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건너편 오클랜드에 위치한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의 1914년부터 1945년까지의 종교활동과 민족운동에 대해서 검토한 글이다. 먼저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의 설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30047
조규태 (한성대학교)
2014
Korean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 ; 대한인국민회 ; 재미한족연합위원회 ; 한인경위대(맹호군) ; 임정구 ; 대한여자애국단 ; 엡웟청년회 ; 한글학교 ; 장기형 ; 박용학 ; 김창수 ; 김태묵 ; 임두화 ; Oakland Methodist Church ; Daehaninkookminhoe(大韓人國民會) ; Daehanyojaaegookdan(大韓女子愛國團) ; Korean Defense Corps(韓人警衛隊 ; Maenghogoon ; 猛虎軍) ; Chungkoo Yim ; Jinmook Lee ; Kihyung Chang ; Yonghak Park ; Changsoo Kim ; Taemook Kim ; Doohwa Lim
KCI등재
학술저널
125-168(4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건너편 오클랜드에 위치한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의 1914년부터 1945년까지의 종교활동과 민족운동에 대해서 검토한 글이다. 먼저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의 설립...
이 논문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건너편 오클랜드에 위치한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의 1914년부터 1945년까지의 종교활동과 민족운동에 대해서 검토한 글이다. 먼저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의 설립에 대하여 알아보고, 다음으로 그 교회의 발전과 교역자 및 교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 및 그 교인들이 벌인 종교활동과 민족운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오클랜드교회는 1914년 6월 5월 가정교회에서 출발하였다. 즉, 1914년 샌프란시스코한인감리교회에서 활동하던 조성학이 오클랜드에 와서 문원칠과 협의한 후 새크라멘토 권역의 순행전도사인 황사용을 초빙하여 문원칠의 집을 교회로 정하고 예배를 본 데에서 오클랜드교회가 비롯되었던 것이다.
오클랜드교회는 U. C. 버클리에 다니던 임정구가 1915년 지방전도사로 부임한 이후 교세가 크게 신장되었다. 임정구는 교회를 자신의 집에 옮기고, 예배를 충실히 행하고, 부인전도회와 엡웟청년회, 주일학교와 한글학교를 운영하며, 1920년대 초 오클랜드에 와서 거주하던 한인들에게 포교활동을 벌였다. 그 결과 1930년대에 이르러서 오클랜드교회의 교인수는 30~40명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목사 외에 지방전도사와 전도사, 교인 대표 등이 선정되었고 교회의 체계도 갖추어졌다.
신앙의 공동체인 오클랜드교회는 매주 일요일 아침과 목요일 저녁에 예배를 보았다. 그리고 성탄절에는 성탄절 예배를 보고, 추수감사절과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 감사예배를 보았다. 오클랜드교회는 여성의 전도를 위해 부인전도회를, 청년들의 신앙심 고취와 교양 증대를 위해 엡웟청년회를, 어린 아이들의 신앙 활동과 교육을 위해 주일학교를 운영하였다.
혈연과 혼맥과 신앙으로 뭉친 오클랜드교회는 신앙의 공동체일 뿐만 아니라, 기쁨을 함께 하고 슬픔을 나누는 생활공동체였다. 오클랜드교회의 교인들은 매년 샌프란시스코의 교인들과 유원지에 소풍을 가서 즐거운 시간을 가졌고, 교인 중에서 학교를 졸업한 사람이 있으면 함께 모여 졸업을 축하해 주었다. 그리고 喪事가 있으면 장례에 참석하여 슬픔을 나누었다.
국권 상실기인 1914년부터 1945년까지의 기간 동안, 오클랜드교회는 민족운동의 거점이었다. 오클랜드교회는 3 ․ 1운동 기념식, 국치기념식, 순국선열기념식, 민족운동가 추도식 등의 행사를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다. 이 기념식에서 오클랜드교회의 목사와 교인들은 기도를 하고, 만세를 선창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연설을 하는 등 주도적인 활동을 하였다.
