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폭력의 근원과 전이 = The Origin and Dissemination of the Violence- A Touch of 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56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 있어서 폭력이란 단순히 타인에게 가하는 물리적인 힘이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힘 혹은 권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비소통적인 힘의 사용이라는 의미로 확대 되고 있다. 이러한 폭...

      현대사회에 있어서 폭력이란 단순히 타인에게 가하는 물리적인 힘이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힘 혹은 권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비소통적인 힘의 사용이라는 의미로 확대 되고 있다. 이러한 폭력이 영화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단순히 시각적 스펙터클로 소비 되는 경우와 그것이 갖는 사회적인 의미에 대한 진지한 탐구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이를 간단히 말하자면 ‘폭력영화’와 ‘폭력에 관한 영화’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화에서의 폭력의 문제를 현실사회에 미치는 영화 매체의 영향력이라는 차원으로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화라는 예술 장르가 현실 의 문제를 어떻게 미학적으로 다루는가의 문제를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화와 폭력의 문제를 살펴보기 위한 사례로서 중국 6세대 의 대표적 감독인 지아장커의 2013년도 작품 <천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그 자체에 대해서(text) 그리고 다른 텍스트들 과의 상관관계 하에서(inter-text), 그리고 현실이라는 맥락 하에서(con-text)에서와 같 이 보다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지아장커의 천주정은 웨이보에 실렸던 실제의 폭력 사건들로부터 영감을 받아 만든 일종의 옴니버스 영화이다. 텍스트의 차원에서 보자면 이 작품은 프롤로그와 에필로 그 그리고 총 4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있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산시의 광산에서 일어난 폭력사건을, 두 번째 에피소드는 충칭에서 일어난 연쇄 강도사건을, 세 번째 에피소드는 후베이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을, 그리고 네 번째 에피소드는 동관에서 일어난 한 공원의 자살사건을 그린다. 별다른 관련이 없는 네 에피소드는 정교하게 얽혀있지는 않지만 현대 중국의 모습을 거대하게 그려내는 모자이크와도 같다. 폭력 을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침투에 의해 발생하는 권력의 문제로 바라보며 그것의 탄생 에서부터 변형, 그리고 전이에 이르는 여러 과정들을 다양한 경제적 상황에 놓인 다양한 지역들을 가로지르며 보여준다. 상호텍스트성의 차원에서 볼 때 이 작품은 이러한 중국의 현실 그리고 폭력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무협이라는 기존의 장르를 차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형적인 장르의 관습을 따르면서도 때로는 그 관습에서 어긋 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 작품은 단순한 장르의 규정을 넘어서서 장르와 개별 작품 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벌어지는지를 보여준다. 현실의 맥락에서 보자면 이 작품은 단순한 고립된 예술작품이 아니라 중국의 현실을 보여주는 제 3세계의 민족 적 알레고리로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정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파생시키지만, 이 작품이 바라보고자하는 중국의 현실과 그 현실에서 나타나고 있는 폭력의 계보도 를 냉정하게 그려내면서 일종의 저항의 교두보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영화와 폭력은 단순한 반영의 문제만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어떻게 상호 침투하며 상호작용을 일으키는지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또한 진지하게 폭력에 대해 접근하는 폭력에 관한 영화는 현실을 미학화하는 것이 아니라 미학을 현실화함으로써 영화라는 예술 장르가 가진 근본적인 힘을 다시 한 번 드러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odern Society, The meaning of the violence is not only the physical action but the use of the power caused by the unbalance of the power. And it also means the destruction of th communication. In the film, the violence is used in two different...

      In the Modern Society, The meaning of the violence is not only the physical action but the use of the power caused by the unbalance of the power. And it also means the destruction of th communication. In the film, the violence is used in two different ways. First, the film use the violence as the spectacle for the visual pleasure. Second, the film used the violence as the subject itself. We can call the second case not ‘the violence film’ but ‘the film about the violence’. This thesis deals with ‘the film about the violenc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and the reality.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analyzes A Touch of Sin. The director of A Touch of Sin is Jia Zhangke, the representative of the sixth generation of the china cinema. Jia Zhangke drew the inspiration from the real case. This film is composed of four episode. The first is the story of the accident of violence, the second is the story of the serial killer, the third is the story of the murder for self-defense, and the last is the story of the suicide. All of these case is not connected exquisitely. But it makes the mosaic that show the landscape of modern China. The global capitalism penetrate into the all parts of china, and this phenomenon cause the many problems. This film focuses the origin, the dissemination of the violence that caused by the penetration of the global capitalism. Jia Zhangke borrows the martial arts genre to show this. So, it can be said that A touch of the sin is the national allegory to show the real landscape of China. The concept of the national allegory can cause the many problems, but using this we can get the genealogy of the violence in China from this film. And we can get the vision of Jia Zhangke that show the bridgehead to resist the violence and the penetration of the global capit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지아장커의 <천주정>
      • Ⅲ. <천주정>의 텍스트 분석
      • Ⅳ. 무협장르로서의 <천주정>
      • Ⅴ. 민족적 알레고리로서의 <천주정>
      • Ⅰ. 들어가며
      • Ⅱ. 지아장커의 <천주정>
      • Ⅲ. <천주정>의 텍스트 분석
      • Ⅳ. 무협장르로서의 <천주정>
      • Ⅴ. 민족적 알레고리로서의 <천주정>
      • Ⅵ. 마치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