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식장산, 보문산, 계족산, 금수봉, 구봉산의 식물상은 2002년 4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조사됐다. 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조사지역별로 GPS(지리정보시스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386772
대전 :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학위논문(석사) -- 대전대학교 대학원 , 생물학과 식물학전공 , 2004. 2
2004
한국어
481.5 판사항(4)
대전
24p. : 삽도 ; 27cm .
참고문헌: p. 23-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전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식장산, 보문산, 계족산, 금수봉, 구봉산의 식물상은 2002년 4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조사됐다. 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조사지역별로 GPS(지리정보시스템)...
대전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식장산, 보문산, 계족산, 금수봉, 구봉산의 식물상은 2002년 4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조사됐다. 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조사지역별로 GPS(지리정보시스템)를 이용한 정밀분포 조사를 실시했으며 채집된 표본은 대전대학교 생물학과 표본실(TUT)에 석엽표본으로 제작보관했다.
조사지역의 소산관속식물은 105과 333속 538종 1아종 83변종 10품종 631분류군으로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종류(이, 1996)의 15.5%에 해당한다. 조사지역내 특산식물은 12과 14속 15종 2변종 17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결과에 비해 소산관속식물군이 적은 이유는 경관이나 식용을 위해 인위적으로 식재한 식물군을 조사대상에서 제외시켰기 때문이다.
인구 150만명이 거주하는 대도시내에 위치하고 있는데다 고도가 높지 않고 휴양시설, 공원시설 등 각종 개발행위가 지속되고 있는 점에 비춰본다면 식물의 종다양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등산객들의 출입이 빈번하고 동물원, 시민공원, 삼림욕장, 임도개설 등 각종 개발행위가 이루어지면서 자연환경의 도시화 정도를 나타내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인 귀화식물의 밀집도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지역에서 채집한 식물 중 귀화식물은 16과 27속 34종 2변종 36분류군으로 국내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177종(박,1995)의 20.3%나 된다.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전체 귀화식물중 20.3%인 36종류의 귀화식물이 조사지역 전역에서 우점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돼 대전지역 산림생태계의 도시화지수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963년이후 국내에 유입된 제3기 귀화식물인 노랑까마중, 별꽃아재비, 붉은서나물, 미국가막살이 등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전시 5개산은 식물분포구계학상 북대식물계의 중일구계(Sino-Japanese region)에 속하는 전형적인 온대중부 식생지역인 것으로 확인됐다.
본 조사지역에서 조사된 식물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Ⅴ등급군 식물은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Ⅲ, Ⅳ등급 식물은 8과, 8속, 6종, 2변종 등 총 8분류군으로 소산식물 631종류의 약 1.3%에 불과해 식생구조는 평이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surrounded by Sikjangsan (623.6m), Bomunsan (457.6m), Gyejoksan (423.6m), Geumsubong (531.5m) and Gubongsan (264.1m). Five major mountains showed the typical vegetation patterns of the middle area of temperate region of K...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surrounded by Sikjangsan (623.6m), Bomunsan (457.6m), Gyejoksan (423.6m), Geumsubong (531.5m) and Gubongsan (264.1m).
Five major mountains showed the typical vegetation patterns of the middle area of temperate region of Korea represented by the secondary forests of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 serrata. There were few detailed report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5 major mountains in Daejeon area until now. Therefore, we tried to discuss on the distribution of especialized plants by phytogeography, endemic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The results of plant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from April in 2002 to October in 2003 a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consist of total 631 taxa; 10 forms, 83 varieties, 1 subspecies, 538 species, 333 genera, 105 families. In these area, the Korean endemic plants are 17 taxa (2.7% among the total 631 taxa); 2 varieties, 15 species, 15 genera, 13 families. And the especialized plants by phytogeography are 8 taxa including Corydalis decumbens, Adoxa moschatellina. Also, the naturalized plants are 36 taxa (5.7% among the total 631 taxa and 20.3% among the total naturalized plants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