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분석 -용인 , 안성지역을 대상으로- =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is of Landslides on Natural Slopes Induced by Rainfall -Yongin , Ansung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7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사면에서 발생되는 산사태는 그 원인이 대부분 집중강우에 의한 것이고,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도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지역에서는 1991년...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사면에서 발생되는 산사태는 그 원인이 대부분 집중강우에 의한 것이고,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도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지역에서는 1991년부터 최근까지 산사태가 지역적으로 많이 발생된 바 있는데, 이러한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강우, 지형조건, 지질 및 토질특성 등을 들 수 있다. 1991년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에 걸친 약 250㎜의 집중강우로 인해 용인·안성지역에서 약 660여개의 산사태가 발생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지역에서 발생된 산사태에 대하여 위치, 지형, 지질, 기하형태 및 강우 등을 조사하여 산사태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산사태는 기반암 상부의 토층사면에서 발생되었으며 전이형슬라이드로 시작되어 유동성산사태로 변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길이는 대부분 50m 이하로서 대체로 소규모적이다. 또한, 토질조건에 따른 산사태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과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서 각각의 토층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시험을 통한 토질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질은 대체로 자갈 및 모래의 함유비가 높은 조립질인데 반하여 미발생지역은 실트나 점토입자의 구성비가 높은 세립질이 우세하였다. 그리고 투수계수는 산사태발생지역이 미발생지역의 경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landslides triggered by intensive rainfall on natural slope occur serious damages of human beings and properties. There have been many landslides since 1991 in Gyeonggi province. The influential factors are rainfall, topography, geology an...

      Most of the landslides triggered by intensive rainfall on natural slope occur serious damages of human beings and properties. There have been many landslides since 1991 in Gyeonggi province. The influential factors are rainfall, topography, geology and soil properties. There were 660 landslides occurred by intensive rainfall as much as 250㎜at Yongin and Anseong area from July 19th to July 21st, 1991. This study surveyed location, topography, geology, geometry of the landslide and rainfall at the area and analyzed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s. Most of the landslides occurred on the soil layer above the bed rock. They showed changes of landslide types from translational slides at the head part to flow at the central part. The landslides have relatively small magnitude of which length is shorter than 50m. In ord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dependent on soil conditions,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il were evaluated by laboratory tests using soil samples which were collected on slided area and not-slided area. Soil properties of the slided area show high percentage of coarse material such as gravel and sand. However, soil of the not-slided area is mainly composed of fine material such as silt and clay. Permeability coefficients of the slided area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t-slided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지질도 이천도폭 국립지질광물연구소." 1974

      2 "한국지질도 오산도폭 국립지질광물연구소." 1973

      3 "한국지질도 수원도폭 국립지질조사소." 1972

      4 "한국의 산사태 발생 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45-, 1986

      5 "지형 특성에 따른 산사태의 유형 및 취약성 -연천-철원지역을 대상으로-" 8 (8): 115-130, 1998

      6 "지형 및 토질특성을 고려한 산사태 예측" 5 (5): 29-41, 2001

      7 "지질에 따른 토층사면의 토질공학적 특성 -부산 황령산지역-" 14 (14): 487-498, 2004

      8 "인공신경망모델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20 (20): 67-75, 2004

      9 "우리나라에서의 사면안정 대책공법 적용사례연구" 1-28, 2002

      10 "안성도폭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989

      1 "한국지질도 이천도폭 국립지질광물연구소." 1974

      2 "한국지질도 오산도폭 국립지질광물연구소." 1973

      3 "한국지질도 수원도폭 국립지질조사소." 1972

      4 "한국의 산사태 발생 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45-, 1986

      5 "지형 특성에 따른 산사태의 유형 및 취약성 -연천-철원지역을 대상으로-" 8 (8): 115-130, 1998

      6 "지형 및 토질특성을 고려한 산사태 예측" 5 (5): 29-41, 2001

      7 "지질에 따른 토층사면의 토질공학적 특성 -부산 황령산지역-" 14 (14): 487-498, 2004

      8 "인공신경망모델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20 (20): 67-75, 2004

      9 "우리나라에서의 사면안정 대책공법 적용사례연구" 1-28, 2002

      10 "안성도폭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989

      11 김원영,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과학기술부 2003

      12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한국자원연구소 2000

      13 "강우에 의한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특성 -충청북도 보은지역-" 10 (10): 163-174, 2000

      14 "identification. Proceedings of landslides in the South Wales" 198518-29.

      15 "UNESCO Working Party on Landslide Inventory A suggested method for reporting a landslide Bull. of IAEG" 5-12, 1990

      16 "Triaxial Shear Tests on Pervious Gravelly Soils" 19561867.

      17 "The effect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with examples from the Greater Durban area" 1629-1636, 1994

      18 "Some thoughts on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373-376, 1981

      19 "Role of bedrock ground water in the initiation of debris flows and sustained post flow stream discharge. Bulletin of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ists 27" 73-83, 1990

      20 "Permeability of Cohesionless Soils Journal of the Geotechical Engineering Division" 1309-1306,

      21 "National Academy of Science" 11-33, 1978

      22 "National Academy of Science" 11-33, 1978

      23 "Morphological and geotechnical parameters of landslides in relation to geology and hydrology In Landslides Proc. 5th Int. Symp. on Landslides" 3-35, 1988

      24 "Hydrologic response of a steep unchanneled valley to natural and applied rainfall." 33 (33): 91-109, 1997

      25 "Geotechnical influence on soil slips in the Apuan Alps first results in the Cardoso area. Pro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ast Movements-Prediction and Prevention for Risk Mitigation" 241-245, 2003

      26 "Flowof gases Through Porous Media" 1956

      27 "Field stress path simulation of rain-induced slope failure. Proceedings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996, 1985

      28 "Debris flow and its countermeasures in Japan Bull. of the IAEG" 15-33, 1989

      29 "Conditions leading to the initiation of rainfall-induced debris flows. Geotech. Engrg. Div. Specialty Conferenc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Slopes and Embankments-II. ASEC" 834-839, 1992

      30 "Classification of debris flows" 44-79, 1978

      31 "Bull. of engineering geology" 39-44, 1990

      32 "Assessmen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on the natural terrain of Lantau Island" 40 (40): 381-391, 2001

      33 "Analysis of rainfall-induced debris flow." 544- 552, 1995

      34 "A preliminary geomorphological assessment of part of the Karakoram highway The Q. J. of Engineering Geology" 331-35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83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