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光州 지역학 연구를 위한 어학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7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광주 지역어 연구 성과 현황을 검토하고, 광주학이 지역학으로서 정립되기 위해 그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지역어’의 개념을 ‘지역민들의 일상 언어 전반에 걸친 개념이자 문화적 가치’로 넓게 설정하고, 이러한 넓은 개념의 지역어 연구의 장을 ‘지역어학’으로 지칭하였다. 이를 근간으로 이 글은 광주 지역어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방언, 지명, 한글 문헌 및 자료 등 연구 대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대별하였다.
      첫째, 방언 연구는 주로 음운적 특징을 집중적으로 논의되었음을 살폈다. 따라서 향후 광주 지역의 방언 연구는 문법 체계 및 어휘에 관한 연구를 병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둘째, 지명 연구는 학술적 접근보다 자료적 접근에 의한 성과가 양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지명 연구가 확장되기 위해서는 어휘적 측면을 바탕으로 인접 학문들과의 연계 가능성을 고려한 논의가 연계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한글 문헌?자료 연구는 광주판 ?천자문?에 관한 성과가 집중된 가운데 비교적 덜 알려진 한글 제문과 사회사 자료에 대한 해제 연구, 고지도에 나타난 무등산 차자 표기를 분석한 연구 성과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광주 한글 문헌ㆍ자료 목록이 정리되면, 해당 분야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광주 지역어 연구 성과 현황을 검토하고, 광주학이 지역학으로서 정립되기 위해 그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지역어’의 개념을 ‘지역민들의 일상 언...

      이 글은 광주 지역어 연구 성과 현황을 검토하고, 광주학이 지역학으로서 정립되기 위해 그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지역어’의 개념을 ‘지역민들의 일상 언어 전반에 걸친 개념이자 문화적 가치’로 넓게 설정하고, 이러한 넓은 개념의 지역어 연구의 장을 ‘지역어학’으로 지칭하였다. 이를 근간으로 이 글은 광주 지역어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방언, 지명, 한글 문헌 및 자료 등 연구 대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대별하였다.
      첫째, 방언 연구는 주로 음운적 특징을 집중적으로 논의되었음을 살폈다. 따라서 향후 광주 지역의 방언 연구는 문법 체계 및 어휘에 관한 연구를 병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둘째, 지명 연구는 학술적 접근보다 자료적 접근에 의한 성과가 양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지명 연구가 확장되기 위해서는 어휘적 측면을 바탕으로 인접 학문들과의 연계 가능성을 고려한 논의가 연계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한글 문헌?자료 연구는 광주판 ?천자문?에 관한 성과가 집중된 가운데 비교적 덜 알려진 한글 제문과 사회사 자료에 대한 해제 연구, 고지도에 나타난 무등산 차자 표기를 분석한 연구 성과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광주 한글 문헌ㆍ자료 목록이 정리되면, 해당 분야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Gwangju Dialects. This paper had extended definition of "Dialect" to "Local Language", and set up a field for Local Language called "a Linguistical Study of Local Language". Having focused on the pre-existing studies of Gwangju Dialect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his paper has explored that most dialect study is phonological analysis and there were no grammatical and lexical studies. Secondly, this paper has proposed that field should be expanded, scholars needed to consider connection between study of place names and related study. Thirdly, this paper has revealed study of old hangeul documents and materials,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Cheonjamun』published in Gwangju, studies about Borrowed Writings of Mt. Mudeung in Old Map, Hangeul funeral oration and introduction of Social History data. If a list of old hangeul documents and materials in Gwangju will be organized, many studies will become activa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Gwangju Dialects. This paper had extended definition of "Dialect" to "Local Language", and set up a field for Local Language called "a Linguistical Study of Local Language". Having focused on the pre-existing 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Gwangju Dialects. This paper had extended definition of "Dialect" to "Local Language", and set up a field for Local Language called "a Linguistical Study of Local Language". Having focused on the pre-existing studies of Gwangju Dialect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his paper has explored that most dialect study is phonological analysis and there were no grammatical and lexical studies. Secondly, this paper has proposed that field should be expanded, scholars needed to consider connection between study of place names and related study. Thirdly, this paper has revealed study of old hangeul documents and materials,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Cheonjamun』published in Gwangju, studies about Borrowed Writings of Mt. Mudeung in Old Map, Hangeul funeral oration and introduction of Social History data. If a list of old hangeul documents and materials in Gwangju will be organized, many studies will become activa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지역어의 개념과 지역어학 정립의 필요성
      • 3. 광주 지역어 연구의 자취와 현재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지역어의 개념과 지역어학 정립의 필요성
      • 3. 광주 지역어 연구의 자취와 현재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행선, "황룡강 유역의 마을 형성과 지명 유래 -광산구 관내-" 향토문화개발협의회 11 : 1991

      2 손희하, "호남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1900년 이후를 대상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213-267, 2014

      3 홍윤표, "한글 생활사 자료의 효용가치와 연구방법, 2014년도 제5회 전문가초청강연회 발표집"

      4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3(전남편(Ⅰ))" 한글학회 1982

      5 이승현, "한국어 방언의 문미억양 연구 : 대구 방언과 광주 방언의 문말 억양 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0

      6 최학근, "한국방언학" 태학사 1982

      7 지역학연구회, "지역학 연구의 과제와 방법" 책갈피 2000

      8 차윤정, "지역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 ― 1930년대 표준어 제정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5) : 387-412, 2009

