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선미,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논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의 행복 내용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63-80, 2018
2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61-69, 2005
3 남상준,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16-27, 2005
4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5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9-63, 2013
6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51-565, 2013
7 김다원,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13-28, 2016
8 이경한,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교육과학사 155-159, 2004
9 VCAA, "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 Geography Study Design"
10 WASCSA, "The Western Australian Certificate of Education 2015; Responding and adapting"
1 박선미,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논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의 행복 내용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63-80, 2018
2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61-69, 2005
3 남상준,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16-27, 2005
4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5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9-63, 2013
6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51-565, 2013
7 김다원,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13-28, 2016
8 이경한,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교육과학사 155-159, 2004
9 VCAA, "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 Geography Study Design"
10 WASCSA, "The Western Australian Certificate of Education 2015; Responding and adapting"
11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Vol. 1: Cognitive Domain" McKay 1956
12 WASCSA, "Summary Report of the 2018 ATAR Course Examination Report: Geography"
13 TASC, "Geography Level 3"
14 BSSS, "Geography Integrating Australian Curriculum A/T/M"
15 WASCSA, "Geography ATAR Course Year 12 syllabus"
16 WASCSA, "Geography ATAR Course Examination 2019 Marking key"
17 QCAA, "Geography 2019 v.1.1 General Senior Syllabus"
18 SACEBSA, "Geography 2019 Subject Outline Stage 1, 2"
19 NSWESA, "Assessment and Reporting in Geography Stage 6"
20 김현미,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1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