotta 2009
97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 in empathy" 10 : 85-, 1980
중국 실업계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동기, 전공 만족도 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대학생의 그릿, Good Job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대만 대학생을 중심으로 -
북한 문화예술의 장르적 특성 연구 - “정탐물”을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