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기 희곡의 청년담론 연구 = A Study on Youth Discourse in the Era of Liberation's Pl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20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uth' is a main key-word to understand 1940's play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dual logic-mobilization and resistance-of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through 'Youth' discourse. The representation of 'Patriotic Youth' had been highlighted during the wartime, and was designated as subject for building nation-state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young men who were drafted into the military or the wartime duties got the images, both victim and hero and became the subject of national narrative after coming back new Chosun. However, the way of portraying Youth representation isn't merely to contribute 'politics of mobilization', it brought nation-state's substance into the question; thus this thesis points out the conflicting aspects of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Chapter Ⅱ examines plays that patriotic youth as protagonist go forward to establish nation-sate, and Chapter Ⅲ reads the case to treat repatriate's instability and display the 'remainder' left out of the whole as ethnic community. This study finds out the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realize logic of mobilization and deviation from nation-state. As a result,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can be regarded as a field to show competition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and politics and art.
      번역하기

      'Youth' is a main key-word to understand 1940's play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dual logic-mobilization and resistance-of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through 'Youth' discourse. The representation of 'Patriotic Y...

      'Youth' is a main key-word to understand 1940's play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dual logic-mobilization and resistance-of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through 'Youth' discourse. The representation of 'Patriotic Youth' had been highlighted during the wartime, and was designated as subject for building nation-state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young men who were drafted into the military or the wartime duties got the images, both victim and hero and became the subject of national narrative after coming back new Chosun. However, the way of portraying Youth representation isn't merely to contribute 'politics of mobilization', it brought nation-state's substance into the question; thus this thesis points out the conflicting aspects of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Chapter Ⅱ examines plays that patriotic youth as protagonist go forward to establish nation-sate, and Chapter Ⅲ reads the case to treat repatriate's instability and display the 'remainder' left out of the whole as ethnic community. This study finds out the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realize logic of mobilization and deviation from nation-state. As a result,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can be regarded as a field to show competition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and politics and a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우,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현대일본 정치론" 고려원

      3 이석만, "해방직후의 소인극운동 연구" 3 : 1993

      4 김재석, "해방직후 희곡에 나타난 친일 잔재 청산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어문학회 (86) : 271-306, 2004

      5 이상우, "해방직후 좌우대립기 희곡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양상" 2 : 1995

      6 백승숙, "해방기 희곡의 전개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2002

      7 천정환, "해방기 거리의 정치와 표상의 생산" 상허학회 26 : 55-102, 2009

      8 권두현, "해방 이후 오영진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 상허학회 27 : 117-160, 2009

      9 백승숙, "함세덕 희곡에 나타난 국민국가 담론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와 <고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27) : 203-234, 2008

      10 가람기획 편집부, "한국 현대문학 작은 사전" 가람기획 2000

      1 박진우,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현대일본 정치론" 고려원

      3 이석만, "해방직후의 소인극운동 연구" 3 : 1993

      4 김재석, "해방직후 희곡에 나타난 친일 잔재 청산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어문학회 (86) : 271-306, 2004

      5 이상우, "해방직후 좌우대립기 희곡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양상" 2 : 1995

      6 백승숙, "해방기 희곡의 전개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2002

      7 천정환, "해방기 거리의 정치와 표상의 생산" 상허학회 26 : 55-102, 2009

      8 권두현, "해방 이후 오영진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 상허학회 27 : 117-160, 2009

      9 백승숙, "함세덕 희곡에 나타난 국민국가 담론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와 <고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27) : 203-234, 2008

      10 가람기획 편집부, "한국 현대문학 작은 사전" 가람기획 2000

      11 유민영, "한국 현대 희곡사" 새미 1997

      12 최지현, "학병(學兵)의 기억과 국가 - 1940년대 학병의 좌담회와 수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2) : 459-486, 2007

      13 Jacques Ranciere, "정치적인 것의 가장 자리에서" 도서출판 길 2008

      14 김수환, "전체성과 그 잉여들: 문화기호학과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8) : 71-98, 2009

      15 한민주, "일제 말기 소설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16 나카노 도시오(中野敏男), "오쓰카 히사오와 마루야마 마사오 : 일본의 총력전 체제와 전후 민주주의 사상" 삼인 2005

      17 A.Ubersfeld, "연극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1988

      18 신형기, "신인간’-해방 직후 북한 문학이 그려낸 동원의 형상 In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권" 책세상 2006

      19 백승숙, "송영의<황혼>에 나타난 민족 담론" 한국극예술학회 (24) : 114-144, 2006

      20 장세진, "상상된 아메리카와 1950년대 한국문학의 자기 표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1 소영현, "부랑청년 전성시대" 푸른역사 2008

      22 남찬섭, "미군정기의 사회복지-민간구호단체의 활동과 주택정책" 복지동향 2005

      23 소영현, "문학청년의 탄생" 푸른 역사 2008

      24 김영미, "동원과 저항" 푸른 역사 2009

      25 Jacques Ranciere, "감성적/미학적 전복"

      26 김예림,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상허학회 29 : 333-376, 2010

      27 Leo T. S. Ching, "Becoming "Japane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28 김재석, "1940년대 후반기 함세덕 희곡 연구" 한국어문학회 (92) : 323-349,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