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숙성에 의한 옥수수 식초의 향기 성분 변화 = Change of Aroma Compounds during Corn Vinegar Ripe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1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강원도에서 생산된 옥수수를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초산 발효 및 숙성에 의해 변화되는 주요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옥수수 술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휘발성 성분은 2-phenylethan...

      강원도에서 생산된 옥수수를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초산 발효 및 숙성에 의해 변화되는 주요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옥수수 술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휘발성 성분은 2-phenylethanol으로서 전체 휘발성 성분의 약 27%를 차지하였으나, 초산 발효 후 15%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옥수수 술과 옥수수 식초는 초산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따라 향기 성분의 특성이 패턴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산 발효 이후에 전체 휘발성 물질 중에서 초산이 약 50%를 차지하여 가장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2-phenylethanol, diethyl succinate 순서로 높았다. 장미향을 나타내는 ethyl phenylacetate와 과일향을 나타내는 diethyl succinate 등 에스테르 화합물의 향기 활성가가 높게 나타나 이들 성분이 초산 발효 후 식초의 향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negar was prepared from corn produced in Gangwon province and changes to the major aroma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ripening. The most prevalent volatile component in corn alcohol was determined to be 2-phenylethan...

      Vinegar was prepared from corn produced in Gangwon province and changes to the major aroma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ripening. The most prevalent volatile component in corn alcohol was determined to be 2-phenylethanol (accounting for 27% of total aroma components); the levels of 2-phenylethanol decreased to 15% after acetic acid ferment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revealed that corn vinegar was distinguishable from corn alcohol.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volatile components (50%) was acetic acid, followed by 2-phenylethanol and diethyl succinate. Ethyl phenylacetate and diethyl succinate had the highest odor activity value, and might contribute most profoundly to the aroma of corn vineg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덕조, "한국, 중국, 일본, 미국산 시판 사과식초의 관능적 품질 비교를 위한 SPME-GC/MS , 전자코 및 전자혀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8 (48): 430-436, 2016

      2 노봉수, "전자코를 이용한 휘발성분의 분석과 식품에의 이용" 한국식품과학회 37 (37): 1048-1064, 2005

      3 윤성란, "시판 현미식초의 주정첨가 유무에 따른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42 (42): 527-532, 2010

      4 나환식, "시판 발효식초의 원료에 따른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482-487, 2013

      5 김귀란,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16-624, 2010

      6 박연옥,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자연발효식초의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46-54, 2018

      7 주경호, "발효 현미식초의 발효방법 및 원료함량에 따른 품질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33-39, 2009

      8 최찬영, "발효 과일식초의 대사체 분석 및 향기 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6 (46): 416-424, 2018

      9 이수원, "누룩 및 조효소제가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과 휘발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3 (43): 570-576, 2011

      10 이하연, "내산성이 우수한 Acetobacter pasteurianus AFY-4 균주를 이용한 다래 식초 초산발효 최적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8 (28): 136-144, 2018

      1 조덕조, "한국, 중국, 일본, 미국산 시판 사과식초의 관능적 품질 비교를 위한 SPME-GC/MS , 전자코 및 전자혀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8 (48): 430-436, 2016

      2 노봉수, "전자코를 이용한 휘발성분의 분석과 식품에의 이용" 한국식품과학회 37 (37): 1048-1064, 2005

      3 윤성란, "시판 현미식초의 주정첨가 유무에 따른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42 (42): 527-532, 2010

      4 나환식, "시판 발효식초의 원료에 따른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482-487, 2013

      5 김귀란,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16-624, 2010

      6 박연옥,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자연발효식초의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46-54, 2018

      7 주경호, "발효 현미식초의 발효방법 및 원료함량에 따른 품질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33-39, 2009

      8 최찬영, "발효 과일식초의 대사체 분석 및 향기 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6 (46): 416-424, 2018

      9 이수원, "누룩 및 조효소제가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과 휘발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3 (43): 570-576, 2011

