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과 계약갱신거절권 - 대법원 2022. 12. 1. 선고 2021다266631 판결의 비판적 검토 - = The right of renewal and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A critical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21DA266631 delivered on December 1, 2022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On December 1, 2022,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livered an important decision on the question of the lessee’s right of renewal and the lessor’s right to refuse renewals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This is the first decision on this legal issue since the amendment of the Act that introduced the lessee’s right of renewal in the summer of 2020.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a new owner who purchased the house from the initial owner can, as the lessor, exercise the right to refuse the renewal of the lease (where the intention to actually reside in the house is met), despite the lessee’s exercise of the right to renewal under article 6-3 of the Act. Howeve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cannot avoid criticism for such a decision.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is a Gestaltungsrecht which is inherently intertwined with the contract itself. This means that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does not necessarily transfer to the new owner of the house, despite succeeding the former owner in the capacity as the lessor. Given that th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such a limitation of the succession of the lessor’s status before, and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2020 amendment of the Act that significantly empowered the overall position of lessees, the Supreme Court should have at least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limiting the transfer of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as a Gestaltungsrecht. This paper strives to give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with the objective of shedding light on the need to interpret the Act in a manner that is more consistent with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번역하기

      On December 1, 2022,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livered an important decision on the question of the lessee’s right of renewal and the lessor’s right to refuse renewals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This is the first decision on this l...

      On December 1, 2022,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livered an important decision on the question of the lessee’s right of renewal and the lessor’s right to refuse renewals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This is the first decision on this legal issue since the amendment of the Act that introduced the lessee’s right of renewal in the summer of 2020.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a new owner who purchased the house from the initial owner can, as the lessor, exercise the right to refuse the renewal of the lease (where the intention to actually reside in the house is met), despite the lessee’s exercise of the right to renewal under article 6-3 of the Act. Howeve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cannot avoid criticism for such a decision.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is a Gestaltungsrecht which is inherently intertwined with the contract itself. This means that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does not necessarily transfer to the new owner of the house, despite succeeding the former owner in the capacity as the lessor. Given that th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such a limitation of the succession of the lessor’s status before, and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2020 amendment of the Act that significantly empowered the overall position of lessees, the Supreme Court should have at least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limiting the transfer of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as a Gestaltungsrecht. This paper strives to give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with the objective of shedding light on the need to interpret the Act in a manner that is more consistent with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refuse renew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희, "형성권 연구" 경인문화사 2007

      2 김영희, "형성권 논의의 의미" 한국사법학회 11 (11): 1-37, 2004

      3 김영두,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갱신요구권과 임대인의 실거주" 한국집합건물법학회 40 : 93-129, 2021

      4 정구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주택의 양도와 임대인의 제3채무자로서의 지위의 승계 - 대법원 전원합의체 2013. 1. 17. 선고 2011다49523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법학연구원 (74) : 153-186, 2014

      5 이성진,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 상한제 - 계약갱신요구권의 보호 대상과 그 행사를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4 (24): 331-362, 2021

      6 최지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갱신거절사유 중 임대인등의 실거주에 관한 소고" 중앙법학회 24 (24): 51-78, 2022

      7 박준서, "주석민법 채권총직(3)" 한국사법행정학회 1999

      8 박태신, "임대주택 양도와 임대차계약 갱신요구권에 관한 검토" 한국사법학회 29 (29): 1-21, 2022

      9 노순범, "임대인의 주택 실거주를 사유로 한 갱신거절에 관한 법리형성 제안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제1항 제8호에 대한 문제 -" 연세법학회 (40) : 219-249, 2022

      10 황진구, "온주 주택임대차보호법,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로앤비 2021

      1 김영희, "형성권 연구" 경인문화사 2007

      2 김영희, "형성권 논의의 의미" 한국사법학회 11 (11): 1-37, 2004

      3 김영두,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갱신요구권과 임대인의 실거주" 한국집합건물법학회 40 : 93-129, 2021

      4 정구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주택의 양도와 임대인의 제3채무자로서의 지위의 승계 - 대법원 전원합의체 2013. 1. 17. 선고 2011다49523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법학연구원 (74) : 153-186, 2014

      5 이성진,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 상한제 - 계약갱신요구권의 보호 대상과 그 행사를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4 (24): 331-362, 2021

      6 최지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갱신거절사유 중 임대인등의 실거주에 관한 소고" 중앙법학회 24 (24): 51-78, 2022

      7 박준서, "주석민법 채권총직(3)" 한국사법행정학회 1999

      8 박태신, "임대주택 양도와 임대차계약 갱신요구권에 관한 검토" 한국사법학회 29 (29): 1-21, 2022

      9 노순범, "임대인의 주택 실거주를 사유로 한 갱신거절에 관한 법리형성 제안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제1항 제8호에 대한 문제 -" 연세법학회 (40) : 219-249, 2022

      10 황진구, "온주 주택임대차보호법,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로앤비 2021

      11 백경일, "알기 쉽게 풀어 쓴 채권총론" 도서출판 고려시대 2015

      12 이오현 ; 김대희, "새로운 임대인의 실거주를 이유로 한 갱신거절권 (수원지방법원 2022. 4. 22. 선고 2021나89299 항소심 판결)" 법학연구소 57 (57): 138-170, 2022

      13 임윤수 ; 이창기 ; 민선찬, "상가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과 묵시적 갱신의 관계 - 대법원 2010. 6. 10. 선고 2009다64307 판결 -" 한국법학회 (48) : 209-229, 2012

      14 이은희, "상가건물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 한국민사법학회 (26) : 113-142, 2004

      15 장병주, "상가건물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과 권리금회수 기회보호 - 계약갱신요구권 행사기간 연장에 따른 법적 이해관계 -" 한국민사법학회 88 : 207-241, 2019

      16 명순구, "민법학원론" 박영사 2015

      17 곽윤직, "민법총칙(제7판)" 박영사 2002

      18 곽윤직, "민법주해(XV)채권(8)" 박영사 1997

      19 김준호, "민법강의(제24판)" 법문사 2017

      20 김영희, "독일 민법학상 형성권(Gestaltungsrecht)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1 김용담, "계약인수의 요건" 박영사 4 : 1982

      22 이준현, "계약인수와 임차권의 양도" 한국법학원 (89) : 5-34, 2006

      23 이동진, "계약이전의 연구 - 상대방의 동의 요건의 기능과 위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3 (53): 669-719, 2012

      24 김세준, "개정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한 평가 - 계약갱신요구권과 주택임대차분쟁조정제도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8 (28): 149-181, 2021

      25 정성헌, "개정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갱신요구권에 대한 연구 - 새 임대인이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을 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급심 판결들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5 (25): 149-174, 2021

      26 추선희 ; 김제완, "개정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갱신요구권에 관한 몇 가지 쟁점" 법학연구소 25 (25): 111-157, 2020

      27 최현태,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갱신거절사유에 관한 일고찰" 한양법학회 33 (33): 75-102,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