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Development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rhombeus(Cyprinidae) from Korea. = 韓國産 납지리(잉어科)의 卵發生 및 仔魚의 發育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07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江原道鐵原郡의 漢灘江에서 採集한 납지리의 個體發生을 22℃의 水溫飼育下에서 經詩的으로 觀察하였다.
      本種의 卵은 鷄卵形으로 제리狀인 物質에 덮여 있으며 1回에 平均19粒의 卵이 搾出되었다. 卵發生 및 仔魚의 發育形態는 Nakamura(1969)가 記載한 日本産의 것과 매우 닮았다. 特히 仔魚는 S子狀으로 몸을 꿈틀거리는 듯한 運動을 하는데 이로 미루어 볼때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us는 日本産인 A. typus와 A. longipinnis, 그리고 韓半島産인 큰납지리 Acanthorhodeus asmussi와 가시납지리 Acan. gracilis와 近緣關係에 있음이 示唆되었다. 本種은 韓半島産 납자루類中에서는 唯一하게 秋季産卵型으로 仔魚의 發育이 一定한 段階에서 遲延되었다. 이러한 發育의 遲延은 遺傳的인 支配를 받으며 水溫低下等의 環境要因에 依하지 않는다는 事實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 現象은 秋季産卵型의 適應形質이라고 解釋되었다.
      또한 仔魚의 S字狀運動은 日本産인 납자루類에서는 秋季産卵型에 出現하는 形質인데 韓半島産에서는 큰납지리와 가시납지리처럼 春季産卵型에도 出現하는 形質이다. 이러한 事實로부터 系統發生은 큰납지리나 가시납지리 같은 種들로부터 秋季産卵型인 種이 出現하였음이 示唆되어진다.

      번역하기

      江原道鐵原郡의 漢灘江에서 採集한 납지리의 個體發生을 22℃의 水溫飼育下에서 經詩的으로 觀察하였다. 本種의 卵은 鷄卵形으로 제리狀인 物質에 덮여 있으며 1回에 平均19粒의 卵이 搾出...

      江原道鐵原郡의 漢灘江에서 採集한 납지리의 個體發生을 22℃의 水溫飼育下에서 經詩的으로 觀察하였다.
      本種의 卵은 鷄卵形으로 제리狀인 物質에 덮여 있으며 1回에 平均19粒의 卵이 搾出되었다. 卵發生 및 仔魚의 發育形態는 Nakamura(1969)가 記載한 日本産의 것과 매우 닮았다. 特히 仔魚는 S子狀으로 몸을 꿈틀거리는 듯한 運動을 하는데 이로 미루어 볼때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us는 日本産인 A. typus와 A. longipinnis, 그리고 韓半島産인 큰납지리 Acanthorhodeus asmussi와 가시납지리 Acan. gracilis와 近緣關係에 있음이 示唆되었다. 本種은 韓半島産 납자루類中에서는 唯一하게 秋季産卵型으로 仔魚의 發育이 一定한 段階에서 遲延되었다. 이러한 發育의 遲延은 遺傳的인 支配를 받으며 水溫低下等의 環境要因에 依하지 않는다는 事實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 現象은 秋季産卵型의 適應形質이라고 解釋되었다.
      또한 仔魚의 S字狀運動은 日本産인 납자루類에서는 秋季産卵型에 出現하는 形質인데 韓半島産에서는 큰납지리와 가시납지리처럼 春季産卵型에도 出現하는 形質이다. 이러한 事實로부터 系統發生은 큰납지리나 가시납지리 같은 種들로부터 秋季産卵型인 種이 出現하였음이 示唆되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in Acheilognathus rhombeus from Korea were observed. As regar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egg and larval developnemt, these from Korea are closely similar to those from Japan. For the duration of all larval stages, A. rhombeus larvae share the character such as the incessant wiggly move ment pattern as that of fly maggot with the larvae of A. typus, A. longipinnis, Acanthorhodeus asmussi and Acan. gracilis. From this fact, it should be supposed that A. rhombeus is closely related to these species in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This species is the only autumun-spawning bitterling in Korea and the larval growth always retards in such larval stage as the duration from B to D in Suzuki and Hibiya's (1985) developmental stage, of which the larval satge shows no appearence of melanophores on the body. The heritable retardation is a adaptation for relation to the autumn-spawning. Thus, these facts seem to be the relation of evolutionary trend between the spring- summer spawning species and autumn- spawning species.

      번역하기

      The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in Acheilognathus rhombeus from Korea were observed. As regar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egg and larval developnemt, these from Korea are closely similar to those from Japan. For the duration of all larval...

      The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in Acheilognathus rhombeus from Korea were observed. As regar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egg and larval developnemt, these from Korea are closely similar to those from Japan. For the duration of all larval stages, A. rhombeus larvae share the character such as the incessant wiggly move ment pattern as that of fly maggot with the larvae of A. typus, A. longipinnis, Acanthorhodeus asmussi and Acan. gracilis. From this fact, it should be supposed that A. rhombeus is closely related to these species in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This species is the only autumun-spawning bitterling in Korea and the larval growth always retards in such larval stage as the duration from B to D in Suzuki and Hibiya's (1985) developmental stage, of which the larval satge shows no appearence of melanophores on the body. The heritable retardation is a adaptation for relation to the autumn-spawning. Thus, these facts seem to be the relation of evolutionary trend between the spring- summer spawning species and autumn- spawning spec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