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신술이 사회적 안전과 범죄 예방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점차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호신술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9104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1-247(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신술이 사회적 안전과 범죄 예방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점차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호신술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신술이 사회적 안전과 범죄 예방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점차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호신술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방법: 호신술 도장 활성화 방안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호신술 전문가 3인, 호신술 관련 단체 관계자3인, 스포츠산업경영 교수 3인, 경찰 및 보안 전문가 3인으로, 총 12명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내용 타당도(CVR), 수렴도, 합의도, 안정도를 기반으로 전문가 집단의 의견 합의와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항목은 AHP 분석을 통해 전문가 집단의 상대적 중요도 순위를 산출하였다. 이러한분석 과정에는 ‘Expert Choice 200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호신술 도장 활성화 요인은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종합적인 호신술 대중화 요인 분석 결과 환경 및 시설, 수련 안전성, 수련 프로그램 구성, 수련생 서비스와 응대, 지도자의 역량과 전문성, 상호 소통과 협력 총 6개의 요인은 호신술의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호신술 도장 활성화를 위한 주요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며 수련생들의 참여도와 학습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호신술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수립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임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for popularizing self-defense studios through activation measures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AHP analysis and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popularization of self-defens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for popularizing self-defense studios through activation measures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AHP analysis and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popularization of self-defense.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xpert group participating in the Delphi and AHP surveys was composed of specialists selected from various fields related to self-defense. These experts were tasked with identifying activation factors for self-defense studios and systematically deriving popularization strategies for self-defense through AHP analysis.
The expert group consisted of 12 members, including three self-defense experts, three experts related to self-defense, three professors specializing in sports industry management, and three police and security professionals.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Expert Choice 2000” softwar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activation factors for self-defense studios, as finalized through the Delphi survey, comprised a total of 28 items.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key factors for activating self-defense studios revealed that “environment and facili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This was followed by “training safety” “instructor competence and expertise”, “mutu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raining program composition” and “student service and responsiveness.” Thir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activation factors for self-defense studios showed that maintaining a clean and pleasant training environment, securing adequate training space, demonstrating a 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proper attire, conducting regular safety inspection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providing and utilizing feedback after training ranked highest in importance.
Conclusion: In conclusion, strategies for the popularization of self-defense require not only short-term measures but also a systematic long-term approach. It is deemed that self-defense can be popularized through improvements in training studio environments, specialization of training programs, enhancement of instructor expertise, promotion of mutu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campaigns.
흔들리는 강단, 흔들리지 않는 꿈: 체육학 대학 시간강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교체육에서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학습목표내용이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