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tkinson, D., "현대문화지리학: 주요 개념의 비판적 이해" 논형 2005-, 2011
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오미일, "한국 개항장도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 - 인천의 집단기억과 장소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3) : 45-81, 2009
4 김응종,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장소>에 나타난 ‘기억’의 개념" 한국프랑스사학회 (24) : 113-128, 2011
5 윤지환,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형성된 위안부 기억의 경관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54 (54): 51-69, 2019
6 Bissell, D, "통근하는 삶" 앨피 2019
7 Tuan, Y. F., "토포필리아" 에코리브르 2011
8 한지은, "탈식민주의 도시 상하이에서 장소기억의 경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 (20): 43-61, 2008
9 신진숙, "탄광서사를 통해 본 산업 폐허와 기억의 정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74-91, 2018
10 심영섭, "집단적 기억과 기억 공간: 에쉐데와 엔쉐데 그리고 세월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177-199, 2018
1 Atkinson, D., "현대문화지리학: 주요 개념의 비판적 이해" 논형 2005-, 2011
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오미일, "한국 개항장도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 - 인천의 집단기억과 장소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3) : 45-81, 2009
4 김응종,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장소>에 나타난 ‘기억’의 개념" 한국프랑스사학회 (24) : 113-128, 2011
5 윤지환,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형성된 위안부 기억의 경관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54 (54): 51-69, 2019
6 Bissell, D, "통근하는 삶" 앨피 2019
7 Tuan, Y. F., "토포필리아" 에코리브르 2011
8 한지은, "탈식민주의 도시 상하이에서 장소기억의 경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 (20): 43-61, 2008
9 신진숙, "탄광서사를 통해 본 산업 폐허와 기억의 정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74-91, 2018
10 심영섭, "집단적 기억과 기억 공간: 에쉐데와 엔쉐데 그리고 세월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177-199, 2018
11 손호중, "집단기억을 통한 도시재생요인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제천시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823-836, 2017
12 백지혜, "지역소설에 재현된 집단기억의 장소 발굴: 일제강점기 대구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 54 (54): 391-409, 2020
13 김종은, "지역문화사 시각에서 본 인천 연구 프로야구단의 변천과정" 16 : 119-152, 2011
14 이소영, "지방중소도시의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유형에서 장소기억특성이 주민참여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소지향성 및 장소기반성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2019
15 정은혜, "지리학자의 공간읽기: 인간과 역사를 담은 도시와 건축" 푸른길 2018
16 중부일보, "좌초 위기 숭의운동장 도심재생사업 새 주인 찾는다"
17 서영엔지니어링, "제물포, 숭의운동장 도시재생사업 타당성 조사 및 개발 기본구상 최종보고서" 인천광역시 2006
18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관한 연구" 32 (32): 169-184, 1997
19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0 왕치현, "장소성 개념을 통한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현상학적 장소론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339-364, 2020
21 이진희, "장소마케팅" 대왕사 2003
22 권영재,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 연구: 서울시 미래유산을 중심으로" 19 (19): 219-224, 2017
23 김성환, "장소 철학I: 장소의 발견" 서광사 2020
24 Cresswell, T, "장소" 시그마프레스 2012
25 최병두,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소성의 상실과복원" 8 : 253-278, 2002
26 김재은, "인천야구 한 세기: 우리나라 야구의 출발지 인천:인천야구 100년은 한국야구 100년" 인천야구백년사 편집위원회 2005
27 기호일보, "인천야구 100년 자료 전시회 개최"
28 "인천시립박물관 홈페이지"
29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인천광역시사5(사회·문화)" 인천광역시 2002
30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198호(숭의운동장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 수립(변경) 및 실시계획(변경)인가 및 지형도면 고시"
31 "인천광역시 시청홈페이지"
32 "인천광역시 시의회 홈페이지"
33 조상운, "인천 지역균형발전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및 사업방식 연구" 인천연구원 2004
