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사항없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기 538년 백제 성왕 16년부터 서기 660년 의자왕 20년 멸망때 까지 123년 동안 백제의 王都였던 부여의 도시공간구조를 이때까지 밝혀진 유적을 바탕으로 유추하거나 해석해 내는 ...
본 연구는 서기 538년 백제 성왕 16년부터 서기 660년 의자왕 20년 멸망때 까지 123년 동안 백제의 王都였던 부여의 도시공간구조를 이때까지 밝혀진 유적을 바탕으로 유추하거나 해석해 내는 것을 기초로, 부소산성과 주변 왕릉, 백마강과 山野의 경관구성의 의미를 해석하여 재구성해 보므로서 현재 당면하고 있는 최소한의 도시기능 유지, 육성을 위한 도시계획기준을 작성하는 것을 기본 내용으로 하고 있다.
현재 부여를 중심으로 알려진 역사적 유구는 複合式扶蘇山城, 백제왕릉, 寺刹遺墟등으로 각각 고고학적 분야의 개별적인 과제로 인식되어 왔을 뿐, 작은 역사적 片鱗의 침소봉대를 극히 금기시하는 고고학적 시각으로 말미암아 종합적인 검토를 둘러 싼 해석논리는 물론 이해의 폭이 극히 제한되어 왔다. 또한 역사경관의 현대적 재구성에 대해서도 뚜렷한 논리나 원칙의 개진이 부진하여 막연한 보존논리가 확연한 개발논리와 법률적 권리개념앞에 무력하게 개발을 허용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역사적 유구의 현실적인 존재를 앞세우지 않더라도 과거 자연지형과 山城, 王宮등의 경관적 관계성에 관련한 논리와 유추만으로도 보존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리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늘날 서울의 남대문과 동대문 주변지역에 築城과 자연지형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도시개발 허용이 현대식 빌딩 앞에 문화적 유산의 초라한 대비를 자초하듯이 기초적인 경관구성 논리의 원칙 개진이 고도경관을 보존하는 데는 시급한 과제이다.
끝으로 남은 과제는 모호한 유적의 형상위에 현존하는 도시기능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하느냐의 논리개발의 문제이다. 문화재에 대한 접근과 감상의 기회제공은 역사문화 교육과 문화재 보존의 시대적 당위성을 강화하고 재투자의 재원을 조성 가능하게할 뿐만 아니라, 보존되어야할 문화적 유산의 성격과 의미를 강조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매장된 문화재의 발굴여지를 훼손하지 않는 경계밖에서의 접근도로와 토지이용, 최소한의 도시기반시설 등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도경관의 보존을 위한 도시계획기준은 단순히 건물형태와 같은 시각적 조화의 문제뿐만 아니라 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도로망의 구성과 용도지역의 배치기준, 도시기반시설의 입지와 개발밀도 등에 대한 도시개발기준의 제정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aims to research the methods of restoration and management for the historic walled townscape, Buyoo, the royal castle city of the Baekje dynasty. The city has a lot of ancient remains built in about 670s including inner royal palace, road ne...
The paper aims to research the methods of restoration and management for the historic walled townscape, Buyoo, the royal castle city of the Baekje dynasty. The city has a lot of ancient remains built in about 670s including inner royal palace, road networks, temples, forts, residential districts, and outer mountain walls for military defense. But lately the city has been confronted various development pressures caused by its growth and the increased consciousness for right of private property. In addition to them, the citizens have discontent for regional disparity gradually magnified by the long period regulation for the purpose of the old city conservation from 1960s. In spite of the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no alternative except to look on the ressure taking in the city planning. Not a few of the 1980s' archaeological digging results has been interpreted until recent for the spatial structures and the period of years of construction of the city. But also, the city renovation plans has been propelled by the local government. Thus, the paper searches the relevant ideas and methods of the advanced cases for the city renovation and its historic landscape conservation. Some ideas including relevant law and code, subsidy and compensation policies, city plans, and architectural techniques are suggested here.
국문 초록 (Abstract)
1.연구목적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내용 2.부여도성의 원형 비정(比定) 2.1 도성의 의의 2.2 부여 도성의 형성과정 2.3 부여 도성의 도성사적 의의 2.4 사비 ...
1.연구목적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내용
2.부여도성의 원형 비정(比定)
2.1 도성의 의의
2.2 부여 도성의 형성과정
2.3 부여 도성의 도성사적 의의
2.4 사비 도성의 공간구획
3. 고도 원형보존의 현실과 논의
3.1 고도 원형보존의 현실과 논의
3.2 고도의 원형(原形) 해석
3.3 고도 보전과 재생을 위한 제도적 논의
4. 고도 역사경관의 보존과 재생
4.1 고도 역사경관 보존 유형
4.2 고도 역사경관의 보존제도
4.3 고도 역사경관의 재생
5. 부여의 역사경관의 보존과 재생
5.1 부여의 도시개발 전망
5.2 부여 고도 옛모습 되살리기 계획
5.3 중국의 고도 보존계획 시사점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