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easibility of an Asian Version of NATO from a Balance of Power and Balance of Threat Perspective = 세력균형과 위협균형의 관점에서 ‘아시아판 나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8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impact of an “Asian NATO” in the context of evolving international relations in Asia.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an Asian version of NATO, three objectives are pursued: (1) investigating the nature of NATO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Asia, (2) examining past failures of NAT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lance of power and balance of threat theories, and (3)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an Asian NATO considering political and military challenges. The paper explores the changes in the geopolitical landscape that have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an Asian NATO, particularly among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le the current balance of power and threat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bilateral and three-way alliances, the possibility of an Asian NATO remains challenging. However, if China's pursuit of regional hegemony results in overwhelming external threats, ASEAN countries may be compelled to join a collective security system. This paper highlights the complex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outh Korea, in particular, would face in such a scenario.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impact of an “Asian NATO” in the context of evolving international relations in Asia.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an Asian version of NATO, three objectives are pursued: (1) investigating the nat...

      This paper examines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impact of an “Asian NATO” in the context of evolving international relations in Asia.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an Asian version of NATO, three objectives are pursued: (1) investigating the nature of NATO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Asia, (2) examining past failures of NAT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lance of power and balance of threat theories, and (3)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an Asian NATO considering political and military challenges. The paper explores the changes in the geopolitical landscape that have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an Asian NATO, particularly among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le the current balance of power and threat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bilateral and three-way alliances, the possibility of an Asian NATO remains challenging. However, if China's pursuit of regional hegemony results in overwhelming external threats, ASEAN countries may be compelled to join a collective security system. This paper highlights the complex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outh Korea, in particular, would face in such a scenari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시아의 국제관계가 변화하는 맥락에서 “아시아 나토”의 실행 가능성과 잠재적 영향을 검토한다. 아시아 버전 나토의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목표를 추구한다: (1) 나토의 성격을 조사하고 아시아에서의 잠재적 적용을 검토한다, (2) 세력균형이론과 위협균형이론의 관점에서 나토의 과거 실패를 검토한다, (3) 정치와 군사적 도전을 고려한 아시아 나토의 실행 가능성을 평가한다. 이 연구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아시아 나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지정학적 변화를 탐구한다. 현재 미중 균형과 위협 사이의 균형은 양자 및 삼자 동맹을 설정하는 데 이르렀지만 아시아 나토의 가능성은 여전히 쉽지 않다. 그러나 중국이 지역 패권 추구로 인한 압도적인 외부 위협을 초래하면, 아세안 국가들은 집단 안보 체제에 가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특히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시아의 국제관계가 변화하는 맥락에서 “아시아 나토”의 실행 가능성과 잠재적 영향을 검토한다. 아시아 버전 나토의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목표를 추구한다: (1) 나...

      본 연구는 아시아의 국제관계가 변화하는 맥락에서 “아시아 나토”의 실행 가능성과 잠재적 영향을 검토한다. 아시아 버전 나토의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목표를 추구한다: (1) 나토의 성격을 조사하고 아시아에서의 잠재적 적용을 검토한다, (2) 세력균형이론과 위협균형이론의 관점에서 나토의 과거 실패를 검토한다, (3) 정치와 군사적 도전을 고려한 아시아 나토의 실행 가능성을 평가한다. 이 연구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아시아 나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지정학적 변화를 탐구한다. 현재 미중 균형과 위협 사이의 균형은 양자 및 삼자 동맹을 설정하는 데 이르렀지만 아시아 나토의 가능성은 여전히 쉽지 않다. 그러나 중국이 지역 패권 추구로 인한 압도적인 외부 위협을 초래하면, 아세안 국가들은 집단 안보 체제에 가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특히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Framework
      • III. Reasons Behind Failure of Past 'Asian NATO’
      • IV. The Security Situation in Asia and Feasibility of an 'Asian NATO’
      • V. Balance of Power/Threat and Feasibility of an ‘Asian NATO’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Framework
      • III. Reasons Behind Failure of Past 'Asian NATO’
      • IV. The Security Situation in Asia and Feasibility of an 'Asian NATO’
      • V. Balance of Power/Threat and Feasibility of an ‘Asian NATO’
      • VI.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