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州縣 資福寺와 香徒의 역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1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현 자복사는 입장과 목적이 국가, 교단, 지역민과 공유될 수 있는 장
      이라는 관점에서 그 운영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고려 주현 자복사는 읍내 치소 가까이 존재한 사원을 칭하는 보통명사
      이다. 이 사원제도의 연원은 신라 시기 지방 도시의 사례도 있지만 현종대
      지방민을 결속하여 병난을 극복하려는 배경과 향촌사회의 새로운 주도 세
      력의 등장과도 연관되어 성립되었다. 자복사는 행정단위마다 분포되었으나 계수관과 주현에는 다수가, 속현 이하는 一邑一寺였다.
      국가 공인의 비보사사에 속한 자복사는 외관, 호장층, 자복사 조직과
      함께 국가불교의례를 함으로써 지역민을 결속하고, 지역내 승려들의 교구
      중심 연대와, 국가에 대한 지지를 수렴하는 역할을 하였다. 자복사의 삼강
      조직과 동량승은 호장층과 지역민, 또는 향도, 지역 사원과 승려의 시납을
      유치하여 각종 시설과 의례를 유지하는 불사를 하였다.
      중국 당·송대에 운영된 지방 官寺제도인 州당 一觀一寺制와 일본의
      國당 僧尼二寺制와 궤를 같이하는 지방 관사제로서 고려 주현 자복사는
      모든 행정단위에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가의 지배와 지역사회 결속을
      불교를 통하여 심화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고려 중기 이후 향촌 사회 변
      화에 따라 쇠퇴하고, 조선 초 사원전의 屬公조처로 하여 사원을 대폭 정리
      하면서 소멸되었다.
      번역하기

      주현 자복사는 입장과 목적이 국가, 교단, 지역민과 공유될 수 있는 장 이라는 관점에서 그 운영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고려 주현 자복사는 읍내 치소 가까이 존재한 사원을 칭하는 보통명...

      주현 자복사는 입장과 목적이 국가, 교단, 지역민과 공유될 수 있는 장
      이라는 관점에서 그 운영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고려 주현 자복사는 읍내 치소 가까이 존재한 사원을 칭하는 보통명사
      이다. 이 사원제도의 연원은 신라 시기 지방 도시의 사례도 있지만 현종대
      지방민을 결속하여 병난을 극복하려는 배경과 향촌사회의 새로운 주도 세
      력의 등장과도 연관되어 성립되었다. 자복사는 행정단위마다 분포되었으나 계수관과 주현에는 다수가, 속현 이하는 一邑一寺였다.
      국가 공인의 비보사사에 속한 자복사는 외관, 호장층, 자복사 조직과
      함께 국가불교의례를 함으로써 지역민을 결속하고, 지역내 승려들의 교구
      중심 연대와, 국가에 대한 지지를 수렴하는 역할을 하였다. 자복사의 삼강
      조직과 동량승은 호장층과 지역민, 또는 향도, 지역 사원과 승려의 시납을
      유치하여 각종 시설과 의례를 유지하는 불사를 하였다.
      중국 당·송대에 운영된 지방 官寺제도인 州당 一觀一寺制와 일본의
      國당 僧尼二寺制와 궤를 같이하는 지방 관사제로서 고려 주현 자복사는
      모든 행정단위에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가의 지배와 지역사회 결속을
      불교를 통하여 심화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고려 중기 이후 향촌 사회 변
      화에 따라 쇠퇴하고, 조선 초 사원전의 屬公조처로 하여 사원을 대폭 정리
      하면서 소멸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주현 자복사의 성립과 분포양상
      • Ⅲ. 주현 자복사의 위상과 운영
      • 1. 국가 사원 편제상의 자복사
      • 2. 종단에서의 자복사 역할
      • Ⅰ. 머리말
      • Ⅱ. 주현 자복사의 성립과 분포양상
      • Ⅲ. 주현 자복사의 위상과 운영
      • 1. 국가 사원 편제상의 자복사
      • 2. 종단에서의 자복사 역할
      • 3. 향촌 지배기구와 자복사의 역할
      • Ⅳ. 자복사의 조직과 주현 향도
      • Ⅴ. 주현 자복사의 동아시아에서의 성격과 추이
      •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헌,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2 엄기표, "한국의 당간과 당간지주" 학연문화사 2004

      3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상) 교감역주 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 채상식, "한국 중세시기 香徒의 존재양상과 성격"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5) : 51-87, 2012

      5 이태진, "예천 개심사 석탑기의 분석-고려전기 향도의 일례" 53·54 : 1972

      6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7 윤경진, "고려전기 호장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 87 : 1999

      8 채웅석, "고려시대 향도의 사회적 성격과 변화" 2 : 1992

      9 이수건, "고려시대 읍사 연구" 3 : 1989

      10 한기문, "고려시대 資福寺의 성립과 존재 양상" 민족문화연구소 (49) : 279-328, 2011

      1 최병헌,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2 엄기표, "한국의 당간과 당간지주" 학연문화사 2004

      3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상) 교감역주 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 채상식, "한국 중세시기 香徒의 존재양상과 성격"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5) : 51-87, 2012

      5 이태진, "예천 개심사 석탑기의 분석-고려전기 향도의 일례" 53·54 : 1972

      6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7 윤경진, "고려전기 호장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 87 : 1999

      8 채웅석, "고려시대 향도의 사회적 성격과 변화" 2 : 1992

      9 이수건, "고려시대 읍사 연구" 3 : 1989

      10 한기문, "고려시대 資福寺의 성립과 존재 양상" 민족문화연구소 (49) : 279-328, 2011

      11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12 安田純也, "高麗時代の在地寺院と仏事-資福寺お中心として" 關西大學亞細亞文化交流ヤンタ 2 : 2006

      13 한기문, "高麗時代 裨補寺社의 成立과 運用" 한국중세사학회 (21) : 254-292, 2006

      14 최연식, "釋迦塔 발견 墨書紙片의 내용을 통해 본 高麗時代 佛國寺의 현황과 운영" 불교문화연구원 (61) : 239-266, 2012

      15 "角田文衛著作集 第二卷 『國分寺と古代寺院』"

      16 박달석, "統一新羅時代 沙伐州 伏龍洞聚落과 地方都市構造 硏究" 부산대학교 2012

      17 최연식, "海南 大興寺所藏 ‘塔山寺銅鐘’ 銘文의 재검토" 6 : 2010

      18 "泗川 本村里 廢寺址"

      19 辻善之助, "日本佛敎史 上世篇" 岩波書店 1944

      20 塚本善隆, "日支佛敎交涉史硏究" 弘文堂書房 1944

      21 道端良秀, "唐代佛敎史の硏究" 法藏館 1957

      22 김영태, "佛敎의 國家·政治思想硏究"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73

      23 竺沙雅章, "中國佛敎社會史硏究" 同朋社 1982

      24 한기문, "『삼국유사』탑상편 「민장사」·「영취사조」의 성격" 경주시·신라문화선양회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6 :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국사학회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영문명 : Dongguk Historical Society -> Dongguk history & culture institut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 0.75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