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암 1기 환자의 위절제술 후 삶의 질 예측요인 =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after Gastrectomy in Stage I Gastric Cancer Pati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0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QoL (quality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QoL in stage I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gastrectomy. The study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3 at K university D Hospital in Daegu. 155 patients were recruited. Data included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QoL was evaluated with FACT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a (gastric) (version 4). Age, sex, spouse, comorbid illness, education, economic status, reconstruction method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QoL. The patients who had gastrectomy exceed 24 month but within 36 month were better than the patients who within 12 months significantly (F=8.434, p<.001). 29.4% of the variance in subjective overall QoL can be explained by economic status, months after surgery, age (adjusted =0.294, F=9.001, p<.001). Economic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QoL.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support economic activit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QoL (quality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QoL in stage I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gastrectomy. The study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3 at K university D Hospital in Daegu. 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QoL (quality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QoL in stage I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gastrectomy. The study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3 at K university D Hospital in Daegu. 155 patients were recruited. Data included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QoL was evaluated with FACT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a (gastric) (version 4). Age, sex, spouse, comorbid illness, education, economic status, reconstruction method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QoL. The patients who had gastrectomy exceed 24 month but within 36 month were better than the patients who within 12 months significantly (F=8.434, p<.001). 29.4% of the variance in subjective overall QoL can be explained by economic status, months after surgery, age (adjusted =0.294, F=9.001, p<.001). Economic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QoL.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support economic ac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위암 1기 환자의 위절제술 후 환자 특성 및 경과 시간에 따른 집단 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대구시 K 대학교 D 병원에서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을 이용하였으며 삶의 질은 FACT(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a(gastric)(version 4) 척도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이 젊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남성일 때, 동반질환이 적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위아전절제술을 받았을 경우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위절제술 후 1년 이내의 대상자 집단에 비해 2년 초과 3년 이하의 집단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F=8.434, p<.001). 대상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은 경제적 수준, 위절제술 후 경과 시간, 연령이었으며 삶의 질을 29.4%설명하였다(adjusted =0.294, F=9.001, p<.001). 특히 경제적 수준이 대상자의 삶의 질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위절제술 후 빠른 경제적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이 중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위암 1기 환자의 위절제술 후 환자 특성 및 경과 시간에 따른 집단 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대구시 K 대학교 D...

      본 연구는 위암 1기 환자의 위절제술 후 환자 특성 및 경과 시간에 따른 집단 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대구시 K 대학교 D 병원에서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을 이용하였으며 삶의 질은 FACT(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a(gastric)(version 4) 척도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이 젊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남성일 때, 동반질환이 적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위아전절제술을 받았을 경우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위절제술 후 1년 이내의 대상자 집단에 비해 2년 초과 3년 이하의 집단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F=8.434, p<.001). 대상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은 경제적 수준, 위절제술 후 경과 시간, 연령이었으며 삶의 질을 29.4%설명하였다(adjusted =0.294, F=9.001, p<.001). 특히 경제적 수준이 대상자의 삶의 질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위절제술 후 빠른 경제적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이 중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영, "항암화학요법 시행 초기 암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 변화 양상"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33-445, 2009

      2 차종석, "한국직장인의 경력성공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요도와 성취도의 적합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93-308, 2015

      3 정지영, "한국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율,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조사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근거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445-459, 2010

      4 박영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1-195, 2006

      5 황숙연,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3) : 257-287, 2009

      6 이은옥, "위장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49-655, 2008

      7 배정민, "위암에서 새로운 TNM 병기 체계에 따른 예후의 평가" 대한외과학회 80 (80): 23-28, 2011

      8 김희선, "암환자의 연령에 따른 증상심각성, 증상관련 지장성, 우울, 투병의지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비교연구: 성인 암환자와 노인 암환자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143-2159, 2014

      9 김보라, "암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일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81-93, 2012

      10 성준모,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2, 2010

      1 김민영, "항암화학요법 시행 초기 암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 변화 양상"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33-445, 2009

      2 차종석, "한국직장인의 경력성공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요도와 성취도의 적합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93-308, 2015

      3 정지영, "한국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율,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조사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근거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445-459, 2010

      4 박영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1-195, 2006

      5 황숙연,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3) : 257-287, 2009

      6 이은옥, "위장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49-655, 2008

      7 배정민, "위암에서 새로운 TNM 병기 체계에 따른 예후의 평가" 대한외과학회 80 (80): 23-28, 2011

      8 김희선, "암환자의 연령에 따른 증상심각성, 증상관련 지장성, 우울, 투병의지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비교연구: 성인 암환자와 노인 암환자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143-2159, 2014

      9 김보라, "암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일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81-93, 2012

      10 성준모,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2, 2010

      11 김경혜, "두경부암 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병원간호사회 12 (12): 41-51, 2006

      12 최경인, "노년기 사회참여의 변화특성 연구: 변화수준과 이질적 변화유형"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395-405, 2015

      13 유하나,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결속력이 노인여성의 우울 및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469-483, 2015

      14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2011"

      15 Santiago, J. M., "TNM-2009(UICC/AJCC)and Japanese classification 2010 in gastric cancer : Towards simplicity and standardization in th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89 (89): 275-281, 2011

      16 FACIT.org, "Questionnaires 2010"

      17 Huang, C. C., "Quality of life in disease-free gastric adenocarcinoma survivors : impacts of clinical stages and reconstructive surgical procedures" 24 (24): 59-65, 2007

      18 Rausei, S., "Quality of life after gastrectomy for cancer evaluated via the EORTC QLQ-C30 and QLQ-STO22 questionnaires: surgical considerations from the analysis of 103 patients" 11 : S104-S109, 2013

      19 Karanicolas, P. J., "Quality of life after gastrectomy for adenocarcinoma: a prospective cohort study" 257 (257): 1039-1046, 2013

      20 이승수, "Quality of Life of Long-Term Survivors after a Distal Subtotal Gastrectomy" 대한암학회 42 (42): 130-134, 2010

      21 Garland, S. N., "Prospective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minimally important difference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astric(FACT-Ga)quality-of-life instrument" 117 (117): 1302-1312, 2011

      22 Eremenco, S., "Linguistic validation of the FACT-Gastric (FACT-Ga) in Japanese and English" 12 (12): 818-, 2003

      23 Kim, Y. W., "Improved quality of life outcomes after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248 (248): 721-727, 2008

      24 Namikawa, T., "Impact of jejunal pouchinterposition reconstruction after proxim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on quality of life : short-and long-term consequences" 204 (204): 203-209, 2012

      25 Eremenco, S. L., "FACT-Gastric: a new international measure of QOL in gastric cancer" 22 (22): 8123-, 2004

      26 김종규, "EQ-5D Index 이용 성인 암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81-291, 2013

      27 Song, S. K., "Comparison of short-term and long-term qualities of life after curative open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6 (6): 12-19, 2010

      28 Kim, A. R., "Changes of quality of life in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curative resection: a longitudinal cohort study in Korea" 256 (256): 1008-101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