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polipoprotein E 유전자 다형성이 중년남녀의 혈중지질과 신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6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신체 능력과 혈중 지질 농도가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 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40~50대 중년 남성 36명, 여성 37명으로 총 7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Apo E 다형성이 혈중지질 및 신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채혈을 실시하여 유전자 분석을 통해 Apo E 표현형에 따라 E2, E3, E4군으로 분류하였으며, 혈중지질은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Glucose 수준을 보았고, 심폐지구력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운동 부하검사를 실시하여 안정 시 심박수, 최대산소섭취량, 운동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방법은 유전자형에 따른 신체능력과 혈중지질농도간의 차이는 일원 분산 분석법(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유전자형과 신체 능력과 혈중지질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α=.05 수준에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의 Apo E 유전자 분포는 E3군(52.8%), E2(25%)군, E4(2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E3(56.8%), E4(24.3%), E2(18.9%)의 유전자 비율을 보였다.
      유전자 타입별 혈중지질 농도 차이는 남성은 HDL과 TG는 E3군과 E4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여성은 LDL과 HDL이 E2군과 E3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Apo 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수준은 남성에게서는 체지방율에서만 유전자 타입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은 E3군이 E4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운동지속시간도 E3군이 E4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지속시간을 보였다(P<.05).

      셋째, Apo 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수준과 혈중지질과의 상관관계는 남성일 경우 E2군에서는 글루코스와 체지방율, 최대 산소섭취량과 TG가 유의하게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 E3군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과 HDL은 양(positive)의 상관성을 보였고, 중성지방과는 유의하게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P<.05).
      여성에게서는 E2군, E3군에서 최대 산소섭취량과 TC, TG, LDL이 유의하게(P<.05)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고, 운동지속시간과 TC, TG, LDL도 유의하게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P<.05).
      E4 군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이 체지방율과 유의하게 양(posi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혈중지질 농도가 달라지며, 신체능력에 의한 혈중지질의 농도가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다르게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신체 능력과 혈중 지질 농도가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 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40~50대 중년...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신체 능력과 혈중 지질 농도가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 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40~50대 중년 남성 36명, 여성 37명으로 총 7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Apo E 다형성이 혈중지질 및 신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채혈을 실시하여 유전자 분석을 통해 Apo E 표현형에 따라 E2, E3, E4군으로 분류하였으며, 혈중지질은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Glucose 수준을 보았고, 심폐지구력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운동 부하검사를 실시하여 안정 시 심박수, 최대산소섭취량, 운동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방법은 유전자형에 따른 신체능력과 혈중지질농도간의 차이는 일원 분산 분석법(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유전자형과 신체 능력과 혈중지질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α=.05 수준에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의 Apo E 유전자 분포는 E3군(52.8%), E2(25%)군, E4(2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E3(56.8%), E4(24.3%), E2(18.9%)의 유전자 비율을 보였다.
      유전자 타입별 혈중지질 농도 차이는 남성은 HDL과 TG는 E3군과 E4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여성은 LDL과 HDL이 E2군과 E3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Apo 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수준은 남성에게서는 체지방율에서만 유전자 타입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은 E3군이 E4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운동지속시간도 E3군이 E4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지속시간을 보였다(P<.05).