34 윤현위, "인천 숭의운동장 재생사업의 문제점과 개발방향의 모색"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77-86, 2009
35 서울역사박물관, "이찬 기증 우리 옛 지도"
36 한지은, "우리의 도시를 기억할 권리: 홍콩의 도시 문화유산 보전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1 (21): 45-61, 2018
37 김형주, "역사의 기억과 장소성을 통한 도시브랜딩 연구 - 개항장 인천감리서와 김구를 중심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291-316, 2020
38 이인재, "숭의운동장 정비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인천연구원 2004
39 이인재, "숭의공설운동장 및 주변지역 정비방안" 인천연구원 2003
40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
41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42 김은식, "삶의 여백 혹은 심장 야구" 한겨레출판사 2013
43 박달화, "뻬스볼 인천" 장원문화 2005
44 Auge, M, "비장소: 초근대성의 인류학 입문" 아카넷 2017
45 김진, "부동산 개발사업의 위험 회피를 위한 PFV(Project Finance Vehicle)의 역할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4 (14): 57-79, 2008
46 Jacobs, J,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2010
47 진종헌, "도시정체성 형성을 위한 ‘과거’의 선택적 복원 과정: 인천시의 ‘만국공원(현 자유공원)’ 복원론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40 (40): 241-255, 2006
48 이정은, "도시재생 지역의 문화향수, 체험, 문화기억, 행위 의도 간의 인과관계" 한국관광산업학회 46 (46): 305-331, 2021
49 한지은, "도시와 장소 기억: 근대역사경관의 노스탤지어를 이용한 상하이의 도심재생"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50 전종한, "도시 뒷골목의‘장소 기억’ -종로 피맛골의 사례-" 대한지리학회 44 (44): 779-796, 2009
51 "네이버 지도"
52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53 "기호일보 홈페이지"
54 Nora, P, "기억의 장소1: 공화국" 나남 2010
55 김병완, "근대역사경관의 보존과 집단기억 : 오타루시 산업유산경관을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5 (55): 29-43, 2020
56 한지은, "근대역사경관을 활용한 도심재생 -상하이 구 조계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6 (46): 626-647, 2011
57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58 조준호, "광복이전 인천공설운동장 변천과정" 한국체육사학회 15 (15): 17-38, 2010
59 Tuan, Y. F, "공간과 장소" 사이 2020
60 홍금수,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46-94, 2009
61 동아일보, "公設運動場"
62 仁川府, "仁川彙報, 30" 仁川府 1937
63 Skille, E, "The role of sports organizations for local and national community: the case of Sami sports organizations" 20 (20): 1-16, 2020
64 Lowenthal, D,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65 Edendor, T., "The Ghosts of Industrial Ruins:Ordering and Disordering Memory in Excessive Space" 23 (23): 829-849, 2005
66 Halbwachs, M., "The Collective Memory" Harper & Row 1980
67 Karp, D., "Sports and Urban life" 14 (14): 77-102, 1990
68 Heere, B, "Sports Teams and their Communities: Examin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Group Identities on Team Identity" 21 : 319-337, 2007
69 "LURIS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70 Le Goff, J., "History and Mem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
71 Tuan, Y. F., "Geography, phenomenology and the study of human nature" 25 : 181-191, 1971
72 Lowenthal, D., "Geography, experience and imagination:Towards a geographical epistemology" 51 (51): 241-260, 1961
73 Stiegler, B, "For aNew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Polity 2010
74 Halbwachs, M, "Das Gedächtnis und seine sozialen Bedingungen" Suhrkamp 1985
75 Jarvie, G., "Comunitarianism, sport and social capital:Neighbourly insights into Scottish sports" 38 (38): 139-153, 2003
76 Assmann, J., "CollectiveMemory and Cultural Identity" 65 : 125-133, 1995
77 Nora, P.,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émoire" 26 : 7-24, 1989
78 Adey, P., "Airports, Mobility and the Calculative Architecture of Affective Control" 39 (39): 438-451, 2008
79 인천광역시, "203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