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 국가의 합법성, 폭력성, 정당성: 막스 베버 정치사회학 내의 긴장과 동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2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al sociology, the state has been considered to possess duality of coercion and consensus, democratic and repressive institutions, welfare and exploitation functions, and particular interest of dominating class and universal interest for the public. What previous studies on modern state did not give attention, however, was the question in what way those dual aspects relate to each other and such relation determines the internal contradiction and tensions of the political moderni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and aims to reinterpret Max Weber’s theories of the modern politics and state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s. Among many aspects of Weber’s sociology of domin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legality’ and ‘violence’ of the modern state, which Weber emphasized as the two central features of the modern state.

      On the one side, Weber was convinced that the legale Herrschaft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domination in the modern era, a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e Herrschaft or charismatische Herrschaft. In the modern state, so Weber, both the ruling groups and the ordinary people tend to follow the impersonal rules -such as laws and institutions- that have universal validity within a political community.

      But on the other side, for Weber, another central feature of the modern state was the tendency toward the monopoly of legitimate violence by the state (Gewaltmonopol). It is true that the politische Verband or politische Gemeinschaft, which are the basic concepts of Weber’s political sociology, were characterized by the violence and coercion within a given territory. But Weber was on the opinion that particularly in the modern states the chance of a legitimate violence became monopolized on the hand of the state, while every other form of non-state violence tended to vanish.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is the contradictions, tensions, and dynamics of modern politics which stem from the conting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modern state: legality and violence. On the one hand, even though the legal rule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modern politics, it remains true that the violence monopolized by the state cannot be totally regulated and controlled by the legal rules.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state tends to concentrate all forms of violence into its institutional organs, the state violence cannot be freed from the legitimacy claims in the democratic constitutionalist order which have been universalized in modern politics, at least as a normative reference point.

      Because Weber developed systematic theories about the rational-legal rule and the monopoly of violence respectively, Weber receptions in the contemporary sociology tended to be diverted into the positions that regard the monopoly of violence as the core argument of Weber’s theory of modern state, on the one side, and, on the other, those who interpreted that Weber found the quintessence of modern politics in the rational-legal rule.

      A one-sided overemphasis of one of the dual aspects does not do justice to the complexity, variability, and historical dynamics of the modern politics. In respect to ‘legitimacy claims and validity foundation’, the modern state is always under the pressure to depend exclusively upon the legal rule. But from the viewpoint of ‘means of rule’, the modern state monopolizes all forms of violence, with which it may repress the political organization and expansion of such legitimacy claims from civil society. It is without doubt that Weber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who theorized the two faces of the modern state. But he did not pay sufficient attention to the antinomies of modernity that have their roots in the tension between the two.
      번역하기

      In modern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al sociology, the state has been considered to possess duality of coercion and consensus, democratic and repressive institutions, welfare and exploitation functions, and particular interest of dominating class an...

      In modern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al sociology, the state has been considered to possess duality of coercion and consensus, democratic and repressive institutions, welfare and exploitation functions, and particular interest of dominating class and universal interest for the public. What previous studies on modern state did not give attention, however, was the question in what way those dual aspects relate to each other and such relation determines the internal contradiction and tensions of the political moderni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and aims to reinterpret Max Weber’s theories of the modern politics and state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s. Among many aspects of Weber’s sociology of domin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legality’ and ‘violence’ of the modern state, which Weber emphasized as the two central features of the modern state.

      On the one side, Weber was convinced that the legale Herrschaft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domination in the modern era, a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e Herrschaft or charismatische Herrschaft. In the modern state, so Weber, both the ruling groups and the ordinary people tend to follow the impersonal rules -such as laws and institutions- that have universal validity within a political community.

      But on the other side, for Weber, another central feature of the modern state was the tendency toward the monopoly of legitimate violence by the state (Gewaltmonopol). It is true that the politische Verband or politische Gemeinschaft, which are the basic concepts of Weber’s political sociology, were characterized by the violence and coercion within a given territory. But Weber was on the opinion that particularly in the modern states the chance of a legitimate violence became monopolized on the hand of the state, while every other form of non-state violence tended to vanish.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is the contradictions, tensions, and dynamics of modern politics which stem from the conting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modern state: legality and violence. On the one hand, even though the legal rule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modern politics, it remains true that the violence monopolized by the state cannot be totally regulated and controlled by the legal rules.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state tends to concentrate all forms of violence into its institutional organs, the state violence cannot be freed from the legitimacy claims in the democratic constitutionalist order which have been universalized in modern politics, at least as a normative reference point.

