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초등돌봄
- 2. 지자체 돌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12201
2022
Korean
331
KCI등재
학술저널
359-383(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원, "한국의 방과후학교와 주요 쟁점" 한국방과후학교학회·성균관대학교교육정책연구원 1-17, 2016
2 백도현, "학교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 정미경, "초등학교 돌봄교실 전담교사의 직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7 (7): 1-28, 2016
4 양윤이 ; 이태연,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직영과 사회적 기업에 의한 위탁 운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71-200, 2013
5 양윤이 ; 이태연, "초등돌봄교실의 운영 영역별 지향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11-228, 2016
6 장명림, "초등돌봄교실 운영 내실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9
7 한국교육개발원,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8 최현임, "초등 방과 후 돌봄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모색 실행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21
9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10 양승희, "창의적 활동 중심의 방과 후 아동 지도 이론과 실제"
1 김홍원, "한국의 방과후학교와 주요 쟁점" 한국방과후학교학회·성균관대학교교육정책연구원 1-17, 2016
2 백도현, "학교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 정미경, "초등학교 돌봄교실 전담교사의 직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7 (7): 1-28, 2016
4 양윤이 ; 이태연,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직영과 사회적 기업에 의한 위탁 운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71-200, 2013
5 양윤이 ; 이태연, "초등돌봄교실의 운영 영역별 지향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11-228, 2016
6 장명림, "초등돌봄교실 운영 내실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9
7 한국교육개발원,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8 최현임, "초등 방과 후 돌봄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모색 실행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21
9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10 양승희, "창의적 활동 중심의 방과 후 아동 지도 이론과 실제"
11 김은정, "지역사회 초등돌봄 체계구축을 위한 사회적경제 모델 연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9
12 배선미 ; 최영희 ; 송승민 ; 차승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과 양육죄책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8 (28): 301-312, 2017
13 "아동권리보장원(지역아동센터)"
14 "아동권리보장원(다함께돌봄사업)"
15 이혜숙,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 방안" 서울연구원 2019
16 이혜숙, "서울시 방과 후 돌봄 지역사회 협력방안" 서울연구원 2018
17 "방과후포털시스템"
18 윤향미 ; 조문석 ; 오재록, "방과후 돌봄서비스사업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181-203, 2013
19 박일수, "방과 후 학교 강사의 자질과 전문성 신장방안"
20 윤경선, "방과 후 아동보호 실태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욕구에 관한 연구" 3 (3): 129-168, 2018
21 보건복지부, "다함께돌봄사업 안내"
22 서울특별시교육청, "2021학년도 서울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23 통계청, "2020 통계 자료(여성취업율, 맞벌이비율 관련 통계자료)"
24 교육부, "2017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한국교육개발원 2017
25 양애경, "(현장중심)보육학개론" 공동체 2018
중국 실업계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동기, 전공 만족도 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대학생의 그릿, Good Job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대만 대학생을 중심으로 -
북한 문화예술의 장르적 특성 연구 - “정탐물”을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