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치적 아웃사이더들의 역습? = The Impact of the Rise of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equalit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589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 유권자들의 정치참여 불평등현상이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에서 실제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치참여의 불평등 정도가 시민 참여의 방법과 채널에 따라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정치적 참여의 방법을 통상적 정치참여(투표)와 비통상적 정치참여(정치적 소비주의, 진정서 서명, 정치적 기부)로 구분하여 젠더,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기인하는 참여의 불평등 현상이 실증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2009년 한국 사회종합조사를 사용하였다. 흥미롭게도, 경험적 분석결과 한국 유권자들의 참여 불평등은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과 기성세대 시민들이 전통적 정치참여 즉 투표율에 있어서 적극적이고 높은 정치참여율을 보이는 반면, 여성들과 연령이 낮은 유권자들은 남성과 연령이 높은 층의 시민들에 비해 통상적 정치참여 과정에서 주변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치적 소비주의, 정치적 기부, 진정서 사인, 인터넷 토론 등 비통상적 정치참여영역에서는 기존의 통상적 정치참여에서 나타났던 참여 불평등 현상이 매우 감소되었다. 즉, 여성들과 젊은 유권자들의 정치참여율이 통상적 정치참여 채널과 비교해 비통상적 채널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유권자들이 그렇지 않은 시민들에 비해 비전통적 정치참여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이 발견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사회 유권자들의 정치참여 불평등현상이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에서 실제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치참여의 불평등 정도가 시민 참여의 방법과 ...

      본 연구는 한국사회 유권자들의 정치참여 불평등현상이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에서 실제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치참여의 불평등 정도가 시민 참여의 방법과 채널에 따라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정치적 참여의 방법을 통상적 정치참여(투표)와 비통상적 정치참여(정치적 소비주의, 진정서 서명, 정치적 기부)로 구분하여 젠더,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기인하는 참여의 불평등 현상이 실증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2009년 한국 사회종합조사를 사용하였다. 흥미롭게도, 경험적 분석결과 한국 유권자들의 참여 불평등은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과 기성세대 시민들이 전통적 정치참여 즉 투표율에 있어서 적극적이고 높은 정치참여율을 보이는 반면, 여성들과 연령이 낮은 유권자들은 남성과 연령이 높은 층의 시민들에 비해 통상적 정치참여 과정에서 주변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치적 소비주의, 정치적 기부, 진정서 사인, 인터넷 토론 등 비통상적 정치참여영역에서는 기존의 통상적 정치참여에서 나타났던 참여 불평등 현상이 매우 감소되었다. 즉, 여성들과 젊은 유권자들의 정치참여율이 통상적 정치참여 채널과 비교해 비통상적 채널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유권자들이 그렇지 않은 시민들에 비해 비전통적 정치참여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이 발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expansion of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activism of Korean citizens (demonstrating, political consumerism, signing petitions) poses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disparity when it comes to gender, age,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analyze the equality of participation patterns using individual level data from the 2009 Korea ISSP survey.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reduces gender and age gap in political participation. Yet,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increases education gap in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rise of innovative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will positively influenc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women and young voters thereby incorporating the underrepresented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traditionally marginalized outsiders in politics.
      번역하기

      The rapid expansion of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activism of Korean citizens (demonstrating, political consumerism, signing petitions) poses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disparity when it comes to gender, age,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an...

      The rapid expansion of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activism of Korean citizens (demonstrating, political consumerism, signing petitions) poses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disparity when it comes to gender, age,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analyze the equality of participation patterns using individual level data from the 2009 Korea ISSP survey.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reduces gender and age gap in political participation. Yet,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increases education gap in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rise of innovative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will positively influenc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women and young voters thereby incorporating the underrepresented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traditionally marginalized outsiders in poli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I. 서론
      • II. 비통상적 정치참여: 형태, 비용, 그리고 양적 증가
      • III. 비통상적 정치참여와 참여의 불평등문제
      • IV. 연구모형
      • 논문요약
      • I. 서론
      • II. 비통상적 정치참여: 형태, 비용, 그리고 양적 증가
      • III. 비통상적 정치참여와 참여의 불평등문제
      • IV. 연구모형
      • V. 분석결과
      • V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어수영, "한국인의 정치참여의 변화와 지속성: 남성과 여성의 참여변화를 중심으로" 35 (35): 165-188, 2002

      2 박찬욱, "한국인 정치참여의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14 (14): 147-193, 2005

      3 송경재, "한국의 사회적 자본과 시민참여" 세종연구소 13 (13): 101-129, 2007

      4 지병근, "한국에서의 정치참여: 접촉 및 항의활동" 세종연구소 14 (14): 121-145, 2008

      5 박종민, "한국에서의 비선거적 정치참여" 28 (28): 164-182, 1994

      6 장수찬, "한국사회에 나타난 악순환의 사이클: 결사체 참여(civic engagement), 사회자본(social sapital), 그리고 정부신뢰(confidence in political institutions)" 한국정치학회 36 (36): 87-112, 2002