      Because Weber developed systematic theories about the rational-legal rule and the monopoly of violence respectively, Weber receptions in the contemporary sociology tended to be diverted into the positions that regard the monopoly of violence as the core argument of Weber’s theory of modern state, on the one side, and, on the other, those who interpreted that Weber found the quintessence of modern politics in the rational-legal rule.

      A one-sided overemphasis of one of the dual aspects does not do justice to the complexity, variability, and historical dynamics of the modern politics. In respect to ‘legitimacy claims and validity foundation’, the modern state is always under the pressure to depend exclusively upon the legal rule. But from the viewpoint of ‘means of rule’, the modern state monopolizes all forms of violence, with which it may repress the political organization and expansion of such legitimacy claims from civil society. It is without doubt that Weber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who theorized the two faces of the modern state. But he did not pay sufficient attention to the antinomies of modernity that have their roots in the tension between the tw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정치학과 정치사회학에서 국가는 강제와 동의, 민주제도와 폭력기구, 복지국가와 착취수단, 지배계급의 특수이익과 공적 보편이익 등의 이중성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들이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것은 그러한 이중적 측면이 현대국가에서 서로 어떤 관계에 놓여있으며, 그 관계가 ‘정치적 모더니티의 내적 모순과 긴장’을 어떤 식으로 규정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이 연구는 위의 질문에서 출발하여 막스 베버의 현대국가론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버 현대국가론의 여러 측면들 가운데 이 연구가 특별히 주목하는 것은 ‘합법성’과 ‘폭력성’이라는, 베버가 동시에 강조했던 현대국가의 두 특성이다. 베버는 한편으로 합법적 지배(legale Herrschaft)가 전통적 지배나 카리스마적 지배와 구분되는 현대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봤다. 즉 현대국가에서는 지배하는 집단이나 복종하는 집단, 혹은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관리자 집단(Verwaltungsstab)이 모두 정치공동체 내에서 보편적 타당성을 발휘하는 법과 제도 등 비인격적 규칙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베버는 다른 한편으로 현대국가의 또 하나의 특성으로서 폭력독점(Gewaltmonopol)을 들고 있다. 베버 정치사회학의 기초 개념인 정치공동체(politische Gemeinschaft)는 기본적으로 영토 내의 폭력독점을 핵심 특징으로 정의되지만, 특히 현대국가에 와서 영토 내의 모든 비국가적 폭력수단이 소멸하고 국가의 수중에 ‘정당한 폭력행사’의 권한이 집중되었다고 봤다.

      이 연구가 초점에 둔 것은 베버가 주목한 위의 두 측면 ‘사이에서’ 생겨나는 현대 정치의 모순과 긴장, 역동성이다. 즉 한편으로는 아무리 합법적 지배가 현대정치의 특성이라 할지라도 국가에 의해 독점된 폭력이 합법적 지배에 의해 완전히 규제되고 통제될 수 없다는 사실이 존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아무리 현대정치에서 국가가 폭력수단을 자신의 수중으로 독점시키는 경향이 있다 할지라도, 국가폭력은 현대 정치에서 보편화된 민주적 법치국가의 합법성 요구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없다. 베버는 이 두 측면을 ‘각각’ 현대국가의 폭력독점과 합리적 지배에 관한 이론으로 체계화시켰기기 때문에, 한편으론 국가의 폭력성과 현대국가의 폭력독점이 베버 정치사회학의 핵심 주장인 것처럼 이해하는 경향과, 다른 한편으론 베버가 현대정치의 핵심을 합리적-합법적 지배유형에서 찾았다는 해석의 경향으로 베버 해석이 분화되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그러나 위의 이중성 중 어느 한쪽만을 강조하거나, 양자를 단지 병립시키는 것은 현대국가의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현대국가는 ‘정당성’의 측면에서 합법적 지배의 요구를 받지만, ‘지배수단’이라는 측면에서는 그러한 정당성 요구의 정치적 조직화를 억압할 수 있는 폭력수단을 독점적으로 갖고 있기 때문이다. 베버는 위의 두 측면을 현대정치와 현대국가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으로 부각시켜 이를 이론화한 대표적 학자지만, 그는 양자 간의 긴장이 현대국가에 어떤 이율배반과 역동성을 초래하는지를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한편으로 현대국가가 합법적 지배의 정당성 기초에 놓이게 된 역사적 근거, 다른 한편으로는 현대국가가 폭력수단을 독점하게 된 역사적 근거로서 베버가 제시하고 있는 바를 추적하여, 베
      번역하기

