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G광역시에서 실시한 체육·예술 교육기부 거점대학 사업에서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교육 기부 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0년도 9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 수업관찰, 수업 촬영 영상, 전문가 협의, 학생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과정은 시작이 어려운 봉사 활동과 체육지도자의 역할 탐색, 그리고 체육지도자로의 성장으로 의미를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의 정서적 경험은 교육현장의 실제와 간극으로 인해 분노나 좌절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등 예상치 못한 반응과 어려움을 겪었어나, 교육신념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면서 현장에 적용가능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히고 실효성 있는 교육을 이끌어 나갈수 있는 지혜와 안목을 형성함으로써 적응을 통한 공감을 이루었다.
      결론: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으로 대학과 유관기관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제도적 체계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G광역시에서 실시한 체육·예술 교육기부 거점대학 사업에서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

      목적: 본 연구는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G광역시에서 실시한 체육·예술 교육기부 거점대학 사업에서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교육 기부 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0년도 9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 수업관찰, 수업 촬영 영상, 전문가 협의, 학생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과정은 시작이 어려운 봉사 활동과 체육지도자의 역할 탐색, 그리고 체육지도자로의 성장으로 의미를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의 정서적 경험은 교육현장의 실제와 간극으로 인해 분노나 좌절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등 예상치 못한 반응과 어려움을 겪었어나, 교육신념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면서 현장에 적용가능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히고 실효성 있는 교육을 이끌어 나갈수 있는 지혜와 안목을 형성함으로써 적응을 통한 공감을 이루었다.
      결론: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으로 대학과 유관기관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제도적 체계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liminary sports coach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G-city as part of the pivotal project fund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We tried to find a way to activate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an effective way by conducting this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 class video-recording footage, expert consultation, and student evaluation for three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0.
      Results: First, the process of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by preliminary PE teachers was meaningful in terms of volunteer activities which are difficult to begin, exploration of the role of sports coaches, and growth into sports coaches. Second, the preliminary PE teachers suffered unexpected reactions and difficulties by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or frustration due to the gap between the actual and the educational field. However, by partially modifying the educational beliefs, it narrowed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applicable to the field and formed the wisdom and perspective that can lead to realistic education, thereby achieving sympathy through adaptation.
      Conclus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a clear and specific institutional system of universities and related institutions as a way to activate educational donation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liminary sports coach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G-city as part of the pivotal project fund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liminary sports coach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G-city as part of the pivotal project fund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We tried to find a way to activate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an effective way by conducting this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 class video-recording footage, expert consultation, and student evaluation for three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0.
      Results: First, the process of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by preliminary PE teachers was meaningful in terms of volunteer activities which are difficult to begin, exploration of the role of sports coaches, and growth into sports coaches. Second, the preliminary PE teachers suffered unexpected reactions and difficulties by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or frustration due to the gap between the actual and the educational field. However, by partially modifying the educational beliefs, it narrowed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applicable to the field and formed the wisdom and perspective that can lead to realistic education, thereby achieving sympathy through adaptation.
      Conclus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a clear and specific institutional system of universities and related institutions as a way to activate educational don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혜, "학습공동체운동의 통한 지역사회 활력화방안" 59-77, 2004

      2 김한별, "평생교육론" 학지사 2010

      3 권인탁, "평생교육 경영론" 학지사 2011

      4 양정모, "초등학교 체육수업컨설팅의 메커니즘과 교육적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8 (18): 95-118, 2011

      5 이현신, "체육전공 대학생의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학회 50 (50): 25-34, 2011

      6 주병하, "체육멘토링 봉사프로그램의 교육적 이슈와 딜레마: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1 (21): 117-137, 2014

      7 백종수, "체육교사의 정서경험 원인 표현 조절의 성차"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41-54, 2009

      8 정하진, "체육교사양성프로그램의 실기수업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Ⅱ" 아카데미프레스 2013

      10 송정애, "지역사회 재능기부 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12 (12): 271-288, 2012

