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hui(雜戱), which was very high dangerous but popular in the Yuan Dynasty, didn’t flowed into Goryeo until the military reign period. By the Yuan Dynasty’s interference period, the Silk Road of land and sea routes was integrated and the broad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70010
정은정 (부산대학교)
2013
Korean
Japhui(雜戱) ; the Rich Class(富戶層) ; Professional Artiste(專門藝人) ; Patron(後援者) ; Hwahui(火戱) ; Sandae(山臺) ; Uhui(偶戱) ; Jeongeobwon(淨業院) ; 雜戱 ; 富戶層 ; 專門藝人 ; 後援者 ; 火戱 ; 山臺 ; 偶戱 ; 淨業院 ; 胡風
900
KCI등재
학술저널
263-306(4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hui(雜戱), which was very high dangerous but popular in the Yuan Dynasty, didn’t flowed into Goryeo until the military reign period. By the Yuan Dynasty’s interference period, the Silk Road of land and sea routes was integrated and the broad ...
Japhui(雜戱), which was very high dangerous but popular in the Yuan Dynasty, didn’t flowed into Goryeo until the military reign period. By the Yuan Dynasty’s interference period, the Silk Road of land and sea routes was integrated and the broad west area was secured. Therefore, the nomadic elements became conspicuous.
In that time, Japhui required a high degree of skill. It provided a variety of colorful attractions, and obtained a marketability in keeping with the then market economy atmosphere.
It became in great demand, spreading to government officials’ private residences and the festive events of seasonal customs. Its performance was in need of a open yard and a stage for play. To install the stages like Sandae(山臺) and Hwasandae(火山臺) required great expense. And also, the performance on a small scale, like a puppet show, was popular. So Japhui had a dual demand.
Musical practicians gradually got out of the government control and flowed into the private sector before and after the military reign period. And the new professional artistes, accomplished in Japhui, emerged in the interference period. They were the musical practicians who came to visit from the west area to Goryeo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of Jaeseung(齋僧) in temples and the growing trade with the Yuan. In that time, the existence of Janyeoan(恣女案) and Yuyeojeok(遊女籍) was a measure securing Ginyeo(妓女) on national level to meet the increased demand of music.
With the appearance of such professional artistes then, musical practicians converged on the area of government officials’ residence, the largest consumption area of Japhui. Among some of the rich class, there emerged those who furnished with performance facility and helped performers to obtain employment. And also, the patron stratum of performance, at the very least, existed in small number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경숙, "한국의 나례 양상과 나희 형성 연구" 11 : 2001
2 신선희, "한국고대극장의 역사" 열화당 2006
3 전덕재,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 百戱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8) : 1-39, 2006
4 김학주, "한 중 두나라의 가무와 잡희" 서울대출판부 1994
5 전인평, "중앙아시아 음악의 고려음악에 대한 영향" (창간) : 2009
6 안상복, "중국의 전통 잡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7 이희수,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발견된 고려인 라마단 비문에 대한 한 해석" 한국이슬람학회 17 (17): 63-80, 2007
