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한국 사회의 신뢰를 대폭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 전략을 강구하여 이 책을 통해 소개한다. 연구의 전반적인 진행은 (1)신뢰의 역사적·사회적 기반 탐색과 (2)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9290
-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래 한국 사회의 신뢰를 대폭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 전략을 강구하여 이 책을 통해 소개한다. 연구의 전반적인 진행은 (1)신뢰의 역사적·사회적 기반 탐색과 (2)정...
미래 한국 사회의 신뢰를 대폭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 전략을 강구하여 이 책을 통해 소개한다. 연구의 전반적인 진행은 (1)신뢰의 역사적·사회적 기반 탐색과 (2)정치경제·사회·문화 부문에서의 구체적 신뢰구축 방안 탐색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지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2년간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은 6편의 논문으로 산출하였다. 제1장 "신뢰와 한국적 사회연결망 구조: 조선시대 양반의 연대, 연계, 연줄"(전상인)은 조선 시대 양반들을 집단적 존재로 파악하면서, 그들 간의 사회적 관계망을 사회자본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제2장 "신뢰와 정치적 선택: 한국 사회에서 공공성과 공론장의 정치를 위한 시론"(진덕규)은 한국 정치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시기가 도래하였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이러한 시기 속에서 표출되는 사회구성원들의 정치적 삶의 양식을 신뢰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있다. 제3장 "한국인의 정치제도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과 정치제도 신뢰증진전략 연구"(김지희)는 한국 사회에서 가장 큰 불신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정치·정부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정치 신뢰, 특히 정치제도 신?悶?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는 개인의 사회문화적 배경요인과 정치경제적 성과에 대한 평가요인을 상정한 인과모형을 계량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제4장 "언론 보도에 대한 불신·신뢰구조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유재천)는 한 사회의 신뢰와 불신구조는 사회구성원이나 집단 또는 제도에 대한 진술의 진실성과 연관되어 있다고 강조하면서, 사회구성원들에게 이와 같은 진술을 전파하는 언론 보도의 공정성 여부가 사회적 신뢰와 불신을 구조화하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제5장 "종교와 신뢰의 문제에 대한 고찰"(정진홍)은 ?英? 종교가 신뢰의 원천으로 간주되나, 오늘날에는 오히려 갈등과 불신의 원천이 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종교 간 갈등과 불신의 원인을 구조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그 표출 양태를 기술하면서 가능한 출구를 모색하고 있다. 제6장 "신뢰와 가족: '가족해체'의 재조명 작업을 중심으로"(황정미)는 가족에 관한 기존의 신뢰 연구는 기능주의적 가족관을 액면 그대로 전제함으로써 최근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족의 역동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고 비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