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융복합 디자인 교육 과정 연구 = The Convergence Design Curriculum for Universal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9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design, this study suggests a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to educate design students on social responsibility. In theoretical studie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methods are explained. In the case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versal design cases applied fashion design, interior design and media design together are explored.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a design is being applied in combination with fashion and interior design that are closely related to people in real life. For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of universal design, an education model that deepens the degree of convergence by stage was proposed along with the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a curriculum based on practical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exchange is devised. Curriculum 1 is a seminar-type project sharing stage that the majors unite to share a problem-solving mindset and independent design fields contemplate ways to solve problems in their respective majors. Curriculum 2 is a stage in which students from each major join together to create design outcomes that can be solved in each field through major convergence and share the results under a common topic, such as design considering senio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iculum 3 is an industry-university-linked project stage in which students derive problems for universal design by themselves and create innovative convergence design results that meet the common theme of the major convergence team through multi-dimensional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To contribute to creating a universal design environment when students enter society in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curriculum which enables future designers to experience step-by-step convergence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번역하기

      For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design, this study suggests a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to educate design students on social responsibility. In theoretical studie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design, this study suggests a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to educate design students on social responsibility. In theoretical studie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methods are explained. In the case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an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versal design cases applied fashion design, interior design and media design together are explored.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a design is being applied in combination with fashion and interior design that are closely related to people in real life. For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of universal design, an education model that deepens the degree of convergence by stage was proposed along with the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a curriculum based on practical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exchange is devised. Curriculum 1 is a seminar-type project sharing stage that the majors unite to share a problem-solving mindset and independent design fields contemplate ways to solve problems in their respective majors. Curriculum 2 is a stage in which students from each major join together to create design outcomes that can be solved in each field through major convergence and share the results under a common topic, such as design considering senio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iculum 3 is an industry-university-linked project stage in which students derive problems for universal design by themselves and create innovative convergence design results that meet the common theme of the major convergence team through multi-dimensional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To contribute to creating a universal design environment when students enter society in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curriculum which enables future designers to experience step-by-step convergence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학제간 교육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복합 정도를 심화하여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융복합 디자인 교육방법을 알아보고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과 융복합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들 사례에서 패션디자인과 실내디자인에 각각 미디어디자인이 함께 적용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현에 있어 정보기술의 발전이 실생활에서 사람들과 밀접한 패션과 실내디자인에 결합되어 응용되고 있는데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많은 서비스가 미디어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스마트패션과 스마트홈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융복합 교육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합 정도를 심화하고 실무적 교육과 학문간 교류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구상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알아야 하고 참고해야 할 개념들에 대해서는 사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 교류 시간을 늘린다. ‘교육과정 1’은 전공들이 연합하여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독립된 디자인 분야가 각자의 전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구상하는 정도로 세미나 형태의 프로젝트공유 단계이다. ‘교육과정 2’는 시니어, 장애인을 고려한 디자인 등 하나의 주제를 공유하고 각 학과의 학생들이 모여서 각 분야가 전공실기를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이다. ‘교육과정 3’은 학생들이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문제를 스스로 도출하고 여러 전공이 다차원적 협업을 하여 전공융합 팀의 팀 공통 주제에 부합하는 혁신적 융복합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는 산학연계 프로젝트 수업단계이다. 이러한 융복합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 학생, 동료 간의 의견 교류 시간과 기회를 확보하는것이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문제해결을 위해 단계적으로 심화되는 학제간 교육을 가능하게하여 향후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다양한 분야가 협업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구상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학제간 교육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복합 정도를 심화하여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학제간 교육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복합 정도를 심화하여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융복합 디자인 교육방법을 알아보고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과 융복합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들 사례에서 패션디자인과 실내디자인에 각각 미디어디자인이 함께 적용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현에 있어 정보기술의 발전이 실생활에서 사람들과 밀접한 패션과 실내디자인에 결합되어 응용되고 있는데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많은 서비스가 미디어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스마트패션과 스마트홈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융복합 교육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 순차적으로 융합 정도를 심화하고 실무적 교육과 학문간 교류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구상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알아야 하고 참고해야 할 개념들에 대해서는 사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 교류 시간을 늘린다. ‘교육과정 1’은 전공들이 연합하여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독립된 디자인 분야가 각자의 전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구상하는 정도로 세미나 형태의 프로젝트공유 단계이다. ‘교육과정 2’는 시니어, 장애인을 고려한 디자인 등 하나의 주제를 공유하고 각 학과의 학생들이 모여서 각 분야가 전공실기를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이다. ‘교육과정 3’은 학생들이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문제를 스스로 도출하고 여러 전공이 다차원적 협업을 하여 전공융합 팀의 팀 공통 주제에 부합하는 혁신적 융복합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는 산학연계 프로젝트 수업단계이다. 이러한 융복합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 학생, 동료 간의 의견 교류 시간과 기회를 확보하는것이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문제해결을 위해 단계적으로 심화되는 학제간 교육을 가능하게하여 향후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다양한 분야가 협업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구상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IO Korea, "호주에 문 여는스마트홈, 장애인 위한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 제공"

