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당근의 세척에 사용되는 친환경 세척제의 초기 미생물 제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의 단독 및 병합 처리 조건을 설정하였으며 저장 중 당근 주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80409
2017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225-123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당근의 세척에 사용되는 친환경 세척제의 초기 미생물 제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의 단독 및 병합 처리 조건을 설정하였으며 저장 중 당근 주스...
본 연구에서는 당근의 세척에 사용되는 친환경 세척제의 초기 미생물 제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의 단독 및 병합 처리 조건을 설정하였으며 저장 중 당근 주스의 미생물 수 및 품질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친환경 세척제의 단독 처리 방법으로는 0.5, 1, 2% 탄산나트륨수와 0.2, 0.5, 1% 구연산수를 적용하였고, 살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무처리구, 수돗물 처리구, 5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구를 사용하였다. 당근의 세척을 위한 병합처리 방법으로는 단독 처리에서 우수한 살균 효과를 나타낸 1% 탄산수소나트륨수와 1% 구연산수를 이용하였고, 1% 탄산수소나트륨수 처리 후 1% 구연산수로 처리하는 단계적 병합 처리구가 가장 우수한 살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1% 탄산수소나트륨수와 1% 구연산수의 단계적 병합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일반 세균수 1.87 log CFU/mL, 대장균군 1.56 log CFU/mL를 감소시켰고, 50 ppm 차아염소산수에 비해서도 일반 세균수 1.07 log CFU/mL, 대장균군 0.22 log CFU/mL의 미생물 감균효과를 나타냈다. 1% 탄산수소나트륨수 처리 후 1% 구연산수의 단계적 병합 처리구를 4°C에서 7일 동안 저장한 결과 수돗물, 50 ppm 차아염소산수나 혼합 병합 처리구, 1% 구연산수 처리 후 1% 탄산수소나트륨 처리구에 비해 미생물 제어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났지만, pH, 당도, 산도, 색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1% 탄산수소나트륨과 1% 구연산의 단계적 병합 처리는 당근 세척 시 초기 미생물 제어와 품질 유지에 있어 효과적인 살균처리 방법으로 비가열 당근 주스의 유통기간 동안 미생물 안전기준에 부합하며 주스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세척방법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al inhibitory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quality of fresh carrot juice prepared with different environmentally-friendly washing method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Individual and combined treatm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al inhibitory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quality of fresh carrot juice prepared with different environmentally-friendly washing method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Individual and combined treatments with sodium bicarbonate (baking soda, NaHCO₃) and citric acid were applied to carrots for 10 min. Tap water and 50 ppm of sodium hypochlorite (NaOCl) were used as the control. Combined treatment of 1% NaHCO₃ and 1% citric acid significantly reduced total aerobic counts and coliforms. In addition, combined treatment of 1% NaHCO₃ and 1% citric acid inhibited microbial growth for 7 days at 4°C and 10°C in a shelf-life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nitizers in terms of °Brix, acidity, pH, and color. Changes in physicochemical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anitizer but were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shing with combined treatment of 1% NaHCO₃ and 1% citric acid is an effective method to inhibit the microbial population and maintain physicochemical quality. Therefore, combined treatment of 1% NaHCO₃ and 1% citric acid can be effectively used to sanitize and prepare carrot juice without affecting other propertie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희,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 배합치약의 항균 및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효과"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5 (35): 10-17, 2011
2 김영국, "전해수와 구연산을 이용한 양상치의 품질 향상 및 미생물 저감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1 (41): 578-586, 2009
3 박성순, "전해수 세척 및 저장 온도에 따른 절임배추의 품질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615-620, 2013
4 오덕환, "전해수 및 유기산처리에 의한 양상치에 오염된 Listeria moncytogenes의 생육저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530-537, 2004
5 박성순, "전기분해수 및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따른 배추의 미생물 제어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240-246, 2012
6 이승연, "저장기간과 온도에 따른 신선편이 방울토마토와 양상추의미생물 종류와 성장패턴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700-705, 2013
7 권상철,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4924-4931, 2011
8 장수경, "유기산 전처리에 따른 메밀 새싹의 저장중 품질변화" 한국식품과학회 42 (42): 190-197, 2010