      9 이태영, "지역어의 역사와 문화, 2014년도 제2회 전문가초청강연회 발표집"

      10 이태영, "지역어의 문화적 가치" 국립국어원 20 : 2010

      1 차행선, "황룡강 유역의 마을 형성과 지명 유래 -광산구 관내-" 향토문화개발협의회 11 : 1991

      2 손희하, "호남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1900년 이후를 대상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213-267, 2014

      3 홍윤표, "한글 생활사 자료의 효용가치와 연구방법, 2014년도 제5회 전문가초청강연회 발표집"

      4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3(전남편(Ⅰ))" 한글학회 1982

      5 이승현, "한국어 방언의 문미억양 연구 : 대구 방언과 광주 방언의 문말 억양 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0

      6 최학근, "한국방언학" 태학사 1982

      7 지역학연구회, "지역학 연구의 과제와 방법" 책갈피 2000

      8 차윤정, "지역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 ― 1930년대 표준어 제정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5) : 387-412, 2009

      9 이태영, "지역어의 역사와 문화, 2014년도 제2회 전문가초청강연회 발표집"

      10 이태영, "지역어의 문화적 가치" 국립국어원 20 : 2010

      11 조경순, "지역어의 가치와 접목에 대한 고찰, In 지역어와 한국어 연구" 전남대학교 BK21+ 지역어 기반 문화가치 창출 인재 양성 사업단 2014

      12 박경래, "지역어 조사·보존의 방법론" 국립국어원 20 : 2010

      13 김광철, "지역사 연구의 경향과 과제"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15 : 2005

      14 구모룡, "지역문학의 지평, 2014년도 제4회 전문가초청강연회 발표집"

      15 이종일, "지명, In 제12(양산)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광주민속박물관 2000

      16 이종일, "지명, In 신가동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광주민속박물관 1997

      17 손희하, "지리적 환경(지명), In 지역 발전에 관한 기초 연구" 광주직할시 북구 1992

      18 이진호, "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初聲 표기 양상"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3 : 1999

      19 이종일, "제11(용봉동)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광주광역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96

      20 최학근, "전라도방언 연구: 음운편 <모음>" 국어국문학회 70 : 1976

      21 김차균, "전남 방언의 성조" 한글학회 144 : 1969

      22 이종일, "일곡동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광주직할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93

      23 이상봉,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로컬리티 인문학’ 연구의 전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41-73, 2009

      24 강희숙, "언어의 변화와 보존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47 : 2001

      25 손희하, "서구 마을사"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2004

      26 손희하, "새김어휘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1

      27 기세관, "방언 호남 2" 우리마당터 2005

      28 김차균, "방언 호남 2" 우리마당터 2005

      29 이종일, "문흥동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광주직할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91

      30 조강봉, "문화금당 1" 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2001

      31 박선홍, "무등산: 그 유래·전설과 경관" 전남매일출판국 1976

      32 윤여정, "대한민국 행정지명 1 광주·전남편" 향지사 2009

      33 이종일, "광주첨단기지 문화유적지표조사" 광주직할시 1992

      34 조강봉, "광주지역 지명의 유래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2 : 2001

      35 김정호, "광주산책 (上)" 재단법인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2014

      36 김정호, "광주동연혁지" 향토문화진흥원 1991

      37 조강봉, "광주광역시 소촌동·산막동·고룡동·산정동 지명연구" 동강대학교 29 : 2007

      38 조강봉, "광주광역시 박호동 지역 지명연구" 한국지명학회 10 : 137-174, 2004

      39 조강봉, "광주광역시 등림동(외등)지역 지명연구" 동강대학교 28 : 2006

      40 조강봉, "광주광역시 등림동(내등) 지역 지명 연구" 한국지명학회 11 : 135-164, 2005

      41 조강봉, "광주·전라남도 지명 유래 자료"

      42 송하진, "광주 평동·풍암 지역의 지명, In 광주 평동·풍암 공단지역의 문화유적 지표조사" 광주직할시·전남대학교 박물관 1992

      43 조강봉, "광주 운수동·서봉동 지역 지명 연구" 동강대학교 27 : 2005

      44 조강봉, "광주 어등산 주변지역 지명 연구(1)" 우리말글학회 (32) : 147-168, 2004

      45 손희하, "고지도와 차자 표기-무등산 일대 표기를 중심으로-" 구결학회 (33) : 285-309, 2014

      46 조강봉, "강·하천의 합류와 분기처의 지명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47 이종일, "鄕土사랑 文化사랑 Ⅱ" 라이프 2007

      48 이종일, "鄕土사랑 文化사랑" 라이프기획 1999

      49 奇世官, "全南方言의 音韻論的 硏究"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1

      50 조강봉, "光州地域 地名의 由來 硏究(2)" 우리말글학회 24 : 41-64, 2002

      51 정승혜, "儒學 奇泰東이 죽은 누이를 위해 쓴 한글제문에 대하여" 국어사학회 (17) : 375-402, 2013

      52 최지훈,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 -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9 : 2001

      53 孫熙河, "『千字文』字釋硏究 : 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5

      54 최범훈, "‘千字文’의 字釋攷"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9·10 : 1975

      55 한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1세기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역사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1.24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