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산림은 조림과 산림보호정책의 결과로 임목축적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익적 가치도 매우높게 평가받게 되었다. 최근 벌기령이 도래함에 따라 간벌과 수확벌채 등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39556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3-187(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산림은 조림과 산림보호정책의 결과로 임목축적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익적 가치도 매우높게 평가받게 되었다. 최근 벌기령이 도래함에 따라 간벌과 수확벌채 등의...
우리나라의 산림은 조림과 산림보호정책의 결과로 임목축적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익적 가치도 매우높게 평가받게 되었다. 최근 벌기령이 도래함에 따라 간벌과 수확벌채 등의 시업을 비롯한 산림경영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림경영활동의 장기적인 영향을 과학적으로 비교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는가리왕산 모델숲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산림경관모형 LANDIS-II를 활용하여 주요 16개 수종에 대한 식생자료와 환경특성 모수, 4가지 산림경영활동을 반영하여 수행한 모의를 통해 추정한 수종별 지상부생물량 변화를 바탕으로 산림경영활동이 식생의 천이와 목재생산량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형에 적용된 산림경영활동은 벌채강도와 벌채주기, 벌채기간에 따라 택벌림(Selection), 산벌림(Shelterwood), 이단림(Two-stories)과 비시업(no-mgt)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를시나리오로 모형에 적용하여 산림경영활동에 따른 200년간의 지상부생물량의 변화를 통해 산림경관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가리왕산 모델숲의 총 지상부생물량은 간벌과 수확벌채 시업 직후 크게 감소하였으나, 시나리오에 따라 수확벌채 시업 후 15년에서 50년이 지나며 시업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200년 후에는 산림경영활동이 전혀 없는 시나리오보다더 많은 지상부생물량을 지닐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내음성이 양수와 중성수로 분류된 수종의 지상부생물량은 수확벌채 시업 직후 크게 감소하였지만 신규개체의 발아와 정착으로 지상부생물량이 일부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음수인 수종은 초기 수확벌채 시업에서 임령이 낮아 시업 대상으로 선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생장하여 모의 100년 이후에는 주요우점수종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나리오의 최종 누적 목재생산량은 택벌림 산림경영활동 시나리오에서 545.6 ton/ha, 산벌림 산림경영활동 시나리오에서 141.6 ton/ha, 이단림 산림경영활동 시나리오에서 299.9 ton/ha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목재생산량의 수종구성은 벌채강도와 벌채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택벌림과 이단림의 산림경영활동 시나리오에서 수확벌채 시업 초기 목재생산량은 양수와 중성수 비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수의 비율이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산림경영활동은 산림생태계의 수종별 지상부생물량과 수확벌채 시업에 의한 목재생산량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관모형 LANDIS-Ⅱ를 활용한 시공간적 분석의 가능성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림생태계 관리 목표에 부합하는 산림경영활동 선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진 ; 신만용 ; 성주한 ; 양희문,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작업방법별 시업전후 임분구조 변화" 한국산림과학회 101 (101): 297-304, 2012
2 최현권 ; 신만용 ; 박병배 ; 성주한,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경쟁지수 비교"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515-521, 2013
3 박영석 ; 박영규 ; 양희문, "산림 벌채가 산림의 수관 및 지표 절지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생태학회 49 (49): 271-278, 2016
4 조원희 ; 임원택 ; 김은숙 ; 임종환 ; 고동욱, "국가산림자원조사와 장기생태연구 자료를 활용한 산림경관모형의 모수화 및 적용성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22 (22): 215-231, 2020
5 성주한 ; 신만용 ; 이영근 ; 박고은, "가리왕산 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 평가"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613-621, 2014
6 변준기 ; 장정원 ; 양종철 ; 이유미 ; 정수영 ; 지성진 ; 장진 ; 이혜정 ; 황희숙 ; 오승환, "가리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566-588, 2013
7 Dorbe, M., "Water quality and forest restoration in the Lake Tahoe basin : impacts of future management options" 27 (27): 447-457, 2022
8 Bu, R., "Using the LANDIS model to evaluate forest harvesting and planting strategies under possible warming climates in Northeastern China" 254 (254): 407-419, 2008
9 Taylor, A. R., "Tree community structural development in young boreal forests : a comparison of fire and harvesting disturbance" 310 : 19-26, 2013
10 McDowell, N. G., "Trade‐offs of forest management scenarios on forest carbon exchange and 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habitat" 12 (12): e03779-, 2021
1 김용진 ; 신만용 ; 성주한 ; 양희문,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작업방법별 시업전후 임분구조 변화" 한국산림과학회 101 (101): 297-304, 2012
2 최현권 ; 신만용 ; 박병배 ; 성주한,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경쟁지수 비교"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515-521, 2013
3 박영석 ; 박영규 ; 양희문, "산림 벌채가 산림의 수관 및 지표 절지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생태학회 49 (49): 271-278, 2016
4 조원희 ; 임원택 ; 김은숙 ; 임종환 ; 고동욱, "국가산림자원조사와 장기생태연구 자료를 활용한 산림경관모형의 모수화 및 적용성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22 (22): 215-231, 2020
5 성주한 ; 신만용 ; 이영근 ; 박고은, "가리왕산 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 평가"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613-621, 2014
6 변준기 ; 장정원 ; 양종철 ; 이유미 ; 정수영 ; 지성진 ; 장진 ; 이혜정 ; 황희숙 ; 오승환, "가리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566-588, 2013
7 Dorbe, M., "Water quality and forest restoration in the Lake Tahoe basin : impacts of future management options" 27 (27): 447-457, 2022
8 Bu, R., "Using the LANDIS model to evaluate forest harvesting and planting strategies under possible warming climates in Northeastern China" 254 (254): 407-419, 2008
9 Taylor, A. R., "Tree community structural development in young boreal forests : a comparison of fire and harvesting disturbance" 310 : 19-26, 2013
10 McDowell, N. G., "Trade‐offs of forest management scenarios on forest carbon exchange and 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habitat" 12 (12): e03779-, 2021
11 Bruijn, A. D., "Toward more robust projections of forest landscape dynamics under novel environmental conditions : embedding PnET within LANDIS-II" 287 : 44-57, 2014
12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The standard carbon absorption of major tree species in forest (ver. 1.2)"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23, 2019
1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The prediction of wood production in South Korea"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136, 2010
14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The past and future research of forest ecology in Mt.Gariwa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24, 2018
