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료방식으로 본 한국의 공공갈등 특징 =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s in Terms of the Way of Termi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4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public conflicts occurring in our society have been terminated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d the termination of public conflicts by analyzing various characteristic of public conflicts. In particular, since a number of characteristics can be identified after the occurrence of public conflict, the study attempts to find the relevance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resolving public conflicts.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issues and types of public conflicts affect the way public conflicts end. However, the character of the public conflicts is not associated with resolution. Meanwhile, the study finds that as the duration of public conflict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crease, public conflicts tend to be resolved in an authoritative way where a third party involved. Likewise, the study finds labor conflicts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conflicts and have an effect on statistical results. This is because unlike other public conflicts, most of the labor conflicts are private-private conflicts and are resolved by parties directly involved in.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public conflict resolution method is somewhat outlined along with the occurrence of public conflict, and that it can be more accurately identif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process.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how public conflicts are being resolve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explain how public conflicts are terminated and resolved, more public conflict data are needed, and the work of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 in detail is required.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public conflicts with systematic data and above all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about public confli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public conflicts occurring in our society have been terminated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d the termination of public conflicts by analyzing various characteristic of public conflicts. In particul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public conflicts occurring in our society have been terminated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d the termination of public conflicts by analyzing various characteristic of public conflicts. In particular, since a number of characteristics can be identified after the occurrence of public conflict, the study attempts to find the relevance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resolving public conflicts.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issues and types of public conflicts affect the way public conflicts end. However, the character of the public conflicts is not associated with resolution. Meanwhile, the study finds that as the duration of public conflict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crease, public conflicts tend to be resolved in an authoritative way where a third party involved. Likewise, the study finds labor conflicts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conflicts and have an effect on statistical results. This is because unlike other public conflicts, most of the labor conflicts are private-private conflicts and are resolved by parties directly involved in.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public conflict resolution method is somewhat outlined along with the occurrence of public conflict, and that it can be more accurately identif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process.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how public conflicts are being resolve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explain how public conflicts are terminated and resolved, more public conflict data are needed, and the work of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 in detail is required.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public conflicts with systematic data and above all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about public confli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경석, "혐오시설의 정책수용성과 갈등관리에 관한 비교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4 (24): 31-54, 2010

      2 임재형, "한국의 시민단체가 공공갈등에 미치는 영향: 기간과 강도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7 (17): 75-105, 2019

      3 임재형,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19-235, 2007

      4 가상준, "한국의 공공분쟁 1990~2006: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공공분쟁 데이터베이스" 5 (5): 137-167, 2007

      5 권경득, "한국의 공공갈등 발생현황 및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 1948∼2014년 공공정책갈등사례 DB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167-200, 2017

      6 가상준, "한국 공공분쟁의 현황 및 특징: 1990-2007" 한국정치학회 43 (43): 51-87, 2009

      7 하혜영, "한국 공공갈등의 발생과 해결: 1995∼2006년까지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329-356, 2007

      8 이동기, "지방자치단체의 공공갈등 특성 분석 - 1997~2017년 전라북도 공공갈등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173-191, 2019

      9 김길수, "정책집행과정에서 주민저항사례연구: 부안 방폐장 부지선정을 중심으로" 13 (13): 159-184, 2004

      10 박관규, "정부갈등의 유형과 해결방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2 (12): 33-64, 2014

      1 채경석, "혐오시설의 정책수용성과 갈등관리에 관한 비교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4 (24): 31-54, 2010

      2 임재형, "한국의 시민단체가 공공갈등에 미치는 영향: 기간과 강도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7 (17): 75-105, 2019

      3 임재형,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19-235, 2007

      4 가상준, "한국의 공공분쟁 1990~2006: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공공분쟁 데이터베이스" 5 (5): 137-167, 2007

      5 권경득, "한국의 공공갈등 발생현황 및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 1948∼2014년 공공정책갈등사례 DB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167-200, 2017

      6 가상준, "한국 공공분쟁의 현황 및 특징: 1990-2007" 한국정치학회 43 (43): 51-87, 2009

      7 하혜영, "한국 공공갈등의 발생과 해결: 1995∼2006년까지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329-356, 2007

      8 이동기, "지방자치단체의 공공갈등 특성 분석 - 1997~2017년 전라북도 공공갈등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173-191, 2019

      9 김길수, "정책집행과정에서 주민저항사례연구: 부안 방폐장 부지선정을 중심으로" 13 (13): 159-184, 2004

      10 박관규, "정부갈등의 유형과 해결방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2 (12): 33-64, 2014

      11 조성배, "시민참여를 통한 갈등관리와 해결에 관한 연구: 제3기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위원회를 사례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3 (13): 5-39, 2015

