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는 대표적인 구강암 호발 부위 중 하나로, 현재 설암 치료의 표준은 외과적 절제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설암으로 인해 혀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혀의 가동성이 저하되어 연하와 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48726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2-89(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혀는 대표적인 구강암 호발 부위 중 하나로, 현재 설암 치료의 표준은 외과적 절제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설암으로 인해 혀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혀의 가동성이 저하되어 연하와 발...
혀는 대표적인 구강암 호발 부위 중 하나로, 현재 설암 치료의 표준은 외과적 절제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설암으로 인해 혀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혀의 가동성이 저하되어 연하와 발음 같은 정상적인 구강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의 보철 수복 시에는 손상된 혀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구개증대보철물은 구개 연마면의 위치를 낮추어 혀-구개 접촉을 도움으로써 혀의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의 구강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설암으로 인한 혀의 좌측 부분 절제술 및 피판 재건술 이후 혀의 가동성이 감소된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구개증대보철물로써의 상악 총의치와 전통적인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였으며, 최종 보철물을 통해 저작과 연하 및 발음 기능이 개선되어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82-9)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석 ; 박지영 ; 임선영 ; 허유리 ; 손미경, "부분 혀 절제술로 인해 연하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상악 구개 증대 총의치 제작 증례" 대한턱관절교합학회 34 (34): 239-245, 2018
2 김재원 ; 최은창 ; 차인호 ; 김영호 ; 김영모 ; 신중욱 ; 김성헌 ; 김태연, "구강설암에서 조음 및 연하기능의 술후 평가" 대한이비인후과학회 47 (47): 340-348, 2004
3 De Berardinis R, "Tongue cancer treatment and oncological outcomes : The role of glossectomy classification" 42 : 101751-, 2022
4 Moore SR, "The epidemiology of tongue cancer : a review of global incidence" 6 : 75-84, 2000
5 Marunick M, "The efficacy of palatal augmentation prostheses for speech and swallowing in patients undergoing glossectomy : a review of the literature" 91 : 67-74, 2004
6 Feine JS, "The McGill consensus statement on overdentures. Mandibular two-implant overdentures as first choice standard of care for edentulous patients" 19 : 3-4, 2002
7 Cantor R, "Maxillary speech prostheses for mandibular surgical defects" 22 : 253-260, 1969
8 Davis JW, "Effect of a maxillary glossectomy prosthesis on articulation and swallowing" 57 : 715-719, 1987
9 Abdulhadi LM, "Different techniques for palatal augmentation in partially glossectomized patients. a report of two cases" 1 : 391-, 2012
10 Joshi VK, "Dental treatment planning and management for the mouth cancer patient" 46 : 475-479, 2010
1 김형석 ; 박지영 ; 임선영 ; 허유리 ; 손미경, "부분 혀 절제술로 인해 연하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상악 구개 증대 총의치 제작 증례" 대한턱관절교합학회 34 (34): 239-245, 2018
2 김재원 ; 최은창 ; 차인호 ; 김영호 ; 김영모 ; 신중욱 ; 김성헌 ; 김태연, "구강설암에서 조음 및 연하기능의 술후 평가" 대한이비인후과학회 47 (47): 340-348, 2004
3 De Berardinis R, "Tongue cancer treatment and oncological outcomes : The role of glossectomy classification" 42 : 101751-, 2022
4 Moore SR, "The epidemiology of tongue cancer : a review of global incidence" 6 : 75-84, 2000
5 Marunick M, "The efficacy of palatal augmentation prostheses for speech and swallowing in patients undergoing glossectomy : a review of the literature" 91 : 67-74, 2004
6 Feine JS, "The McGill consensus statement on overdentures. Mandibular two-implant overdentures as first choice standard of care for edentulous patients" 19 : 3-4, 2002
7 Cantor R, "Maxillary speech prostheses for mandibular surgical defects" 22 : 253-260, 1969
8 Davis JW, "Effect of a maxillary glossectomy prosthesis on articulation and swallowing" 57 : 715-719, 1987
9 Abdulhadi LM, "Different techniques for palatal augmentation in partially glossectomized patients. a report of two cases" 1 : 391-, 2012
10 Joshi VK, "Dental treatment planning and management for the mouth cancer patient" 46 : 475-479, 2010
11 Kuniyuki I, "Changes in tongue pressure and dysphagia at oral cancer patients by palatal augmentation prosthesis" 5 : e1516-, 2022
악교정수술 병력을 가진 과도한 치아 마모를 보이는 환자의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하악골 이단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중립대를 활용한 상하악 총의치 수복 증례
전치부 탈구로 인한 유착치의 치관절제술 및 임플란트 수복 증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