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건강은 필수조건의 하나이며, 구강건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배제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강질환은 생명에 위협을 주지 않는다 하여 중요...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건강은 필수조건의 하나이며, 구강건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배제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강질환은 생명에 위협을 주지 않는다 하여 중요시 하지 않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당연한 결과라고 받아들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구강건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변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구강건강은 필수요인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분석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은 2010년 7월 12일부터 8월 27일까지였으며, 대구·울산, 김천·구미, 옥천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 300명 중 284명을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1) 40대 이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작능력은 성별은 여성이고,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흡연은 하지 않을수록 저작능력이 높았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운동은 할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았다. 구강건강영향지수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았다. 구강건강 인식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건강 인식이 높았고, 삶의 질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운동을 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2)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흡연을 하지 않고 운동을 할수록, 저작능력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3) 변수들의 상관관계 결과 삶의 질은 저작능력, 구강건강인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결과 모든 적합기준에 적합하였다.
4) 구강건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저작능력이었고,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 인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영향지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