15 Wang, G., "The influence of gap creation on the regeneration of Pinus tabuliformis planted forest and its role in the near-natural cultivation strategy for planted forest management" 262 (262): 413-423, 2011
16 He, H. S., "The effects of seed dispersal on the simulation of long-term forest landscape change" 2 (2): 308-319, 1999
17 Fernandez-Vega, J., "Tamm review : large-scale infrequent disturbances and their role in regenerating shade-intolerant tree species in Mesoamerican rainforests :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395 : 48-68, 2017
18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2020
19 Barros, A.M., "Spatiotemporal dynamics of simulated wildfire, forest management, and forest succession in central Oregon, USA" 22 (22): 2017
20 Gustafson, E. J., "Spatial simulation of forest succession and timber harvesting using LANDIS" 30 (30): 32-43, 2000
21 Haga, C., "Simulation of natural capital and ecosystem services in a watershed in Northern Japan focusing on the future underuse of nature : by linking forest landscape model and social scenarios" 14 (14): 89-106, 2018
22 Fraser, J. S., "Simulating stand-level harvest prescriptions across landscapes : LANDIS PRO harvest module design" 43 (43): 972-978, 2013
23 Dent, D. H., "Secondary forests of central Panama increase in similarity to old-growth forest over time in shade tolerance but not species composition" 24 (24): 530-542, 2013
24 Zhang, T., "Restoring temperate secondary forests by promoting sprout regeneration : effects of gap size and within-gap position on the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stump sprouts with contrasting shade tolerance" 429 : 267-277, 2018
25 Lee, K. S., "Primary succession on talus area at Mt. Kariwangsan, Korea" 17 (17): 120-130, 1994
26 Aber, J. D., "Predictio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yield and forest production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5 (5): 207-222, 1995
27 Gustafson, E. J., "Predicting global change effects on forest biomass and composition in south-central Siberia" 20 (20): 700-715, 2010
28 Xi, W., "PnET-for-LANDIS-II User guide v1.0. Yamamoto, S.I. 2000. Forest gap dynamics and tree regeneration" 5 (5): 223-229, 2000
2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ilot research on how to achieve circular economy for forest resources with a focus on forest manage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73, 2019
30 Mina, M., "Network analysis can guide resilience‐based management in forest landscapes under global change" 31 (31): e2221-, 2021
31 Cho, W., "Modeling of forest landscape response to climate change: a case study of Mt. Gyebangsan" Kookmin University 2018
32 Poznanovic, S. K., "Maintaining mid-tolerant tree species with uneven-aged forest management : 9-year results from a novel groupselection experiment" 86 (86): 555-567, 2013
33 Baker, W. L., "Longterm response of disturbance landscapes to human intervention and global change" 10 (10): 143-159, 1995
34 Blumstein, M., "Land-use impacts on the quantity and configuration of ecosystem service provisioning in Massachusetts, USA" 52 (52): 1009-1019, 2015
35 Ward, J. S., "Influence of crown class and shade tolerance on individual tree development during deciduous forest succession in Connecticut, USA" 60 (60): 207-236, 1993
36 McCarthy, J., "Gap dynamics of forest trees : a review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boreal forests" 9 (9): 1-59, 2001
37 Maxwell, C., "Forest management under uncertainty : the influence of management versus climate change and wildfire in the lake Tahoe Basin, USA" 27 (27): 15-, 2022
38 Creutzburg, M. K., "Forest management scenarios in a changing climate : trade-offs between carbon, timber, and old forest" 27 (27): 503-518, 2017
39 MacLean, M. G., "Forest carbon trajectories : consequences of alternative land-use scenarios in New England" 69 : 102310-, 2021
40 Kline, J. D., "Evaluating carbon storage, timber harvest, and habitat possibilities for a Western Cascades(USA)forest landscape" 26 (26): 2044-2059, 2016
4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Development of digital climate map of Korean forest and prediction of forest climat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133, 2013
4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Development Plan for Community Based Forest Management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26, 2014
43 Scheller, R. M., "Desig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IS-II, a spatial landscape simulation model with flexibl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201 (201): 409-419, 2007
44 Dietze, M. C., "Changing the gap dynamics paradigm : vegetative regeneration control on forest response to disturbance" 78 (78): 331-347, 2008
45 Korea Forest Service, "Basic forest policies" Korea Forest Service 2018
46 Haq, S. M., "Anthropogenic disturbances alter community structure in the forests of Kashmir Himalaya" 60 (60): 6-15, 2019
47 Feng, G., "Anthropogenic disturbance shapes phylogenetic and functional tree community structure in a subtropical forest" 313 : 188-198, 2014
4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 study on long-term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Year 2 of 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35, 2013
49 Scheller, R. M., "A forest growth and biomass module for a landscape simulation model, LANDIS : design, validation, and application" 180 (180): 211-229, 2004
50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50 carbon neutral stratey of the Republic of Korea towards a sustainable and green societ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20
정주지의 메타세쿼이아와 양버즘나무의 탄소 배출 계수 및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
소나무속 6수종 묘목의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포지 저항성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