      2 매일일보, "한샘, 신사업 기반 ‘성장모멘텀’ 확보 나선다"

      3 권성하 ; 손희주,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학제간 교육의 단계적 연계 방안 -패션디자인과 실내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6 : 233-248, 2021

      4 에이블뉴스, "장애인의 주거 접근성 향상 위한 스마트홈"

      5 임진이, "장애인의 대학교육 환경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6 서울과학기술대학 산학협력단, "유니버설디자인 실태분석 및 문화적 적용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7 구글위키백과, "유니버설디자인"

      8 나카가와 사토시, "유니버설디자인" 디자인로커스 2004

      9 송은영 ; 임호선, "유니버설 스마트 패션 제품의 유형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1 (21): 75-92, 2021

      10 웰페어뉴스,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공공건물·시설에 의무 적용"

      1 CIO Korea, "호주에 문 여는스마트홈, 장애인 위한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 제공"

      2 매일일보, "한샘, 신사업 기반 ‘성장모멘텀’ 확보 나선다"

      3 권성하 ; 손희주,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학제간 교육의 단계적 연계 방안 -패션디자인과 실내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6 : 233-248, 2021

      4 에이블뉴스, "장애인의 주거 접근성 향상 위한 스마트홈"

      5 임진이, "장애인의 대학교육 환경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6 서울과학기술대학 산학협력단, "유니버설디자인 실태분석 및 문화적 적용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7 구글위키백과, "유니버설디자인"

      8 나카가와 사토시, "유니버설디자인" 디자인로커스 2004

      9 송은영 ; 임호선, "유니버설 스마트 패션 제품의 유형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1 (21): 75-92, 2021

      10 웰페어뉴스,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공공건물·시설에 의무 적용"

      11 이경희 ; 나은미, "배려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복식학회 62 (62): 78-86, 2012

      12 권윤경 ; 김식, "디자인과 IT의 융합교육 현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29-39, 2018

      13 김나현,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유니버설디자인인식 및 적용 조사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14 임강혁 ; 전양덕, "노인복지 사이트에 적용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김포지역 뉴 실버세대를 중심으로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3 (13): 141-152, 2010

      15 윤민희, "국내 대학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현황 및 제안" 한국조형교육학회 (57) : 123-147, 2016

      16 조동성, "교육으로 미래를 그리다" 아이웰콘텐츠 2010

      17 함승환 ; 구하라 ; 김선아 ; 김시정 ; 문종은 ; 박영석 ; 박주호 ; 안성호 ; 유병규 ; 이삼형 ; 이선경 ; 주미경 ; 차윤경 ; 황세영,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107-136, 2013

      18 CNET, "Welcome to the CNET Smart Home"

      19 BBC, "The dress that changes colour with your emotions"

      20 "Siren"

      21 "Owlet"

      22 Yinggao, "NEUTRALITÉ : CAN’T AND WON’T"

      23 "Lechal"

      24 연합뉴스, "LGU+, 양산부산대병원에U+스마트홈 구축"

      25 TechCrunch+, "Google & H&M’s Ivyrevel will make you a dress customized using your personal data"

      26 HA Factory, "Candy Group invests in virtual reality"

      27 손상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융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6) : 273-28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6-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시각디자인학회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4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