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댄싱 9의 팬덤(Fandom) 현상 연구 = A Study on Fandom of Dance Survival Audition Program Dancing 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83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analysis about Fandom of Dance Survival TV Audition Reality Show Program ``Dancing 9``. Study method was analysis through ``Fandom of Cultural Economics`` of John Fiske. Consequently, First, Fandom of ``Dancing 9`` were distinguished between supported dancer and not supported dancer. Second, They makes textual productivity through designed to nickname and character of supported dancer. The pleasure of audience``s writing facilitates fandom through variable interaction between challengers and audiences. Third, They construct fan identity and work on collectively by SMS vote and program admission. This is spontaneous economic behaviou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study was analysis about Fandom of Dance Survival TV Audition Reality Show Program ``Dancing 9``. Study method was analysis through ``Fandom of Cultural Economics`` of John Fiske. Consequently, First, Fandom of ``Dancing 9`` were distin...

      The purpose of study was analysis about Fandom of Dance Survival TV Audition Reality Show Program ``Dancing 9``. Study method was analysis through ``Fandom of Cultural Economics`` of John Fiske. Consequently, First, Fandom of ``Dancing 9`` were distinguished between supported dancer and not supported dancer. Second, They makes textual productivity through designed to nickname and character of supported dancer. The pleasure of audience``s writing facilitates fandom through variable interaction between challengers and audiences. Third, They construct fan identity and work on collectively by SMS vote and program admission. This is spontaneous economic behaviou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종윤, "팬덤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 강세윤,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연구 : <슈퍼스타K>와 <위대한 탄생>의 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2

      3 박경옥, "서바이벌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단국대학교 2012

      4 박명진,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대한 8개의 탐구" 한나래 187-209, 1996

      5 배수을, "무용 대중화의 관점에서 본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논의- <댄싱 9>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45 (45): 53-79, 2013

      6 이지원, "리얼리티 서바이벌 「댄싱9」의 성공요인 분석과 발전방향" 한국무용예술학회 47 (47): 185-211, 2014

      7 "댄싱9 팬아트"

      8 "댄싱9 사진, ‘댄싱 9’ 시즌 2 팬덤 열기 뜨겁다! 팬미팅에 구름떼 인파 ‘환호’" 우먼데일리

      9 김미정,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댄싱 9〉의 분석을 통한 무용의 대중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4

      10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도서출판 한울 2014

      1 홍종윤, "팬덤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 강세윤,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연구 : <슈퍼스타K>와 <위대한 탄생>의 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2

      3 박경옥, "서바이벌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단국대학교 2012

      4 박명진,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대한 8개의 탐구" 한나래 187-209, 1996

      5 배수을, "무용 대중화의 관점에서 본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논의- <댄싱 9>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45 (45): 53-79, 2013

      6 이지원, "리얼리티 서바이벌 「댄싱9」의 성공요인 분석과 발전방향" 한국무용예술학회 47 (47): 185-211, 2014

      7 "댄싱9 팬아트"

      8 "댄싱9 사진, ‘댄싱 9’ 시즌 2 팬덤 열기 뜨겁다! 팬미팅에 구름떼 인파 ‘환호’" 우먼데일리

      9 김미정, "댄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댄싱 9〉의 분석을 통한 무용의 대중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4

      10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도서출판 한울 2014

      11 김설진팬사이트, "김설진 감동받다"

      12 홍미성, "TV프로그램 ‘댄싱9’ 시청이 중학생의 무용인식, 체육수업만족 및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13-128, 2013

      13 최재욱, "'댄싱9' 시즌1,2 최고 멤버들만 뭉친 '올스타쇼' 무대 오른다" 스포츠한국

      14 권혜림, "'댄싱9' 김설진 “상금 1억원, 연습실 만들고 싶다“" 조이뉴스2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1 0.7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