      7 최장집, "한국 참여민주주의의 위기"

      8 김욱,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한국과 일본의 정치문화변동비교" 5 (5): 89-123, 2006

      9 이승종, "지방정치에서의 참여 불평등: 현실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35 (35): 327-343, 2001

      10 문우진, "정치의식과 불평등 투표: 17대 및 18대 국회의원 선거 분석" 세종연구소 17 (17): 73-94, 2011

      1 어수영, "한국인의 정치참여의 변화와 지속성: 남성과 여성의 참여변화를 중심으로" 35 (35): 165-188, 2002

      2 박찬욱, "한국인 정치참여의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14 (14): 147-193, 2005

      3 송경재, "한국의 사회적 자본과 시민참여" 세종연구소 13 (13): 101-129, 2007

      4 지병근, "한국에서의 정치참여: 접촉 및 항의활동" 세종연구소 14 (14): 121-145, 2008

      5 박종민, "한국에서의 비선거적 정치참여" 28 (28): 164-182, 1994

      6 장수찬, "한국사회에 나타난 악순환의 사이클: 결사체 참여(civic engagement), 사회자본(social sapital), 그리고 정부신뢰(confidence in political institutions)" 한국정치학회 36 (36): 87-112, 2002

      7 최장집, "한국 참여민주주의의 위기"

      8 김욱,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한국과 일본의 정치문화변동비교" 5 (5): 89-123, 2006

      9 이승종, "지방정치에서의 참여 불평등: 현실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35 (35): 327-343, 2001

      10 문우진, "정치의식과 불평등 투표: 17대 및 18대 국회의원 선거 분석" 세종연구소 17 (17): 73-94, 2011

      11 김욱, "정치 참여와 탈물질주의" 집문당 2005

      12 김욱,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 대전과 목포지역 젊은이의 가치정향과 정치참여" 한국정치정보학회 9 (9): 179-202, 2006

      13 임현진, "모바일혁명, 민주화의 물꼬를 열다" 매경 2011

      14 김형준, "노무현 정부에서 참여정치의 신장과 한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57-91, 2004

      15 조기숙, "광장의 정치와 문화적 충돌: 2008촛불집회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정치학회 42 (42): 245-270, 2008

      16 장승진, "경선제도에 따른 유권자 선택의 변화: 2008년 미국 대선 경선의 함의" 한국정당학회 11 (11): 87-111, 2012

      17 이숙종, "개인의 사회자본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학회 44 (44): 287-313, 2010

      18 Lijphart, Arend., "Unequal Participation: Democracy’s Unresolved. Dilemma" 91 : 1-14, 1997

      19 Quintelier, Ellen, "The Effect of Compulsory Voting on Turnout Stratification Patterns: A Cross-national Analysis" 32 (32): 396-416, 2011

      20 McClurg, Scott D., "Social Network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in Explaining Political Participation" 56 (56): 449-464, 2003

      21 Boix, Carles, "Social Capital: Explaining its Origins and Effects on Government Performance" 28 (28): 686-693, 1998

      22 Hall, Peter. A., "Social Capital in Britain" 29 : 417-461, 1999

      23 Milbrath, L. W., "Political Participation: How and Why Do People Get Involved in Politics?"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976

      24 Barnes, Samuel, "Political Action" Sage 1979

      25 Verba, Sidney, "Participation and Political Equality: A seven nation compari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26 Putnam, Robert D.,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27 Tavits, Margit., "Making Democracy Work More? Exploring the Linkage betwee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Performance" 59 (59): 211-225, 2006

      28 Paxton, Pamela., "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nited State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 105 (105): 88-127, 1999

      29 Gilens, Martin, "Inequality and Democratic Responsiveness." 69 (69): 778-796, 2005

      30 Marien, Sofie, "Inequalities in noninstitutionalised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 multi-level analysis of 25 countries" 58 (58): 187-213, 2010

      31 Inglehart, Ronald, "Gender equality and democracy" 1 (1): 321-346, 2003

      32 Norris, Pippa, "Democratic Phoenix: Reinventing Political Activ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3 Norris, Pippa, "Critical Citizens: Global Support For Democratic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4 Dalton, Robert, "Citizenship norms and the expans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56 (56): 76-98, 2008

      35 Pattie, Charles, "Citizenship and civic engagement: attitudes and behavior in Britain" 51 : 443-468, 2003

      36 Putnam, Robert D., "Bowling Alone: Civic Disengagement in America" Simon and Schuster 2000

      37 Brady, Henry E., "A resource Mod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89 (89): 271-294,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9 1.8 2.699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