      셋째, Apo 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수준과 혈중지질과의 상관관계는 남성일 경우 E2군에서는 글루코스와 체지방율, 최대 산소섭취량과 TG가 유의하게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 E3군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과 HDL은 양(positive)의 상관성을 보였고, 중성지방과는 유의하게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P<.05).
      여성에게서는 E2군, E3군에서 최대 산소섭취량과 TC, TG, LDL이 유의하게(P<.05)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고, 운동지속시간과 TC, TG, LDL도 유의하게 음(nega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P<.05).
      E4 군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이 체지방율과 유의하게 양(positive)의 상관성을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혈중지질 농도가 달라지며, 신체능력에 의한 혈중지질의 농도가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다르게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middle-aged men and women how their physical fitness and serum lipids levels are affected by Apo E polymorph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73 people consisting of 36 men and 37women in their 40s to 50s. In order to see the effects of Apo E polymorphism on lipids and physical fitness, we sampled their bloods and categorized them into E2,E3,and E4 through genetic analysis. For lipids levels, we checke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and Glucose levels, while checking heart rate during normal state, maximum oxygen uptake, and exercise endurance time to determine cardiopulmonary capacity. For the statistic methods to verify the results, we used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serum lipids level according to each genotype ;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 check the correlations among genotype, physical fitness and lipids level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the level of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tribution of Apo E gene among men was E3(52.8%), E2 (25%), E4(22.2%) in order. In case of women, E3(56.8%) topped the list, followed by E4(24.3%) and E2(18.9%). In terms of lipids 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genotype, HDL and TG in men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3 group and E4 group (P<.05),whereas LDL and HDL in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2 group and E3 group(P<.05). Second, in termsofphysicalfitnessaccording to Apo E genotype, fo r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body fat rate among genotype groups. For women, maximum oxygen uptake of E3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than that of E4,and exercise endurance time of E3 group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E4(P<.05). Third, in terms of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lipids according to each Apo E genotype for men, ther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lucose and lipids, and between maximum oxygen uptake and TG in E2.In E3,between maximum oxygen uptake and HDL was shown positive correlation; and between maximum oxygen uptake and TG (triglycerid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P<.05). For women, correlation of maximum oxygen uptake and exercise endurance time each with TC,TG,and LDL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P<.05).In E4,only TC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fat rate(P<.05). In conclusion, blood lipids levels differ according to Apo E polymorphism, and lipids based on physical fitness also change according to Apo E polymorphism.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middle-aged men and women how their physical fitness and serum lipids levels are affected by Apo E polymorph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73 people consisting of 36 men and 37women in their 40s 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middle-aged men and women how their physical fitness and serum lipids levels are affected by Apo E polymorph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73 people consisting of 36 men and 37women in their 40s to 50s. In order to see the effects of Apo E polymorphism on lipids and physical fitness, we sampled their bloods and categorized them into E2,E3,and E4 through genetic analysis. For lipids levels, we checke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and Glucose levels, while checking heart rate during normal state, maximum oxygen uptake, and exercise endurance time to determine cardiopulmonary capacity. For the statistic methods to verify the results, we used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serum lipids level according to each genotype ;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 check the correlations among genotype, physical fitness and lipids level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the level of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tribution of Apo E gene among men was E3(52.8%), E2 (25%), E4(22.2%) in order. In case of women, E3(56.8%) topped the list, followed by E4(24.3%) and E2(18.9%). In terms of lipids 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genotype, HDL and TG in men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3 group and E4 group (P<.05),whereas LDL and HDL in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2 group and E3 group(P<.05). Second, in termsofphysicalfitnessaccording to Apo E genotype, fo r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body fat rate among genotype groups. For women, maximum oxygen uptake of E3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than that of E4,and exercise endurance time of E3 group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E4(P<.05). Third, in terms of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lipids according to each Apo E genotype for men, ther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lucose and lipids, and between maximum oxygen uptake and TG in E2.In E3,between maximum oxygen uptake and HDL was shown positive correlation; and between maximum oxygen uptake and TG (triglycerid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P<.05). For women, correlation of maximum oxygen uptake and exercise endurance time each with TC,TG,and LDL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P<.05).In E4,only TC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fat rate(P<.05). In conclusion, blood lipids levels differ according to Apo E polymorphism, and lipids based on physical fitness also change according to Apo E polymorph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요지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2.연구의 목적
      Ⅱ.이론적 배경
      Ⅲ.연 구 방 법
      1.연구 대상자
      2.연구 절차 및 기간
      3.실험기기
      4.실험설계
      5.측정방법
      6.자료처리
      Ⅳ.연 구 결 과
      1.ApoE 유전자 분포
      2.중년남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혈중지질 농도
      3.중년여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혈중지질 농도
      4.중년남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5.중년여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6.중년남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과 혈중지질 농도의 상관관계
      7.중년여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과 혈중지질 농도의 상관관계
      Ⅴ.논 의
      Ⅵ.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
      번역하기

      국문요지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2.연구의 목적 Ⅱ.이론적 배경 Ⅲ.연 구 방 법 1.연구 대상자 2.연구 절차 및 기간 3.실험기기 4.실험설계 5.측정방법 6.자료처리 ...

      국문요지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2.연구의 목적
      Ⅱ.이론적 배경
      Ⅲ.연 구 방 법
      1.연구 대상자
      2.연구 절차 및 기간
      3.실험기기
      4.실험설계
      5.측정방법
      6.자료처리
      Ⅳ.연 구 결 과
      1.ApoE 유전자 분포
      2.중년남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혈중지질 농도
      3.중년여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혈중지질 농도
      4.중년남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5.중년여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
      6.중년남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과 혈중지질 농도의 상관관계
      7.중년여성의 ApoE 유전자 타입별 신체능력과 혈중지질 농도의 상관관계
      Ⅴ.논 의
      Ⅵ.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