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3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alth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a quality life and oral health is one of utmost important element. However, oral health is sometimes overlooked for being not critical to life. And people used to regard the decay of oral health is quite natural. But the oral health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as there is a change of conception that oral health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and extension of average life. Thus, the study attempts to construct theoretical model explaining elements that a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to verify the practical resourc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85 among 300 people over 40 years old in Daegu, Ulsan, Gimcheon, Gumi and Okcheon area from Jul. 12, 2010 ~ Aug. 27, 2010.

      1) The chewing ability index was proven higher for women, low age, high education and non-smokers. As to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the index was high for low age, high education and people who play sports. OHIP was higher for the lower age. While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is higher for those who have higher education,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for higher education, and people who play sports.

      2) As to factors e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it was shown higher for women, high education, non-smokers, playing sports and people with high chewing ability and high subjective oral health.

      3) As to the coefficient correlation of variables, the quality of life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 with chewing ability, oral health perception,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effect index. And it satisfied all fitness standards.

      4) The chew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Element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were oral health perception,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HIP.
      번역하기

      Health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a quality life and oral health is one of utmost important element. However, oral health is sometimes overlooked for being not critical to life. And people used to regard the decay of oral health is quite natural. ...

      Health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a quality life and oral health is one of utmost important element. However, oral health is sometimes overlooked for being not critical to life. And people used to regard the decay of oral health is quite natural. But the oral health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as there is a change of conception that oral health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and extension of average life. Thus, the study attempts to construct theoretical model explaining elements that a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to verify the practical resourc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85 among 300 people over 40 years old in Daegu, Ulsan, Gimcheon, Gumi and Okcheon area from Jul. 12, 2010 ~ Aug. 27, 2010.

      1) The chewing ability index was proven higher for women, low age, high education and non-smokers. As to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the index was high for low age, high education and people who play sports. OHIP was higher for the lower age. While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is higher for those who have higher education,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for higher education, and people who play sports.

      2) As to factors e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it was shown higher for women, high education, non-smokers, playing sports and people with high chewing ability and high subjective oral health.

      3) As to the coefficient correlation of variables, the quality of life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 with chewing ability, oral health perception,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effect index. And it satisfied all fitness standards.

      4) The chew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Element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were oral health perception,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건강은 필수조건의 하나이며, 구강건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배제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강질환은 생명에 위협을 주지 않는다 하여 중요시 하지 않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당연한 결과라고 받아들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구강건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변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구강건강은 필수요인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분석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은 2010년 7월 12일부터 8월 27일까지였으며, 대구·울산, 김천·구미, 옥천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 300명 중 284명을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1) 40대 이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작능력은 성별은 여성이고,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흡연은 하지 않을수록 저작능력이 높았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운동은 할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았다. 구강건강영향지수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았다. 구강건강 인식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건강 인식이 높았고, 삶의 질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운동을 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2)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흡연을 하지 않고 운동을 할수록, 저작능력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3) 변수들의 상관관계 결과 삶의 질은 저작능력, 구강건강인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결과 모든 적합기준에 적합하였다.

      4) 구강건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저작능력이었고,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 인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영향지수이다.
      번역하기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건강은 필수조건의 하나이며, 구강건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배제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강질환은 생명에 위협을 주지 않는다 하여 중요...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건강은 필수조건의 하나이며, 구강건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배제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강질환은 생명에 위협을 주지 않는다 하여 중요시 하지 않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당연한 결과라고 받아들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구강건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변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구강건강은 필수요인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분석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은 2010년 7월 12일부터 8월 27일까지였으며, 대구·울산, 김천·구미, 옥천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 300명 중 284명을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1) 40대 이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작능력은 성별은 여성이고,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흡연은 하지 않을수록 저작능력이 높았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운동은 할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았다. 구강건강영향지수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았다. 구강건강 인식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건강 인식이 높았고, 삶의 질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운동을 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2)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흡연을 하지 않고 운동을 할수록, 저작능력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3) 변수들의 상관관계 결과 삶의 질은 저작능력, 구강건강인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결과 모든 적합기준에 적합하였다.

      4) 구강건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저작능력이었고,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 인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영향지수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II. 이론적 배경 4
      • 1. 저작능력 4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II. 이론적 배경 4
      • 1. 저작능력 4
      • 2.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5
      • 3.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6
      • 4. 구강건강 인식 8
      • 5. 삶의 질 9
      • III. 연구방법 12
      • 1. 연구모형 12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13
      • 3. 조사도구 13
      • 4. 신뢰도검정 17
      • 5. 분석방법 19
      • IV. 연구결과 20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작능력 22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24
      •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 26
      •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 인식 28
      •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30
      • 7.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 8. 연구모형의 분석 35
      • V. 요약 및 결론 43
      • 1. 요약 43
      • 2. 결론 45
      • 참고문헌 47
      • 국문초록 52
      • Abstract 54
      • 부록(설문지)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