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단기 풍력발전 예측 연구 = A study on short-term wind power forecasting using time series mod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86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풍력에너지 산업이 발전하고 풍력발전에 대한 의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안정적인 공급이 중요해지고 있다. 원활한 전력수급계획을 세우기 위해서 풍력발전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

      풍력에너지 산업이 발전하고 풍력발전에 대한 의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안정적인 공급이 중요해지고 있다. 원활한 전력수급계획을 세우기 위해서 풍력발전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평창 횡계리에 설치된 대관령 2풍력(2MW 1기)의 시간별 풍력발전 데이터와 강원도 대관령 기상대에서 관측되는 시간별 풍속과 풍향 데이터를 기상청 지상관측자료에서 수집하여 연구하였다. 풍력발전량 예측을 위하여 신경망 모형과 시계열 모형인 ARMA, ARMAX, ARMA-GARCH, Holt Winters 모형을 비교하였다. 모형 간 예측력을 비교하기 위해 mean absolute error(MAE)를 사용하였다. 모형의 예측 성능 비교 결과 1시간에서 3시간의 단기 예측에 있어서 ARMA-GARCH 모형이 우수한 예측력을 보였다. 6시간 이후 예측에서는 신경망 모형이 우수한 예측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ind energy industry and wind power generation have increased; consequently, the stable supply of the wind power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predict the wind power with short-term basis in order to make a reliable ...

      The wind energy industry and wind power generation have increased; consequently, the stable supply of the wind power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predict the wind power with short-term basis in order to make a reliable planning for the power supply and demand of wind power.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d the speed, power and the directions of the wind. The neural network and the time series models (ARMA, ARMAX, ARMA-GARCH, Holt Winters) for wind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were compared based on mean absolute error (MAE). For one to three hour-ahead forecast, ARMA-GARCH model was outperformed, and the neural network method showed a better performance in the six hour-ahead foreca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섭, "군산풍력발전단지의 풍력발전량 단기예측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4 (24): 585-592, 2013

      2 Chitsaz, H., "Wind power forecast using wavelet neural network trained by improved Clonal selection algorithm" 89 : 588-598, 2015

      3 Brown, B. G., "Time series models to simulate and forecast wind speed and wind power" 23 : 1184-1195, 1984

      4 Byun, H. I., "The Study of the Wind Resource and Energy Yield Assessment for the Wind Park Development" 1 : 19-25, 2005

      5 Park, H. W., "Short-term wind power prediction with power ramp rate and ANFIS approach" 39 : 157-159, 2012

      6 Quan, H., "Short-term load and wind power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based prediction intervals" 25 : 303-315, 2014

      7 Alexiadis, M. C., "Short-term fore-casting of wind speed and related electrical power" 63 : 61-68, 1998

      8 황미영, "Power Ramp Rate를 이용한 풍력 발전량 예측모델 구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212-218, 2012

      9 Bollerslev, T.,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31 : 307-327, 1986

      10 Winters, P. R., "Forecasting sales by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s" 6 : 324-342, 1960

      1 이영섭, "군산풍력발전단지의 풍력발전량 단기예측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4 (24): 585-592, 2013

      2 Chitsaz, H., "Wind power forecast using wavelet neural network trained by improved Clonal selection algorithm" 89 : 588-598, 2015

      3 Brown, B. G., "Time series models to simulate and forecast wind speed and wind power" 23 : 1184-1195, 1984

      4 Byun, H. I., "The Study of the Wind Resource and Energy Yield Assessment for the Wind Park Development" 1 : 19-25, 2005

      5 Park, H. W., "Short-term wind power prediction with power ramp rate and ANFIS approach" 39 : 157-159, 2012

      6 Quan, H., "Short-term load and wind power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based prediction intervals" 25 : 303-315, 2014

      7 Alexiadis, M. C., "Short-term fore-casting of wind speed and related electrical power" 63 : 61-68, 1998

      8 황미영, "Power Ramp Rate를 이용한 풍력 발전량 예측모델 구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212-218, 2012

      9 Bollerslev, T.,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31 : 307-327, 1986

      10 Winters, P. R., "Forecasting sales by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s" 6 : 324-342, 1960

      11 Torres, J. L., "Forecast of hourly average wind speed with ARMA models in Navarre(Spain)" 79 : 65-77, 2005

      12 Shin, H. G., "Development of the wind turbine power prediction system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696-697, 2011

      13 Engle, R. F.,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with estimates of the variance of United Kingdom in ation" 50 : 987-1007, 1982

      14 Tol, R. S.,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in daily wind speed measurements" 56 : 113-122, 1997

      15 Hill, D. C., "Application of auto-regressive models to UK wind speed data for power system impact studies" 3 : 134-141, 2012

      16 Ryu, G. H., "A study on estima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using weather data in Jeju island" 58 : 2349-235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56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