9 이슬, "오미자 수확 후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표면 세척에 따른 미생물 저감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871-876, 2013
10 김지강, "신선편이 브로콜리의 품질과 미생물 성장에 영향을 주는 소성칼슘 용액 세척 및 열처리 효과"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1 (21): 411-418, 2012
1 김남희,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 배합치약의 항균 및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효과"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5 (35): 10-17, 2011
2 김영국, "전해수와 구연산을 이용한 양상치의 품질 향상 및 미생물 저감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1 (41): 578-586, 2009
3 박성순, "전해수 세척 및 저장 온도에 따른 절임배추의 품질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615-620, 2013
4 오덕환, "전해수 및 유기산처리에 의한 양상치에 오염된 Listeria moncytogenes의 생육저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530-537, 2004
5 박성순, "전기분해수 및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따른 배추의 미생물 제어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240-246, 2012
6 이승연, "저장기간과 온도에 따른 신선편이 방울토마토와 양상추의미생물 종류와 성장패턴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700-705, 2013
7 권상철,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4924-4931, 2011
8 장수경, "유기산 전처리에 따른 메밀 새싹의 저장중 품질변화" 한국식품과학회 42 (42): 190-197, 2010
9 이슬, "오미자 수확 후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표면 세척에 따른 미생물 저감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871-876, 2013
10 김지강, "신선편이 브로콜리의 품질과 미생물 성장에 영향을 주는 소성칼슘 용액 세척 및 열처리 효과"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1 (21): 411-418, 2012
11 이연정, "시판 한국 전통음료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대치와 만족도 비교(IPA)"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703-712, 2005
12 정해정, "시판 과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712-719, 2012
13 이현희, "다양한 처리방법에 따른 신선편이 양배추의 미생물 제어"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4 손시혜, "냉장 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95-503, 2011
15 Kraybill HF, "Water Chlorination, Vol 1" Ann Arbor Science 211-228, 1978
16 Mao L, "Sugar metabolism and involvement of enzymes in sugarcane(Saccharum officinarum L. )stems during storage" 98 : 338-342, 2006
17 Cutter CN, "Parameters affecting the efficacy of spray washe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 H7 and fecal contamination on beef" 60 : 614-618, 1997
18 Wiley RC, "Minimally processed refrigerated fruits and vegetables" Chapman & Hall, Inc. 1-14, 1994
19 Kubheka LC, "Microbiological survey of street-vended salad and gravy in Johannesburg city, South Africa" 12 : 127-131, 2001
20 Lee SY, "Microbial safety of pickled fruits and vegetables and hurdle technology" 4 : 21-32, 2004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460-461, 2017
22 MFDS, "Korea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03-105, 2015
23 Ding T, "Inhibitory effects of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and other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n oyster mushroom" 22 : 318-322, 2011
24 Akbas MY,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berg lettuce by dip wash treatments with organic acids" 44 : 619-624, 2007
25 Rahman SME, "Inactivation effect of newly developed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and other sanitizers against microorganisms on spinach" 21 : 1383-1387, 2010
26 Li P, "Impact of edible coatings on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lightly-processed carrots" 14 : 51-60, 1998
27 Torkamani AE, "Impact of PEF and thermal processing on apple juice shelf life" 3 : 152-155, 2011
28 Ramos B, "Fresh fruits and vegetables-An overview on applies methodologies to improve its quality and safety" 20 : 1-15, 2013
29 Harris LJ, "Efficacy and reproducibility of a produce wash in killing Salmonella on the surface of tomatoes assessed with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produce sanitizers" 64 (64): 1477-1482, 2001
30 Fong D, "Effectiveness of alternative antimicrobial agents for disinfection of hard surfaces"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Environmental Heal 1-19, 2011
31 Corral LG, "Antimicrobial activity of sodium bicarbonate" 53 : 981-982, 1988
32 Rutala WA, "Antimicrobial activity of home disinfectants and natural products against potential human pathogens" 21 : 33-38, 2000
꽃송이버섯 기부 발효물 첨가 사료가 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