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전기 국왕 諡號制의 내용과 그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5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왕의 시호는 諡法에 의거하여 嗣王이 군신과 협의하여 올린 왕호를 의미한다. 사실 국왕 시호제는 대행왕의 업적을 평가함으로써 덕업의 성취를 권면하는 목적에서 마련된 제도였다. 고려는 시법에 의거하여 선왕들에게 시호를 追諡했다. 즉, 국초부터 시법을 근거로 시호의 문자를 선정하였고, 諡冊을 읽는 의례절차를 거쳐 선왕에게 시호를 올렸다. 그런데, 추시는 親親이라는 인간 본연의 마음에서 비롯된 단순한 도덕 행위는 아니다. 정치적 상황과 입장에 따라 嗣王이 시호의 내용과 의미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목적과 의사를 관철하려는 적극적인 정치 행위의 하나였다. 그런 점에서 고려의 임금들은 추시를 적극 활용하여, 선왕들과 자신의 관계를 설정하고, 또 그렇게 규정된 관계를 통해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국왕의 시호는 諡法에 의거하여 嗣王이 군신과 협의하여 올린 왕호를 의미한다. 사실 국왕 시호제는 대행왕의 업적을 평가함으로써 덕업의 성취를 권면하는 목적에서 마련된 제도였다. 고...

      국왕의 시호는 諡法에 의거하여 嗣王이 군신과 협의하여 올린 왕호를 의미한다. 사실 국왕 시호제는 대행왕의 업적을 평가함으로써 덕업의 성취를 권면하는 목적에서 마련된 제도였다. 고려는 시법에 의거하여 선왕들에게 시호를 追諡했다. 즉, 국초부터 시법을 근거로 시호의 문자를 선정하였고, 諡冊을 읽는 의례절차를 거쳐 선왕에게 시호를 올렸다. 그런데, 추시는 親親이라는 인간 본연의 마음에서 비롯된 단순한 도덕 행위는 아니다. 정치적 상황과 입장에 따라 嗣王이 시호의 내용과 의미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목적과 의사를 관철하려는 적극적인 정치 행위의 하나였다. 그런 점에서 고려의 임금들은 추시를 적극 활용하여, 선왕들과 자신의 관계를 설정하고, 또 그렇게 규정된 관계를 통해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sthumous title(Shiho, 諡號) of king is the posthumous name dedicated by the successor. The Goryeo Dynasty distinguished between the Shirine title(Myoho, 廟號) and posthumous title and established an independent system that making the posthumous title. The Goryeo Dynasty selected the posthumous title according to the rules from the beginning and dedicated the posthumous title to the former king after going through a regular procedure. Even though they decided Shiho based on rule, It was necessary for selecting Shiho to go through agreement. Thus, the political relationship of the age were naturally reflected in the process of choosing Shiho. We can confirm the fact that Goryoe people use Shiho as a tool to worship the King Taejo, and jutify king’s authority by searching the meaning of Shiho’s letter in early Goryoe Dynasty.
      One of the most important shiho is filial duty(hyo, 孝). The Han Empire put the letter of hyo in Siho to premanently possess the dynasty by imprinting the emperor’s image of take the initiative and set an example in filial behavior. It was same in Goryeo Dynasty. As showing off blood-related, moral legitimacy of the former king, Goryeo Dynasty utilized the hyo Shiho to make public justification of Succession King.
      번역하기

      The posthumous title(Shiho, 諡號) of king is the posthumous name dedicated by the successor. The Goryeo Dynasty distinguished between the Shirine title(Myoho, 廟號) and posthumous title and established an independent system that making the posthum...

      The posthumous title(Shiho, 諡號) of king is the posthumous name dedicated by the successor. The Goryeo Dynasty distinguished between the Shirine title(Myoho, 廟號) and posthumous title and established an independent system that making the posthumous title. The Goryeo Dynasty selected the posthumous title according to the rules from the beginning and dedicated the posthumous title to the former king after going through a regular procedure. Even though they decided Shiho based on rule, It was necessary for selecting Shiho to go through agreement. Thus, the political relationship of the age were naturally reflected in the process of choosing Shiho. We can confirm the fact that Goryoe people use Shiho as a tool to worship the King Taejo, and jutify king’s authority by searching the meaning of Shiho’s letter in early Goryoe Dynasty.
      One of the most important shiho is filial duty(hyo, 孝). The Han Empire put the letter of hyo in Siho to premanently possess the dynasty by imprinting the emperor’s image of take the initiative and set an example in filial behavior. It was same in Goryeo Dynasty. As showing off blood-related, moral legitimacy of the former king, Goryeo Dynasty utilized the hyo Shiho to make public justification of Succession K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시호의 추존 절차
      • 3. 시호 문자의 선정 배경
      • 4. ‘孝’ 시호의 도입과 의미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시호의 추존 절차
      • 3. 시호 문자의 선정 배경
      • 4. ‘孝’ 시호의 도입과 의미
      • 5. 加諡의 정치적 동기
      • 6.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진, "조선시대 종묘의 神主位版 題式의 변화-明淸의 교체를 기점으로-" 진단학회 (101) : 225-256, 2006

