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김정은 시대 김일성․김정일 동상을 도상학적 접근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김정은 시대 들어 지도자 동상의 신규 제작과 교체가 이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김정은 시대 5년(2012~20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73955
한승대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8
Korean
김정은 시대 ; 북한 동상 ; 김일성 ; 김정일 ; 도상학 ; Reign of Kim Jong-un ; Bronze Statue of North Korea ; Kim Il-sung ; Kim Jong-il ; Iconology
001
KCI등재
학술저널
315-349(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김정은 시대 김일성․김정일 동상을 도상학적 접근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김정은 시대 들어 지도자 동상의 신규 제작과 교체가 이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김정은 시대 5년(2012~201...
이 글에서는 김정은 시대 김일성․김정일 동상을 도상학적 접근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김정은 시대 들어 지도자 동상의 신규 제작과 교체가 이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김정은 시대 5년(2012~2016년)간 북한의 동상 건립 보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차적 의미(외형 분석)와 이차적 의미(주제 분석)를 중심으로 동상에 관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북한 동상은 기본적으로 지도자의 위엄과 존엄을 나타내는 동시에 지도자와 북한체제를 동일시하려는 의도가 있다. 김정은 시대에는 생전 그대로의 모습을 동상에 표현해 지도자의 영생과 이미지 구축에 집중하였다. 궁극적으로 북한 당국은 지도자 동상을 통해 권력의 정통성과 유지, 국가의 희망적인 전망 등을 담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bronze statue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in the reign of Kim Jong-un by an iconological approach. Entering the reign of Kim Jong-un, the leaders’ statues have continuously been produced and replaced. This study anal...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bronze statue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in the reign of Kim Jong-un by an iconological approach. Entering the reign of Kim Jong-un, the leaders’ statues have continuously been produced and replaced.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onstruction of bronze statues in North Korea for the five years of the reign of Kim Jong-un (2012-2016). Concrete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ues, focusing on their primary meanings (Analysis of the appearance) and their secondary meanings (Analysis of the theme). North Korean bronze statues basically represent the leaders’ dignity and majesty and intend to identify them with the North Korean regime. The reign of Kim Jong-un concentrated on building up the leaders’ eternal lives and images, expressing what they had been like during their lifetimes in the bronze statues. Ultimatel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ould maintain the legitimacy of power and have a hopeful prospect of the state through the leaders’ statue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로동당출판사, "혁명일화집 : 인간태양 김일성" 조선로동당출판사 2002
2 최재영, "평양 만수대언덕을 가다④/ 만수대 동상과 대기념비" 통일뉴스
3 이준삼, "평양 만수대 김정일동상, 코트 벗고 점퍼 차림 ‘변신’" 연합뉴스
4 본사정치보도반, "태양조선의 끝없는 긍지와 영광 천추만대에 길이 빛나리:위대한 김일성동지와 김정일동지의 동상 만수대언덕에 건립"
5 조선중앙통신, "주체의 선군태양을 천만년 받들어갈 열화같은 충정의 분출: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대원수님의 동상을 조선인민군 제10215군부대에 높이 모시였다"
6 본사정치보도반,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정일동지께서 김일성군사종합 대학과 미림비행장에 건립된 위대한 수령님의 동상과 사적비, 새로 건설된 4.25려관을 돌아보시였다"
7 문영호, "조선말대사전 2" 사회과학출판사 2007
8 문영호, "조선말대사전 1" 사회과학출판사 2006
9 평양지국, "전국 각지에 모셔진 동상과 태양상: 수령영생위업의 새 장 펼쳐져"
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국문출판사, "위인 김정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국문출판사 2012
1 조선로동당출판사, "혁명일화집 : 인간태양 김일성" 조선로동당출판사 2002
2 최재영, "평양 만수대언덕을 가다④/ 만수대 동상과 대기념비" 통일뉴스
3 이준삼, "평양 만수대 김정일동상, 코트 벗고 점퍼 차림 ‘변신’" 연합뉴스
4 본사정치보도반, "태양조선의 끝없는 긍지와 영광 천추만대에 길이 빛나리:위대한 김일성동지와 김정일동지의 동상 만수대언덕에 건립"
5 조선중앙통신, "주체의 선군태양을 천만년 받들어갈 열화같은 충정의 분출: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대원수님의 동상을 조선인민군 제10215군부대에 높이 모시였다"
