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원안보를 위한 자원확보 목표관리 지표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Target-management Indicators for National Resource Sec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7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determining rate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is applied differently between the mineral resources and petroleum/gas sectors. In this study, standard on the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is proposed as the activity agent and region-specific factor(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by domestic enterprises) and function(economic hedging or quantity securing) based on the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Business Act. The evaluation result using the presented category standard, the share rate, the off-take quantity, a supply secured through a service contract(excluding fee), and a contractual long-term supply linked to the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enterprises of domestic businesses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In addition, reconciling the system boundaries between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and base supply quantity by excluding domestic production is necessary. Furthermore, in order to evaluate the investment soundness of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the reserves replacement ratio (RRR) is proposed as a secondary indicator along with the a self- sufficiency supply ratio for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national resource supply capability.
      번역하기

      When determining rate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is applied differently between the mineral resources and petroleum/gas sectors. In this study, standard on the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

      When determining rate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is applied differently between the mineral resources and petroleum/gas sectors. In this study, standard on the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is proposed as the activity agent and region-specific factor(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by domestic enterprises) and function(economic hedging or quantity securing) based on the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Business Act. The evaluation result using the presented category standard, the share rate, the off-take quantity, a supply secured through a service contract(excluding fee), and a contractual long-term supply linked to the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enterprises of domestic businesses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In addition, reconciling the system boundaries between self-sufficiency development quantity and base supply quantity by excluding domestic production is necessary. Furthermore, in order to evaluate the investment soundness of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the reserves replacement ratio (RRR) is proposed as a secondary indicator along with the a self- sufficiency supply ratio for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national resource supply cap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외자원개발은 자원 확보를 위한 중요한 정책 대안이 되고 있다. 정부는 해외자원개발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해외자원 확보 목표로서 자주개발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자주개발률 산정시 자주개발량 적용 범주를 광물자원과 석유/가스 부문이 서로 상이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자주개발량과 베이스물량간의 시스템 경계가 불일치한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자원개발 사업법에 근거하여 자주개발량 범주 기준을 활동 주체 및 지역성(우리기업의 해외 자원개발활동)과 기능(물량확보 또는 경제적 헤징)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자주개발량 범주 기준에 따라 검토한 결과, 지분률, off-take 물량, 서비스계약으로 확보한 물량(fee 제외), 우리기업의 해외자원개발 사업과 연동된 장기공급계약물량 등이 자주개발량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자주개발률로 진단할 수 없는 해외자원개발의 투자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매장량대체율(RRR)’을, 국가의 자원공급력을 총체적으로 진단하는 지표로서 ‘자주공급률’을 보조지표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해외자원개발은 자원 확보를 위한 중요한 정책 대안이 되고 있다. 정부는 해외자원개발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해외자원 확보 목표로서 자주개발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

      해외자원개발은 자원 확보를 위한 중요한 정책 대안이 되고 있다. 정부는 해외자원개발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해외자원 확보 목표로서 자주개발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자주개발률 산정시 자주개발량 적용 범주를 광물자원과 석유/가스 부문이 서로 상이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자주개발량과 베이스물량간의 시스템 경계가 불일치한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자원개발 사업법에 근거하여 자주개발량 범주 기준을 활동 주체 및 지역성(우리기업의 해외 자원개발활동)과 기능(물량확보 또는 경제적 헤징)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자주개발량 범주 기준에 따라 검토한 결과, 지분률, off-take 물량, 서비스계약으로 확보한 물량(fee 제외), 우리기업의 해외자원개발 사업과 연동된 장기공급계약물량 등이 자주개발량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자주개발률로 진단할 수 없는 해외자원개발의 투자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매장량대체율(RRR)’을, 국가의 자원공급력을 총체적으로 진단하는 지표로서 ‘자주공급률’을 보조지표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식경제부, "해외자원개발 통계"

      2 김대형, "해외자원개발 성과와 과제" 1-, 2011

      3 김대형, "해외자원개발 성과와 과제" 10-11, 2011

      4 지식경제부, "제 4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 지식경제부 2010

      5 지식경제부, "제 3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 지식경제부 2007

      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수급대책연구" 동력자원부 1979

      7 일본경제산업성, "일본 에너지기본계획" 일본경제산업성 2010

      8 Duffield, J.S, "Japan’s new basic energy plan" 39 (39): 3741-3749, 2011

      1 지식경제부, "해외자원개발 통계"

      2 김대형, "해외자원개발 성과와 과제" 1-, 2011

      3 김대형, "해외자원개발 성과와 과제" 10-11, 2011

      4 지식경제부, "제 4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 지식경제부 2010

      5 지식경제부, "제 3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 지식경제부 2007

      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수급대책연구" 동력자원부 1979

      7 일본경제산업성, "일본 에너지기본계획" 일본경제산업성 2010

      8 Duffield, J.S, "Japan’s new basic energy plan" 39 (39): 3741-3749,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