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진우,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현대일본 정치론" 고려원
3 이석만, "해방직후의 소인극운동 연구" 3 : 1993
4 김재석, "해방직후 희곡에 나타난 친일 잔재 청산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어문학회 (86) : 271-306, 2004
5 이상우, "해방직후 좌우대립기 희곡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양상" 2 : 1995
6 백승숙, "해방기 희곡의 전개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2002
7 천정환, "해방기 거리의 정치와 표상의 생산" 상허학회 26 : 55-102, 2009
8 권두현, "해방 이후 오영진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 상허학회 27 : 117-160, 2009
9 백승숙, "함세덕 희곡에 나타난 국민국가 담론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와 <고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27) : 203-234, 2008
10 가람기획 편집부, "한국 현대문학 작은 사전" 가람기획 2000
1 박진우,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현대일본 정치론" 고려원
3 이석만, "해방직후의 소인극운동 연구" 3 : 1993
4 김재석, "해방직후 희곡에 나타난 친일 잔재 청산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어문학회 (86) : 271-306, 2004
5 이상우, "해방직후 좌우대립기 희곡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양상" 2 : 1995
6 백승숙, "해방기 희곡의 전개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2002
7 천정환, "해방기 거리의 정치와 표상의 생산" 상허학회 26 : 55-102, 2009
8 권두현, "해방 이후 오영진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 상허학회 27 : 117-160, 2009
9 백승숙, "함세덕 희곡에 나타난 국민국가 담론 -<거리는 쾌청한 가을 날씨>와 <고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27) : 203-234, 2008
10 가람기획 편집부, "한국 현대문학 작은 사전" 가람기획 2000
11 유민영, "한국 현대 희곡사" 새미 1997
12 최지현, "학병(學兵)의 기억과 국가 - 1940년대 학병의 좌담회와 수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2) : 459-486, 2007
13 Jacques Ranciere, "정치적인 것의 가장 자리에서" 도서출판 길 2008
14 김수환, "전체성과 그 잉여들: 문화기호학과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8) : 71-98, 2009
15 한민주, "일제 말기 소설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16 나카노 도시오(中野敏男), "오쓰카 히사오와 마루야마 마사오 : 일본의 총력전 체제와 전후 민주주의 사상" 삼인 2005
17 A.Ubersfeld, "연극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1988
18 신형기, "신인간’-해방 직후 북한 문학이 그려낸 동원의 형상 In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권" 책세상 2006
19 백승숙, "송영의<황혼>에 나타난 민족 담론" 한국극예술학회 (24) : 114-144, 2006
20 장세진, "상상된 아메리카와 1950년대 한국문학의 자기 표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1 소영현, "부랑청년 전성시대" 푸른역사 2008
22 남찬섭, "미군정기의 사회복지-민간구호단체의 활동과 주택정책" 복지동향 2005
23 소영현, "문학청년의 탄생" 푸른 역사 2008
24 김영미, "동원과 저항" 푸른 역사 2009
25 Jacques Ranciere, "감성적/미학적 전복"
26 김예림,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상허학회 29 : 333-376, 2010
27 Leo T. S. Ching, "Becoming "Japane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28 김재석, "1940년대 후반기 함세덕 희곡 연구" 한국어문학회 (92) : 323-34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