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의향 변화에 대한 다상태 생명표 분석 = Changes in Marriage Intention in Korea: Multi-state Life Tabl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0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2-8차 자료를 활용해서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변화를 다상태 생명표 기법을 활용해서 분석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결혼의향의 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과 달리 이 연구는 결혼의향의 생애과정을 통한 변화와 결혼의향 변화의 시기 및 집단 간 차이에 초점을 맞췄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결혼의향은 연령이 올라가면서 점차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부정적인 결혼의향의 유지율은 연령이 올라가면서 증가하는 반면 긍정적이거나 유보적인 결혼의향은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긍정적인 결혼의향을 가진 미혼여성의 초혼이행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결혼의향은 최근 들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초혼이행 하락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수준과 직업이 결혼의향 및 초혼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육수준에 따른 결혼의향과 초혼이행률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관리직/전문직 여성들의 결혼의향 및 초혼이행률은 다른 여성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닌 여성들의 결혼의향과 초혼이행률이 성평등주의적 태도를 지닌 여성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결혼의향의 생애과정을 통한 변화가 시기, 계층,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결론에서 이러한 차이의 함의를 논의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2-8차 자료를 활용해서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변화를 다상태 생명표 기법을 활용해서 분석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결혼의향의 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이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2-8차 자료를 활용해서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변화를 다상태 생명표 기법을 활용해서 분석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결혼의향의 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과 달리 이 연구는 결혼의향의 생애과정을 통한 변화와 결혼의향 변화의 시기 및 집단 간 차이에 초점을 맞췄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결혼의향은 연령이 올라가면서 점차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부정적인 결혼의향의 유지율은 연령이 올라가면서 증가하는 반면 긍정적이거나 유보적인 결혼의향은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긍정적인 결혼의향을 가진 미혼여성의 초혼이행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결혼의향은 최근 들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초혼이행 하락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수준과 직업이 결혼의향 및 초혼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육수준에 따른 결혼의향과 초혼이행률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관리직/전문직 여성들의 결혼의향 및 초혼이행률은 다른 여성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닌 여성들의 결혼의향과 초혼이행률이 성평등주의적 태도를 지닌 여성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결혼의향의 생애과정을 통한 변화가 시기, 계층,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결론에서 이러한 차이의 함의를 논의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호, "혼전임신 출산의 추세, 2001~2015: 성혼과정 변화에 대한 함의" 한국인구학회 40 (40): 107-129, 2017

      2 이철희,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혼인과 유배우 출산율 변화의 효과" 한국인구학회 35 (35): 119-146, 2012

      3 이철희, "한국의 출산장려정책은 실패했는가?: 2000년~2016년 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한국경제학회 66 (66): 5-42, 2018

      4 전명훈, "청년층의 결혼의향 및 결혼인식 관련 연구동향 : 국내 학술논문의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12 (12): 71-93, 2019

      5 김석호, "저출산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누가, 왜 결혼과 출산을 꿈꾸지 못하는가?" 한국조사연구학회 23 (23): 1-33, 2022

      6 김은지, "저출산 대응정책패러다임 전환 연구(Ⅱ): 저출산 대응 담론의 재구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14, 2020

      7 김혜영 ; 선보영,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3-35, 2011

      8 계봉오 ; 고원태 ; 김영미, "여성의 고학력화와 결혼시장 미스매치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990-2015" 한국조사연구학회 22 (22): 61-89, 2021

      9 주재선, "여성가족패널 이탈 분석과 표본추가 영향 분석" 375-396, 2018

      10 임선영 ; 박주희,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177-193, 2014

      1 이병호, "혼전임신 출산의 추세, 2001~2015: 성혼과정 변화에 대한 함의" 한국인구학회 40 (40): 107-129, 2017

      2 이철희,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혼인과 유배우 출산율 변화의 효과" 한국인구학회 35 (35): 119-146, 2012

      3 이철희, "한국의 출산장려정책은 실패했는가?: 2000년~2016년 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한국경제학회 66 (66): 5-42, 2018

      4 전명훈, "청년층의 결혼의향 및 결혼인식 관련 연구동향 : 국내 학술논문의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12 (12): 71-93, 2019

      5 김석호, "저출산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누가, 왜 결혼과 출산을 꿈꾸지 못하는가?" 한국조사연구학회 23 (23): 1-33, 2022

      6 김은지, "저출산 대응정책패러다임 전환 연구(Ⅱ): 저출산 대응 담론의 재구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14, 2020

      7 김혜영 ; 선보영,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3-35, 2011

      8 계봉오 ; 고원태 ; 김영미, "여성의 고학력화와 결혼시장 미스매치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990-2015" 한국조사연구학회 22 (22): 61-89, 2021

      9 주재선, "여성가족패널 이탈 분석과 표본추가 영향 분석" 375-396, 2018

      10 임선영 ; 박주희,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177-193, 2014

      11 문선희,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7 (17): 5-25, 2012

      12 진미정 ; 정혜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31-51, 2010

      13 김정석,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회 29 (29): 57-70, 2006

      14 윤자영, "노동시장통합과 결혼 이행" 한국인구학회 35 (35): 159-184, 2012

      15 우해봉,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결혼 연기 혹은 독신?" 한국인구학회 32 (32): 25-50, 2009

      16 은기수,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18 (18): 89-117, 1995

      17 박주희, "가족가치관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기대가 남녀 대학생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34 (34): 21-35, 2016

      18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50): 179-211, 1991

      19 Cherlin, A., "The Marriage-Go-Round : The State of Marriage and Family in America Today" Penguin Random House 2009

      20 Goldscheider, F., "The Gender Revolution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hanging Famaily and Demographic Behavior" 41 (41): 207-239, 2015

      21 Cherlin, A. J.,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American Marriage" 66 (66): 848-861, 2004

      22 Stein, P. J., "Sociology: Contemporary Readings" Peacock Publishers 1981

      23 Esping-Anderson, G., "Re-theorizing Family Demographics" 41 (41): 1-31, 2015

      24 Mills, M., "Negotiating the Life Course: Stability and Change in Life Pathways" Springer 9-33, 2013

      25 Muniz, J. O., "Multistate Life Tables Using Stata" 20 (20): 721-745, 2020

      26 Raymo, J. M., "Marriage Market Mismatches in Japan : An Alternative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Education and Marriage" 70 (70): 801-822, 2005

      27 Raymo, J. M., "Marriage Intentions, Desires, and Pathways to Later and Less Marriage in Japan" 44 : 67-, 2021

      28 Lesthaeghe, R., "Gender and Family Chang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Oxford: Clarendon Press 17-62, 1995

      29 McDonald, P.,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26 (26): 427-439, 2000

      30 Becker, G. S., "Economics of the Family: Marriage, Children, and Human Capita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9-344, 1974

      31 McLanahan, S., "Diverging Destinies : How Children Fare under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41 (41): 607-627, 2004

      32 Palloni, A., "Demography:Measuring and Modeling Population Processes" 256-272, 2001

      33 Oppenheimer, V. K., "A Theory of Marriage Timing" 94 : 563-591, 1988

      34 고선강 ; 어성연,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63-79, 2013

      35 김승권,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 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6 이재경 ; 김보화, "2,30대 비혼 여성의 결혼 전망과 의미: 학력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1 (31): 41-8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