더욱이 오클랜드교회의 교인들은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및 북미대한인국민회의 간부로 활동하였고, 북미대한인국민회의 오클랜드지방회를 조직하고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 교회의 여성들은 1924년 대한여자애국단 오클랜드지부를 조직하고 독립운동의 방략을 논의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고, 독립의식을 고취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오클랜드교회의 교인들은 오클랜드 거주 한인 2세의 교육과 이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한글학교를 설립하고 운영하였다.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후, 오클랜드교회의 교인들은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의 한인들과 샌프란시스코 한인경위대를 조직하고 미국의 대일항전을 후방에서 지원하였다. 더 나아가 박용학목사와 김창수목사는 직접 미군으로 참전하여 대일항전을 전개하였고,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paper about religious activities and national movement of the Oakland Methodist Church. In this paper, first I tried to understand the origin of Oakland Methodist Church. Second I made an effort to 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
This thesis is a paper about religious activities and national movement of the Oakland Methodist Church. In this paper, first I tried to understand the origin of Oakland Methodist Church. Second I made an effort to 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hurch and to figure out its religious workers and general believers. Third I was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religious activities and national movement of the church and the members of it.
The Oakland Methodist Church came into the world at the 5th of June, 1914. Sunghak Cho and Wonchil Moon held the first service at a home church of Wonchil Moon. Then Sayong Hwang took care of the affairs of the church as the circuit preacher. In 1914, the believers of the church were 10 persons.
The members of the church had been increased to about 40 persons by effort of Pastor Chungkoo Yim, who studied at U. C. Berkeley, 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 and Pacific School of Religion. After expanding of congregation, the Oakland Methodist Church organized Epworth Young Men Association, Women Evangelic Meeting, Sunday School, and Hangul School. The church had evangelists, representatives of believers, and other religious workers.
From 1939 when Chungkoo Yim died, Jinmook Lee, Kihyung Chang, Yonghak Park, Changsoo Kim, Taemook Kim, and Doohwa Lim worked as a pastor to 1945. Oakland Methodist Church used an private building as a church for the first time in 1940.
The members of the church attended a Sunday worship and an Thursday worship. They gave thanks to God at Thanksgiving Day and a good day. On Christmas, they praised God. Besides they shared their sorrow and joy.
The Oakland Methodist Church was a conference hall for national movement. Various national ceremonies took places in the church. In these ceremonies, the members of the church discussed about the methods fo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they prayed for the Korean emancipation from Japanese rule.
The members of Oakland Methodist Church worked as the top executives of Nothern America Daehaninkookminhoe. And they founded the Oakland Branch of Nothern America Daehaninkookminhoe(大韓人國民會) and the Oakland Branch of Daehanyojaaegookdan(大韓女子愛國團). They collected monies through these and supported Korean independent movement organizations. After the outbreak of Pacific War, they organized San Frcisco Korean Defense Corps(Maenghogoon, 猛虎軍) with San Francisco and Oakland Koreans and supported American defense activities. And they entered American army and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for Korean liber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1922
2 "황사용가계도"
3 유동식, "한국신학의 광맥양주삼" 116 : 1968
4 정병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56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5 박용옥,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1여성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6 홍선표,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연구 : 1941-1945"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7 조규태, "재미한인 임정구의 종교 활동과 민족운동(1905-1939)" 대구사학회 114 : 69-118, 2014
8 오크랜드 연합감리교회, "오크랜드 연합감리교회약사" 1985
9 서정민, "양주삼의 생명과 자연 이해"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3) : 47-72, 2005
10 "신한민보"
1 1922
2 "황사용가계도"
3 유동식, "한국신학의 광맥양주삼" 116 : 1968
4 정병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56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5 박용옥,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1여성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6 홍선표,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연구 : 1941-1945"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7 조규태, "재미한인 임정구의 종교 활동과 민족운동(1905-1939)" 대구사학회 114 : 69-118, 2014
8 오크랜드 연합감리교회, "오크랜드 연합감리교회약사" 1985
9 서정민, "양주삼의 생명과 자연 이해"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3) : 47-72, 2005
10 "신한민보"
11 성백걸, "샌프란시스코의 한인과 교회" 상항한국인연합감리교회 100년사 편찬위원회 2003
12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미주국민회자료집 11권, 14권, 17권"
13 김창범, "미주 한인이민 100년사" 코람데오 2004
14 김원용, "독립운동사자료집 8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59
15 "국민보"
16 "공립신보"
17 박종연, "在美韓人 黃思溶의 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2) : 157-184, 2012
18 "SFTS, Chung Koo Yim 기록카드"
19 William Acton, "Recommendation Letter of Chung Koo Yim, Sep. 23rd, 1918"
20 H. B. Johnson, "New Korean Mission" 1905
21 Duk Hee Lee Murabayashi, "Korean Passengers at Honolulu" 2004
22 Yim Chung Koo, "Application for Admission to Pacific School of Religion" 1927
23 정병준, "1940년대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노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2 : 110-146, 2004
사회주의국가 체제전환기 김일성의 경제 인식과 정책 -1985~1994년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1.61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