8 김학주, "중국 고대의 가무희" 민음사 2001
9 랴오번, "중국 고대극장의 역사" 솔출판사 2009
10 이경진, "조선 시대 불교계 연희집단과 유랑연희패의 관계 양상" 반교어문학회 (35) : 225-248, 2013
1 황경숙, "한국의 나례 양상과 나희 형성 연구" 11 : 2001
2 신선희, "한국고대극장의 역사" 열화당 2006
3 전덕재,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 百戱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8) : 1-39, 2006
4 김학주, "한 중 두나라의 가무와 잡희" 서울대출판부 1994
5 전인평, "중앙아시아 음악의 고려음악에 대한 영향" (창간) : 2009
6 안상복, "중국의 전통 잡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7 이희수,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발견된 고려인 라마단 비문에 대한 한 해석" 한국이슬람학회 17 (17): 63-80, 2007
8 김학주, "중국 고대의 가무희" 민음사 2001
9 랴오번, "중국 고대극장의 역사" 솔출판사 2009
10 이경진, "조선 시대 불교계 연희집단과 유랑연희패의 관계 양상" 반교어문학회 (35) : 225-248, 2013
11 박은희, "장안의 봄" 이산 2004
12 奈郞康明, "인도불교" 민족사 1990
13 정수일, "이븐 바투타 여행기" 창작과 비평사 2001
14 문성재, "원대 잡극 속의 몽골어휘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48 : 2000
15 오수경, "원대 南戱와 雜劇의 상호개편에 관한 연구" 34 : 1994
16 위은숙, "원간섭기 對元무역-노걸대를 중심으로" 4 : 1997
17 위은숙, "원간섭기 元律令의 受容問題와 ?貨令" 민족문화연구소 2007 (2007): 177-211, 2007
18 이상우, "원 전기 雜劇의 시대정신 고찰" 12 : 1999
19 다카시나 슈지, "예술과 패트런" 눌와 2003
20 한정수, "여말선초 국왕 잔치의 문제와 宴享의 성립" 조선시대사학회 (62) : 5-34, 2012
21 愛宕松南, "알탈전과 그 배경-13세기 元朝에 있어서 銀의 동향" 32 (32): 1973
22 김상범, "바다의 실크로드" 청아출판사 2003
23 랴자노프스키, "몽골의 관습과 법" 혜안 1996
24 이정재, "몽골-元代 문학 환경의 변화와 문학활동의 분화 - 散曲과 雜劇을 중심으로 -" 영남중국어문학회 (54) : 209-234, 2009
25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樂戱劇" 태학사 2002
26 김난옥, "고려후기의 雜尺" 고려사학회 15 : 11-340, 2003
27 김현라, "고려후기 하층신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28 김철웅, "고려와 大食의 교역과 교류" 한국문화사학회 25 (25): 129-145, 2006
29 정은정, "고려시대 개경의 도시변화와 경기제의 추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30 박진훈, "고려시대 감옥(監獄)의 설치와 운영체계" 한국역사연구회 (47) : 149-186, 2003
31 朴晉勳, "고려시대 開京治安機構의 기능과 변천" 33 : 2002
32 김동철, "고려말의 流通構造와 상인" 9 : 1985
33 김정위, "고려말 回鶻人의 귀화와 이슬람의 한반도 등장" 백산학회 (91) : 177-241, 2011
34 전병무, "고려 충혜왕의 상업활동과 재정정책" 10 : 1993
35 이숙경, "고려 충숙왕 충혜왕과 상인의 관계 진출" 4 : 2005
36 이종숙, "고구려 호선무(胡旋舞)의 정체 연구" 한국국악학회 40 : 305-326, 2006
37 전호태, "고구려 장천 1호분 벽화의 서역계 인물" 6 : 1993
38 조석연, "고구려 胡文化기원에 관한 고찰" 42 : 2007
39 전경욱,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한국공연문화학회 1 (1): 162-211, 2010
40 韓㳓劤, "麗末鮮初巡軍硏究-麗初巡檢制에서 起論하여 鮮初義禁府 成立에까지 미침-" 22 : 1961
41 朴魯埻, "高麗歌謠의 硏究" 새문사 1990
42 김대중, "高麗末朝鮮初火藥兵器의 현황과 과제" 9 : 2002
43 蔡雄錫, "高麗時代의 歸鄕刑과 充常戶刑" 9 : 1983
44 김기섭, "高麗後期 崔茂宣의 생애와 화약제조" 한국중세사학회 (26) : 265-298, 2009
45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3
46 "高麗史節要"
47 "高麗史"
48 宋芳松, "韓國音樂史硏究" 一志社 1988
49 "稼亭集"
50 "益齎蘭藁"
51 "牧隱集"
52 有馬成車, "火砲の起源とその傳統" 吉川弘文館 1988
53 "東文選"
54 "東國李相國集"
55 "東京夢話錄"
56 "朝鮮王朝實錄"
57 曾永義, "明代雜劇의 발전 상황" 2 (2): 1994
58 "新增東國輿地勝覽"
59 "慶元條法事類"
60 張康, "宣政雜錄, In 中國戱曲通史" 정인문화사 1986
61 "宋會要"
62 鳥雨沁, "外來民間文化的使者西域胡戱-唐詩胡戱形像解析" 2001
63 이지운, "唐詩에서의 胡姬形象으로 본 唐代의 異文化 認識" 중국어문학회 (27) : 7-41, 2008
64 "唐律疎議"
65 전덕재, "古代의 百戱雜技와 舞樂" 한국고대사학회 (65) : 77-116, 2012
66 鄭光, "原本老乞大" 김영사 2004
67 "元史"
68 張東益, "元代麗史資料集" 서울대출판부 1997
69 戮芥, "中國古代劇場史" 中州古蹟出版社 1997
70 "中京誌"
71 李玠奭, "14世紀初元朝地支配體制의 再編과 그 背景" 서울대학교 199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8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8 | 0.81 | 1.498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