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평가 특성 고찰 = Analysis of Features of Geography Assessment of Austral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9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study forms and contents of geography assessment of Australia. Each State of Australia has its own systematic and detailed guidelines of the assessment for each grade and subject, aiming to achieve their intention of making competencies-centered curriculum. All States underline in common the evaluation on the geographical inquiry methodologies; geographical investig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ical tools and skills, and most importantly, all states make it obligatory to evaluate the fieldwork activities. On the other hands, each state has its own distinctive feature of geography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its own geographical background and historical tradition. For example, states located in the eastern/sou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tend to focus on the extrinsic value, human geography and indoor works compared to the states located in the western/middle part of the country. Also, the further located from the core regions of industry and population, the more colorful and abundant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geography assessment appeared to be in a unique spatial patterns.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to study forms and contents of geography assessment of Australia. Each State of Australia has its own systematic and detailed guidelines of the assessment for each grade and subject, aiming to achieve their intention of making competen...

      This article is to study forms and contents of geography assessment of Australia. Each State of Australia has its own systematic and detailed guidelines of the assessment for each grade and subject, aiming to achieve their intention of making competencies-centered curriculum. All States underline in common the evaluation on the geographical inquiry methodologies; geographical investig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ical tools and skills, and most importantly, all states make it obligatory to evaluate the fieldwork activities. On the other hands, each state has its own distinctive feature of geography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its own geographical background and historical tradition. For example, states located in the eastern/sou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tend to focus on the extrinsic value, human geography and indoor works compared to the states located in the western/middle part of the country. Also, the further located from the core regions of industry and population, the more colorful and abundant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geography assessment appeared to be in a unique spatial patter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각 주의 지리평가 특성을 형식 및 내용 면에서 비교 고찰한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든 주에서는 학년별, 주제별로 평가내용 및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지리평가 체제를 마련해 놓음으로써 역량중심교육과정의 취지를 달성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6개 주 모두 지리 조사 및 의사전달, 지리 도구 및 실기 능력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는 가운데, 특히 야외조사 활동에 대한 평가가 의무화하여 있었다. 그렇지만 각 주마다 지리적 배경과 역사적 전통에 따라 지리평가에서 차별성도 나타났다. 곧, 서부와 중부의 주들보다 동부와 동남부에 위치한 주들이 상대적으로 지리교육의 외재적 가치, 인문지리적 주제, 실내조사 활동과 관계 깊은 지리 평가의 비중이 높았다. 반면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및 산업의 중핵지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리평가의 형식과 내용이 다채롭고 풍요로운 독특한 공간적 패턴이 나타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각 주의 지리평가 특성을 형식 및 내용 면에서 비교 고찰한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든 주에서는 학년별, 주제별로 평가내...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각 주의 지리평가 특성을 형식 및 내용 면에서 비교 고찰한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든 주에서는 학년별, 주제별로 평가내용 및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지리평가 체제를 마련해 놓음으로써 역량중심교육과정의 취지를 달성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6개 주 모두 지리 조사 및 의사전달, 지리 도구 및 실기 능력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는 가운데, 특히 야외조사 활동에 대한 평가가 의무화하여 있었다. 그렇지만 각 주마다 지리적 배경과 역사적 전통에 따라 지리평가에서 차별성도 나타났다. 곧, 서부와 중부의 주들보다 동부와 동남부에 위치한 주들이 상대적으로 지리교육의 외재적 가치, 인문지리적 주제, 실내조사 활동과 관계 깊은 지리 평가의 비중이 높았다. 반면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및 산업의 중핵지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리평가의 형식과 내용이 다채롭고 풍요로운 독특한 공간적 패턴이 나타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미,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논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의 행복 내용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63-80, 2018

      2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61-69, 2005

      3 남상준,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16-27, 2005

      4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5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9-63, 2013

      6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51-565, 2013

      7 김다원,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13-28, 2016

      8 이경한,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교육과학사 155-159, 2004

      9 VCAA, "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 Geography Study Design"

      10 WASCSA, "The Western Australian Certificate of Education 2015; Responding and adapting"

      1 박선미,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논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의 행복 내용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63-80, 2018

      2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61-69, 2005

      3 남상준,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16-27, 2005

      4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5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9-63, 2013

      6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51-565, 2013

      7 김다원,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13-28, 2016

      8 이경한,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교육과학사 155-159, 2004

      9 VCAA, "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 Geography Study Design"

      10 WASCSA, "The Western Australian Certificate of Education 2015; Responding and adapting"

      11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Vol. 1: Cognitive Domain" McKay 1956

      12 WASCSA, "Summary Report of the 2018 ATAR Course Examination Report: Geography"

      13 TASC, "Geography Level 3"

      14 BSSS, "Geography Integrating Australian Curriculum A/T/M"

      15 WASCSA, "Geography ATAR Course Year 12 syllabus"

      16 WASCSA, "Geography ATAR Course Examination 2019 Marking key"

      17 QCAA, "Geography 2019 v.1.1 General Senior Syllabus"

      18 SACEBSA, "Geography 2019 Subject Outline Stage 1, 2"

      19 NSWESA, "Assessment and Reporting in Geography Stage 6"

      20 김현미,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16,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