6 본사정치보도반,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정일동지께서 김일성군사종합 대학과 미림비행장에 건립된 위대한 수령님의 동상과 사적비, 새로 건설된 4.25려관을 돌아보시였다"
7 문영호, "조선말대사전 2" 사회과학출판사 2007
8 문영호, "조선말대사전 1" 사회과학출판사 2006
9 평양지국, "전국 각지에 모셔진 동상과 태양상: 수령영생위업의 새 장 펼쳐져"
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국문출판사, "위인 김정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국문출판사 2012
11 조선중앙통신,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와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동상:만수대창작사에 건립"
12 본사정치보도반,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를 모시고 남포갑문 준공식이 성대히 진행되였다"
13 조선중앙통신, "위대한 수령 김일성대원수님의 동상 건립: 김일성군사종합대학에서 제막식 진행"
14 조선중앙통신,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동상을 유서깊은 혁명의 성지 삼지연군에 정중히 모시였다"
15 박계리, "위대한 김일성동지와 김정일동지의 동상에 새해를 맞으며 꽃바구니 진정"
16 본사정치보도반, "위대한 김일성대원수님과 김정일대원수님의 동상을 김일성군사종합대학에 높이 모시였다"
17 "위대한 김일성대원수님과 김정일대원수님의 동상에 설명절을 맞으며 꽃바구니 진정"
18 정영철, "영광의 일터에서 일하는 긍지와 보람을 안고: 서해갑문사업소 일군들과 로동계급"
19 편집부, "수령영생위업실현을 위하여" 평양출판사 2004
20 노형석, "색깔옷 입고 활짝 웃는 독재자…이것은 ‘풍자’가 아니다" 한겨레
21 김일권, "사연깊은 야전솜옷"
22 윤황, "북한의 보훈제도에서 나타난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보훈학회 1 (1): 2003
23 정교진,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특성 비교 연구: 지도자 우상화의 ‘신화적 사고’ 접근 유·무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인문학연구원 68 : 297-335, 2016
24 진희관, "북한에서 '선군'의 등장과 선군사상이 갖는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375-403, 2008
25 이우영,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 : 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2
26 조은희,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7 최재훈, "박정희 前대통령 동상, 김일성과 닮았다?" 조선일보
28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태양’이 된 부자(父子), 권위 벗고 친근함 입다" 통일한국
29 미하엘 립만,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출판사 1997
30 에리빈 파노프스키,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출판사 1997
31 오대형, "당의 령도밑에 창작건립된 대기념비들의 사상예술성" 조선미술출판사 1989
32 김정일, "김정일선집 8" 조선로동당출판사 2011
33 김정일, "김정일선집 20"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34 김정일, "김정일선집 1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35 김정일, "김정일선집 12"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36 김진원, "김정은 시대 핵의 정치적 상징화" 한국세계지역학회 35 (35): 105-130, 2017
37 김진환, "김정은 시대 지배이데올로기의 특징과 전망: ‘김일성주의’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북한연구학회 17 (17): 29-56, 2013
38 박일민, "김일성상계관도서 ≪인민들속에서≫를 펼치며 (1): 인민은 영원히 목메여 부르리라, 아! 우리 어버이"
39 이승현, "김일성ㆍ김정일의 상징정치: 구호와 상징조형물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8 (28): 77-108, 2012
40 정병호, "극장국가 북한의 상징과 의례" 평화문제연구소 22 (22): 1-42, 2010
41 권헌익, "극장국가 북한 :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 창비 2013
42 최우석, "국방부 문서: 김정은 왜 할아버지 김일성 동상은 방치했나 “할아버지 김일성에 대한 애정 전혀 없어 보여”" 월간조선
43 "https://4travel.jp/travelogue/10267106"
44 윤일건, "[김정일 사망] 영정 이번엔 신속 공개" 한국경제
45 Peter Kabachnik, "What about the Monument?: Public Opinion and Contentious Politics in Stalin’s Homeland" 2018
46 Dijana Matanovic, "The image construction of Kim Jong Un" 2016
47 Dan Schill, "The Visual Image and the Political Image: A Review of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Political Communication" 12 (12): 2012
48 Alexi Gugushvili, "Stalin is dead, long live Stalin? Testing socialization, structural, ideological, nationalist, and gender hypotheses" 31 : 2015
49 Wendy L. Bowcher, "Representing Chairman Mao:A Social-Semiotic Analysis of Two Statues on a Red Tour" 13 (13): 2014
50 Kirk Savage, "Kneeling Slaves: Race, War and Monument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51 Peter Kabachnik, "A Personality Cult’s Rise and Fall: Three Cities after Khrushchev’s “Secret Speech” and the Stalin Monument that Never Was" 4 (4): 2015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기억으로
냉전기 미소음악교류로 본 남북문화교류 모델 제안: 1958년 차이코프스키 음악대회의 시사점
적폐 청산의 시대, 화해와 소통을 위한 사회 운동의 방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