      10 이하연, "내산성이 우수한 Acetobacter pasteurianus AFY-4 균주를 이용한 다래 식초 초산발효 최적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8 (28): 136-144, 2018

      11 박미화, "감식초 발효용 초산균의 분리 및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251-1257, 2005

      12 Yoon HN,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30 : 299-305, 1998

      13 Hossain A,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opical fruit pineapple" 44 : 672-676, 2011

      14 조용준, "SPME를 이용한 참외와인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모니터링"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207-214, 2013

      15 Welke JE, "Quantitative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using comprehensive two-dimensional gas chromatography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aroma of Chardonnay wine" 59 : 85-99, 2014

      16 Guth H, "Quantitation and sensory studies of character impact odorants of different white wine varieties" 45 : 3027-3032, 1997

      17 Vogt M, "Production of 2-mrthyl-1-butanol and 3-methyl-1-butanol in ehgineered Corynebacterium glutamicum" 38 : 436-445, 2016

      18 Kwon SH,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5 : 18-24, 2000

      19 Caja MM, "On-line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ry for enantiomeric analysis of chiral compounds in fruit beverages" 1054 : 81-85, 2004

      20 Worley B, "Multivariate analysis in metabolomics" 1 : 92-107, 2015

      21 Duncan DB,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11 : 1-42, 1955

      22 Roda A, "Metabolite profiling and volatiles of pineapple wine and vinegar obtained from pineapple waste" 229 : 734-742, 2017

      23 Ramadan Z, "Metabolic profiling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iscriminant partial least squares, and genetic algorithms" 68 : 1683-1691, 2006

      24 Park EH, "Literature review on typ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vinegar" 49 : 94-99, 2016

      25 Aznar M,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impact odorants of aged red wines from Rioja. GC-olfactometry, quantitative GC-MS, and odor evaluation of HPLC fractions" 46 : 2924-2929, 2001

      26 Luchai Butkhup, "HS-SPME-GC-MS Analysis of Volatile Aromatic Compounds in Alcohol Related Beverages Made with Mulberry Fruits" 한국식품과학회 20 (20): 1021-1032, 2011

      27 Lino T, "Gluconacetobacter kakiaceti sp. nov., an ace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a traditional Japanese fruit vinegar" 61 : 1465-1469, 2012

      28 김미림,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에 의해 발효된 감귤식초 의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263-269, 2005

      29 Song H, "GC-O-MS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s in food flavor analysis" 114 : 187-198, 2018

      30 Zhu H, "Development of a SPME-GC-M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Shanxi aged vinegar and its analytical characterization by aroma wheel" 53 : 171-183, 2015

      31 Curran AM, "Compar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esent in human odor using SPME-GC/MS" 31 : 1607-1619, 2005

      32 Moon SY,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29 : 663-670, 1997

      33 Lee JK,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xyl1 gene, encoding an NADH-preferring xylose reductase from Candida parapsilosis, and its functional expression in Candida tropicalis" 69 : 6179-6188, 2003

      34 Yoon HN,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31 : 1440-1446, 1999

      35 Acena 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sherry vinegar aroma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59 : 4062-4070, 2011

      36 Zhu J, "Characterization of the key aroma volatile compounds in cranberry (vaccinium macrocarpon ait.) using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and odor activity value (OAV)" 64 : 4990-4999, 2016

      37 김현일, "Characteristics of aroma compounds of 11 red wines from international grape cultivars grown in Korea"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491-500, 2018

      38 Dragone G, "Characteris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an alcoholic beverage produced by whey fermentation" 112 : 929-935, 2009

      39 Kim HJ, "Application of metabolomics in food science" 45 : 36-44, 2012

      40 Chen T, "Analysis of variation of main components during aging process of Shanxi aged vinegar" 2 : 31-38, 2013

      41 Oh YJ, "A study on cultural conditions for acetic acid production employing pear juice" 21 : 377-380, 1992

      42 Lee HD, "A novel assessment of odor sources using instrumental analysis combined with resident monitoring records for an industrial area in Korea" 74 : 277-29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9-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97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