      12 조성배, "송전선로 건설갈등의 장기화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신고리 –북경남 송전선로 밀양시 구간을 중심으로" 2 (2): 128-168, 2012

      13 가상준, "선호시설과 비선호시설에 의해 발생한 공공분쟁의 정치경제학" 21세기정치학회 23 (23): 193-210, 2013

      14 김강민, "서울시 권역별 공공갈등 구조분석을 통한 갈등관리 방안" 한국지방행정학회 17 (17): 1-21, 2020

      15 전주상, "비선호시설 입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노원, 목동, 강남 쓰레기소각장 건설사례의 비교분석" 11 (11): 275-295, 2000

      16 조형석, "대체적 분쟁해결기구로서 감사원의 역할 탐색" 한국행정연구원 21 (21): 71-98, 2012

      17 안순철, "국책사업의 절차적 정의와 주민투표: 삼척 원전 건설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3 (13): 65-94, 2015

      18 권경득, "공공정책 갈등사례 DB 구축 및 갈등사례 유형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55 (55): 77-106, 2017

      19 김학린, "공공분쟁해결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영향: 시민단체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7 (7): 67-89, 2009

      20 신은종, "공공분쟁에서의 조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갈등수준, 분쟁성격, 제3자 개입의 조절효과를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9 (19): 181-203, 2010

      21 김학린, "공공분쟁 해결전략의 결정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인과구조에 대한 탐색" 한국경영사학회 24 (24): 213-237, 2009

      22 정정화, "공공갈등해결을 위한 ADR의 활성화 방안 - 미국, 일본, 한국의 조정제도 비교분석 -" 한국자치행정학회 26 (26): 1-22, 2012

      23 강지선, "공공갈등조정관제의 제도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인천시 부평구 공공갈등조정관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6 (16): 291-319, 2017

      24 고경민, "공공갈등의 예방과 민주적 갈등관리 프로세스:제주 해군기지 건설과 영리병원 허용 갈등사례의 함의" 분쟁해결연구센터 8 (8): 5-35, 2010

      25 신상준, "공공갈등에서 정부의 갈등관리: 수도권매립지 사례를 중심으로" 20 (20): 55-72, 2017

      26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공공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 (상)" 논형 2005

      27 임동진, "공공갈등관리의 실태 및 갈등해결 요인분석" 한국행정학회 45 (45): 291-318, 2011

      28 신은종, "공공갈등관리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방폐장 입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8 (8): 173-199, 2010

      29 김기형,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33 (33): 119-154, 2019

      30 홍성만, "공공갈등관리기구의 운영과 실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부간 갈등관리 기구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2 (22): 1-17, 2008

      31 하혜영, "공공갈등 해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갈등관리 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73-296, 2007

      32 김재신, "공공갈등 해결방식에 있어 정부 역할에 대한 시민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2010-2013" 한국정치학회 48 (48): 104-120, 2014

      33 전형준, "공공갈등 해결기제로서의 주민투표의 활용현황과 특징"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5-26, 2013

      34 정정화, "공공갈등 예방을 위한 제도적 접근:공공토론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2 (12): 311-336, 2012

      35 박주민, "공공갈등 예방과 해결을 위한 새로운 입법적 모색"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4) : 275-316, 2014

      36 윤종설, "공공갈등 문제 해소를 위한 민주적 갈등관리의 효과와 한계: 시화호 개발 사례와 호남선 고속철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565-593, 2014

      37 하상군, "공공 갈등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방안 연구: 밀양 송전탑 건설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1 (21): 81-108, 2014

      38 Tilly, Charles, "Violent Events in France, 1830~1860 and 1930~1960" (9080) : 1989

      39 Fisher, Ronald J., "Third Party Consultation as a Method of Intergroup Conflict Resolution" 27 (27): 301-334, 1983

      40 Moore, W. Christopher, "The Mediation Process: Practical Strategies for Resolving Conflict" Jossey-Bass 2003

      41 LaTour, Stephen, "Some Determinants of Preference for Modes of Conflict Resolution" 20 (20): 319-356, 1976

      42 Eisenberg, Melvin Aron, "Private Ordering Through Negotiation: Dispute-Settlement and Rulemaking" 89 (89): 637-681, 1976

      43 O'Leary, Rosemary, "Lessons Learned from Two Decades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Programs and Processes at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61 (61): 682-692, 2001

      44 Yarn, Douglas H., "Dictionary of Conflict Resolution" Jossey-Bass Publishers 1999

      45 Regan, Patrick, "Conditions for Successful Third Party Interventions" 44 (44): 378-985, 1996

      46 박재근, "'프랑스 국가공론위원회' 설립에 관한 연구 - 프랑스 공공토론위원회(CNDP)의 한국 내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한국비교정부학회 18 (18): 229-25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9 1.132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