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행정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칭되는 신공공서비스이론이 상정하는 행정관료역할의 한계를 비판하고자 한다. The Denhardts가 제시한 신공공서비스이론은 전통 행정이론, 신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196913
2008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1-35(15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행정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칭되는 신공공서비스이론이 상정하는 행정관료역할의 한계를 비판하고자 한다. The Denhardts가 제시한 신공공서비스이론은 전통 행정이론, 신공...
본 논문은 행정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칭되는 신공공서비스이론이 상정하는 행정관료역할의 한계를 비판하고자 한다. The Denhardts가 제시한 신공공서비스이론은 전통 행정이론, 신공공관리이론과 달리 행정과 행정관료의 역할이 시민봉사(serving)에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러한 주장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서 ‘민주적 시민권(Theories of Democratic Citizenship)’, ‘공동체와 시민사회(Models of Community and Civil Society)’, ‘조직 인본주의와 담론이론(Organizational Humanism and Discourse Theory)’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들 행정이론이 함축한 행정관료 역할에 관한 시각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들 행정이론 모두 ‘규범적(normative)’ 정향을 갖고 있지만, 각각 상정하는 행정관료의 역할은 사뭇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행정담론이론은 신공공서비스이론의 행정관료의 변형적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공공서비스이론이 행정이론의 큰 그림으로서 역할을 하는데 일정 부문 한계가 있다고 비판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신택, "행정학의 논리" 박영사 2002
2 김동원, "행정학의 규범이론을 위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적 함의" 39 (39): 2005
3 김태룡, "행정이론" 대영문화사 2007
4 김대성, "행정언어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접근방법" 2007
5 김대성, "프래그머티즘에서 바라본 행정이론의 한계와 해결방안:McSwite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2008
6 김동원, "블랙스버그 선언(Blacksburg Manifesto):행정의 정당성과 권력분립을 위한 행정가의역할" 2003
7 Miller,Hugh T., "Who, We?" 37 (37): 2005
8 Campbell,K.B., "Theorizing the Authentic: Identity, Engagement, and Public Space" 36 (36): 2005
9 Denhardt,Robert., "Theories of Public Organizati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84
10 Denhardt, J.V., "The Role of Democratic Values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38 (38): 2006
1 강신택, "행정학의 논리" 박영사 2002
2 김동원, "행정학의 규범이론을 위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적 함의" 39 (39): 2005
3 김태룡, "행정이론" 대영문화사 2007
4 김대성, "행정언어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접근방법" 2007
5 김대성, "프래그머티즘에서 바라본 행정이론의 한계와 해결방안:McSwite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2008
6 김동원, "블랙스버그 선언(Blacksburg Manifesto):행정의 정당성과 권력분립을 위한 행정가의역할" 2003
7 Miller,Hugh T., "Who, We?" 37 (37): 2005
8 Campbell,K.B., "Theorizing the Authentic: Identity, Engagement, and Public Space" 36 (36): 2005
9 Denhardt,Robert., "Theories of Public Organizati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84
10 Denhardt, J.V., "The Role of Democratic Values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38 (38): 2006
11 Arblaster,Anthony, "The Rise and Decline of Western Liberalism" Blackswell Publishing Ltd. 1984
12 StillmanⅡ,R.J., "The Refounding Movement in American Public Administration" 17 (17): 1995
13 Denhardt, R.B., "The New Public Service:Serving not steering" M.E.Sharpe 2003
14 Denhardt, R.B., "The New Public Service: Serving Rather Than Steering" 60 (60): 2000
15 McSwite.O.C., "The New Normativism and the Discourse Movement: A Meditation" 20 (20): 1998
16 Farmer,David John, "The Language of Public Administration: Bureaucracy, Modernity and Postmodernity"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995
17 Fay,Brian, "Social Theory and Political Practice , 사회이론과 정치적 실천" Allen & Unwin Pty Ltd. 1975
18 Miller,Hugh T., "Rational Discourse, Memetics, and the Autonomous Liberal-Humanist Subject" 22 (22): 2000
19 Zanetti, L.A., "Putting Critical Theory to Work: Giving the Public Administrator the Critical Edge" 19 (19): 1997
20 Denhardt,Robert., "Public Administration:An Action Orientati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5
21 McSwite.O.C., "Postmodernism and Public Administration's Identity Crisis" 55 (55): 1997
22 Fox, C.J., "Postmodern Public Administration" SAGE Publications 1995
23 Harmon, M.M., "Organization Theory for Public Administration" Little,Brown and Company 1986
24 McSwite.O.C., "On the Discourse Movement-A Self Interview" 22 (22): 2000
25 Dae-Seung,Kim, "Maintaining or Abandoning Social Justice : Modern and Postmodern Justice in Administrative Theory" 2007
26 Denhardt,Robert, "In the Shadow of Organization"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81
27 King, C.S., "Government is US" Sage Publications 1998
28 Box,C.R., "Critical Social Theory in Public Administration" M.E.Sharpe 2005
29 Cooper,Terry L., "Big Questions in Administrative Ethics" 64 (64): 2004
30 Harmon,M.M., "Action Theory for Public Administration" Longman 1981
성과관리정보화의 책임성 강화현상에 대한이론적 논의 : 수확체증과 자기강화 현상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한국의 시민권과 네이션
K-MOOC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이철우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의 역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Jin-suk Kang(중앙대학교), JungAe Yang(한국언론진흥재단), Amie Kim(경기도교육연구원)Human Rights and Wrongs: Innovative Approaches to Citizenship
Teachers TV Teachers TVCitizenship
Teachers TV Teachers TVPrimary Citizenship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