      2 이범직, "정조대 종묘서관리들의 종묘제향 학습서 譯註 每事文" 민속원

      3 임민혁, "왕의 이름, 묘호" 문학동네 2010

      4 안기혁, "여말선초 대중국관계와 국왕시호(國王諡號)" 한국역사연구회 (104) : 229-262, 2017

      5 김만원, "백호통의역주" 역락 2018

      6 문동석, "백제의 시호제(諡號制)와 시호(諡號)의 함의" 백제학회 (32) : 77-103, 2020

      7 남인국, "고려중기 정치세력 연구" 신서원 1999

      8 한정수,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사학회 (107) : 1-44, 2012

      9 金澈雄, "고려시대 太廟와 原廟의 운영" 106 : 2005

      10 이정훈, "고려시대 ‘고려세계(高麗世系)에 대한 기록과 인식" 한국역사연구회 (104) : 19-52, 2017

      1 이현진, "조선시대 종묘의 神主位版 題式의 변화-明淸의 교체를 기점으로-" 진단학회 (101) : 225-256, 2006

      2 이범직, "정조대 종묘서관리들의 종묘제향 학습서 譯註 每事文" 민속원

      3 임민혁, "왕의 이름, 묘호" 문학동네 2010

      4 안기혁, "여말선초 대중국관계와 국왕시호(國王諡號)" 한국역사연구회 (104) : 229-262, 2017

      5 김만원, "백호통의역주" 역락 2018

      6 문동석, "백제의 시호제(諡號制)와 시호(諡號)의 함의" 백제학회 (32) : 77-103, 2020

      7 남인국, "고려중기 정치세력 연구" 신서원 1999

      8 한정수,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사학회 (107) : 1-44, 2012

      9 金澈雄, "고려시대 太廟와 原廟의 운영" 106 : 2005

      10 이정훈, "고려시대 ‘고려세계(高麗世系)에 대한 기록과 인식" 한국역사연구회 (104) : 19-52, 2017

      11 노명호, "고려 태조왕건의 동상" 지식산업사 2012

      12 김보광, "고려 초 康兆의 政變과 中臺省의 등장 — 선휘원·은대와 중대성의 치폐과정에 담긴 의미 —" 한국사학회 (109) : 41-84, 2013

      13 김아네스, "고려 전기 태묘의 禘祫 親享과 그 의미" 진단학회 (132) : 21-56, 2019

      14 김철웅, "고려 경령전의 설치와 운영"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01-127, 2009

      15 박재우, "고려 君主의 국제적 위상" 고려사학회 (20) : 45-80, 2005

      16 金基德, "高麗의 諸王制와 皇帝國體制" 78 : 1997

      17 "高麗史節要"

      18 "高麗史"

      19 崔順權, "高麗前期 五廟制의 運營" 66 : 1998

      20 이정란, "高麗 王家의 龍孫意識과 왕권의 변동" 고려사학회 (55) : 7-41, 2014

      21 김효진, "高句麗 王號 ‘太祖王’의 정립 과정과 의미" 한국사연구회 (178) : 1-39, 2017

      22 李泰鎭, "金致陽 亂의 性格 : 高麗初 西京勢力의 政治的 推移와 관련하여" 17 : 1977

      23 肖爰民, "遼太宗耶律德光的尊號與諡號探析" 37 (37): 2016

      24 "逸周書"

      25 野村朋弘, "諡-天皇の呼び名-" 中央公論新 2019

      26 汪受寬, "諡法硏究" 上海古籍出版社 1995

      27 "舊唐書"

      28 "白虎通義"

      29 "漢書"

      30 李成珪, "漢代 『孝經』의 普及과 그 理念" 10 : 1998

      31 윤경진, "新羅 中代 太宗(武烈王) 諡號의 追上과 재해석" 고려사학회 (53) : 213-252, 2013

      32 박미라, "宗廟에서 始祖神의 위상과 신격 - 祫⋅褅祭祀의 首位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77) : 377-402, 2015

      33 "宋史"

      34 와타나베 신이치로, "天空의 玉座" 신서원 2002

      35 "大覺國師文集"

      36 白雪兵, "唐代皇帝諡號制度研究" 南京師範大学 2017

      37 허인욱, "君主號로 본 고려 전기의 대외인식" 한국중세사학회 (55) : 361-393, 2018

      38 최종석, "1356(공민왕 5)~1369년(공민왕 18) 고려-몽골(원) 관계의 성격 - ‘원간섭기’와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6) : 233-271, 2010

      39 蔡雄錫, "12세기초 고려의 개혁 추진과 정치적 갈등" 112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