      현대 정치학과 정치사회학에서 국가는 강제와 동의, 민주제도와 폭력기구, 복지국가와 착취수단, 지배계급의 특수이익과 공적 보편이익 등의 이중성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

      현대 정치학과 정치사회학에서 국가는 강제와 동의, 민주제도와 폭력기구, 복지국가와 착취수단, 지배계급의 특수이익과 공적 보편이익 등의 이중성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들이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것은 그러한 이중적 측면이 현대국가에서 서로 어떤 관계에 놓여있으며, 그 관계가 ‘정치적 모더니티의 내적 모순과 긴장’을 어떤 식으로 규정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이 연구는 위의 질문에서 출발하여 막스 베버의 현대국가론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버 현대국가론의 여러 측면들 가운데 이 연구가 특별히 주목하는 것은 ‘합법성’과 ‘폭력성’이라는, 베버가 동시에 강조했던 현대국가의 두 특성이다. 베버는 한편으로 합법적 지배(legale Herrschaft)가 전통적 지배나 카리스마적 지배와 구분되는 현대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봤다. 즉 현대국가에서는 지배하는 집단이나 복종하는 집단, 혹은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관리자 집단(Verwaltungsstab)이 모두 정치공동체 내에서 보편적 타당성을 발휘하는 법과 제도 등 비인격적 규칙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베버는 다른 한편으로 현대국가의 또 하나의 특성으로서 폭력독점(Gewaltmonopol)을 들고 있다. 베버 정치사회학의 기초 개념인 정치공동체(politische Gemeinschaft)는 기본적으로 영토 내의 폭력독점을 핵심 특징으로 정의되지만, 특히 현대국가에 와서 영토 내의 모든 비국가적 폭력수단이 소멸하고 국가의 수중에 ‘정당한 폭력행사’의 권한이 집중되었다고 봤다.

      이 연구가 초점에 둔 것은 베버가 주목한 위의 두 측면 ‘사이에서’ 생겨나는 현대 정치의 모순과 긴장, 역동성이다. 즉 한편으로는 아무리 합법적 지배가 현대정치의 특성이라 할지라도 국가에 의해 독점된 폭력이 합법적 지배에 의해 완전히 규제되고 통제될 수 없다는 사실이 존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아무리 현대정치에서 국가가 폭력수단을 자신의 수중으로 독점시키는 경향이 있다 할지라도, 국가폭력은 현대 정치에서 보편화된 민주적 법치국가의 합법성 요구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없다. 베버는 이 두 측면을 ‘각각’ 현대국가의 폭력독점과 합리적 지배에 관한 이론으로 체계화시켰기기 때문에, 한편으론 국가의 폭력성과 현대국가의 폭력독점이 베버 정치사회학의 핵심 주장인 것처럼 이해하는 경향과, 다른 한편으론 베버가 현대정치의 핵심을 합리적-합법적 지배유형에서 찾았다는 해석의 경향으로 베버 해석이 분화되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그러나 위의 이중성 중 어느 한쪽만을 강조하거나, 양자를 단지 병립시키는 것은 현대국가의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현대국가는 ‘정당성’의 측면에서 합법적 지배의 요구를 받지만, ‘지배수단’이라는 측면에서는 그러한 정당성 요구의 정치적 조직화를 억압할 수 있는 폭력수단을 독점적으로 갖고 있기 때문이다. 베버는 위의 두 측면을 현대정치와 현대국가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으로 부각시켜 이를 이론화한 대표적 학자지만, 그는 양자 간의 긴장이 현대국가에 어떤 이율배반과 역동성을 초래하는지를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한편으로 현대국가가 합법적 지배의 정당성 기초에 놓이게 된 역사적 근거, 다른 한편으로는 현대국가가 폭력수단을 독점하게 된 역사적 근거로서 베버가 제시하고 있는 바를 추적하여, 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