      1 이지혜, "학습공동체운동의 통한 지역사회 활력화방안" 59-77, 2004

      2 김한별, "평생교육론" 학지사 2010

      3 권인탁, "평생교육 경영론" 학지사 2011

      4 양정모, "초등학교 체육수업컨설팅의 메커니즘과 교육적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8 (18): 95-118, 2011

      5 이현신, "체육전공 대학생의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학회 50 (50): 25-34, 2011

      6 주병하, "체육멘토링 봉사프로그램의 교육적 이슈와 딜레마: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1 (21): 117-137, 2014

      7 백종수, "체육교사의 정서경험 원인 표현 조절의 성차"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41-54, 2009

      8 정하진, "체육교사양성프로그램의 실기수업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Ⅱ" 아카데미프레스 2013

      10 송정애, "지역사회 재능기부 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12 (12): 271-288, 2012

      11 박상옥, "지역사회 실천조직으로서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과정 - 부천 생태안내자 모임 ‘청미래’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225-259, 2009

      12 조현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기부 활동 참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393-417, 2011

      13 신소미, "음악대학 교과목과 연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 구안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85-107, 2013

      14 구봉진, "예비초등교사의 체육활동 교육기부 참여 경험을 통한 교육적 신념과 교사역량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6 (26): 17-34, 2020

      15 임지선, "예비체육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양정모,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정서적 경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7-87, 2014

      17 김무영, "예비체육교사 교육봉사 활동 경험의 이해"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105-124, 2012

      18 이제성, "예비 체육교사의 체조 지식 형성과 지도 역량 강화 방안 모색: 체육교육과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교육학회 26 (26): 41-56, 2021

      19 김영옥, "실천학습공동체의 학습과정 연구: 재능기부 학습동아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89-213, 2015

      20 전영, "봉사활동 관련 교육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 교과 시간 내 봉사활동 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손승현, "봉사학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교육현장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529-553, 2011

      22 박창우, "대학의 재능기부동아리 활동과 지역아동센터의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아동보호"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55-77, 2014

      23 조용하,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이론적 고찰- 봉사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9 (9): 2002

      24 김상경, "기독교 여대생의 영어재능기부: 영어예배 보조교사로서의 봉사학습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3) : 181-210, 2012

      25 김한별, "구성원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 동아리의 운영 원리 - C시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42) : 73-96, 2012

      26 김옥현, "교육기부정책의 최일선 집행자들의 집행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7

      27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기부란?"

      28 김민희, "교육기부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53-660, 2018

      29 김주영, "교육 실습 시 초등 예비교사가 느끼는 체육 교과 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169-180, 2015

      30 김경선, "공학에서 봉사학습 프로그램 운영 전략 모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4-23, 2009

      31 김민환, "‘교육봉사활동’ 교과 운영 실태와 개선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29-252, 2014

      32 Collier, C., "Toward academically based community scholarship Ideals, realities and future needs" 49 (49): 380-393, 1997

      33 Swick, K., "The voices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ir service-learning" 120 (120): 461-470, 2000

      34 Miller, K. K., "The impact of a freshman year community-based service-learning experience on the achievement of standards articulated for teacher candidates" 17 (17): 111-122, 2007

      35 Verducci, S., "Service-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AACTE Publications 2001

      36 Anderson, J., "Service-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ERIC 1998

      37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2012

      38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Sage 2007

      39 Briody, J., "Infusing preservice teacher preparation with service learning" 26 : 149-155, 2005

      40 Gonsier-Gerdin, J., "Improving Service-learning Practice Research on Models to Enhance Impacts" Information Age Publishing 37-57, 2005

      41 Bringle, R. G., "Implementing servi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67 (67): 1996

      42 Kemmis, 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on teaching" Sage Publications 507-606, 2000

      43 Stringer, E. L. A. I. N. E., "Focus groups Qualitative research in health care" 6-29, 2004

      44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 Sage 2003

      45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Ltd 1998

      46 Mills, "Action resea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Prentice 2000

      47 교육부, "2018년도 교육부 사업설명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